안녕하세요.
아이들의 수저색을 바꿔준 노노미노입니다.
김승호님 돈의 속성은 홍성대님 수학의 정석과 함께
교과 과목으로 선정되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수학과 돈은 떨어질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수학을 잘해서 돈을 벌고 금융지식을 익혀 돈을 모으고 불릴 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책의 내용은 소제목으로 요약이 가능해서 필사합니다.
돈은 인격체다
나는 나보다 더 훌륭한 경영자에게 투자한다
복리의 비밀
일정하게 들어오는 돈의 힘
동은 중력의 힘을 가졌다
리스크가 클 때가 리스크가 가장 작을 때다
남의 돈을 대하는 태도가 내 돈을 대하는 태도다
100억을 상속받았는데 절대 잃지 말라는 유언이 붙었다면
빨리 부자가 되려면, 빨리 부자가 되려 하면 안 된다
경제 전문가는 경기를 정말 예측할 수 있나?
삼성전자 주식을 삼성증권에 가서 사는 사람
다른 이를 부르는 호칭에 따라 내게 오는 운이 바뀐다
반복되는 운은 실력이고 반복되는 실패는 습관이다
뉴스를 통해 사실과 투자 정보를 구분하는 법
돈마다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않았는데 왜 모두 깨질까?
부자가 되는 세가지 방법
돈을 모으지 못하는 이유
자신이 금융 문맹인지 알아보는 법
주식으로 수익을 내는 사람들의 세가지 특징
얼마나 벌어야 정말 부자인가?
내가 재산을 지키기 위해 매일 하는 일
가난은 생각보다 훨씬 더 잔인하다
금융 공황 발생에 따른 세가지 인간상
내가 청년으로 다시 돌아가 부자가 되려 한다면
지혜는 기초학문으로부터 시작된다
부자가 되기 위해 우선 당장 할 수 있는 일 한 가지
앞으로 주식이 오를 것 같습니까?
현재 임차료를 내는 사람의 숨은 가치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 주식이 좋을까?
나의 독립기념일은 언제인가?
돈을 다루는 네 가지 능력
이런 곳에 나는 투자 안 한다
보험은 저축이 아니다
예쁜 쓰레기
경제에 대한 해석은 자신의 정치적 신념에서 벗어나 있어야 한다
마중물과 종잣돈 1억 만들기의 다섯 가지 규칙
좋은 부채, 나쁜 부채
세상의 권위에 항상 의심을 품어라
좋은 돈이 찾아오게 하는 일곱 가지 비법
직장인들이 부자가 되는 두가지 방법
감독(자산배분)이 중요한가? 선수(포지션)이 중요한가?
은행에서 흥정을 한다고요?
떨어지는 칼을 잡을 수 있는 사람
재무제표에 능통한 회계사는 투자를 정말 잘할까?
김승호의 투자 원칙과 기준
자식을 부자로 만드는 방법
만약 삼성전자 주식을 아직도 가지고 있었더라면
국제적 수준의 행동 에티켓과 세계화 과정
당신의 출구전략은 무엇인가?
모든 비지니스는 결국 부동산과 금융을 만난다
똑똑한 사람들이 오히려 음모에 빠진다
사기를 당하지 않는 법
투자의 승자 자격을 갖췄는지 알 수 있는 열한 가지 질문
두량 족난 복팔분
부의 속성
흙수저가 금수저를 이기는 법
당신 사업의 퍼(PER)는 얼마인가?
큰 부자는 하늘이 낸다
창업을 꿈꾸는 젊은이는 작은 회사에 가라
능구(能久)와 공부(工夫)
아직도 할 사업은 끝도 없이 많다
사업가는 스스로에게 자유를 줄 수 있는 유일한 직업
돈마다 품성이 다르다
가족 안에서 가장 부자가 되었을 때 부모와 형제에 대한 행동요령
실패할 권리
책이 부자로 만들어줄까?
신은 왜 공평하지 않을까?
항상 투자만 하는 송 사장과 항상 화가 나 있는 그의 아내
동업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길을 모르겠으면 큰길을 가라
쿼터 법칙
기도로는 부자가 될 수 없다
재산을 모을 때는 농부가 되고 투자할 때는 어부가 돼라
돈을 모으는 네가지 습관
시장을 이길 능력이 없다면
당신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 투표하라
선진국 대한민국
당신의 주식 투자 기회를 박탈한다면?
누군가에게 길을 가르쳐 준다는 것은
난 오늘 언제라도 내 운명을 바꿀 기회가 있다
부자가 될 준비를 마쳤는지 알 수 있는 30개 질문
사회적 기업을 꿈꾸는 젊은이들에게
투자에 있어서 변하지 않는 진리
돈에 대한 불편한 진실
절대로 다시 가난해지지 말자
필사를 하다보니 내용이 떠오르는 것도 있고
생소한 제목도 있는 것 같아서 신기한 느낌이다.
적용해 볼 만한 것은
저자의 비법과 방법을 차례대로 정리해 둔 챕터들이다.
저자가 알려준 공유물을 소중히 다루고
예쁜 쓰레기를 모으지 않고
쿼터 법칙으로 생활하며 천천히 부자가 되어야겠다.
댓글
소제목을 읽으면서 어떤 내용이었는지 곱씹어 봤네요!! 말씀하신 대로 수학의 정석과 같이 가장 기본이 되는 책으로 여러 번 읽어봐야겠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