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주차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9기 6조 김리우]

  • 24.05.14

수도권 투자와 비교했을 때 지방 투자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궁금증을 해결하기 시작했다.

본질적으로 부동산에 투자한다는 것은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며, 사람들이 가지고 싶어하는가'하는 집을 구입하는 것이라는 점은 일치한다.

다만 수도권 사람들과 지방 사람들이 주거에 대해 판단하는 가치 관점에서 직장의 접근성 인식 차이가 선호도에 영향을 달리한다는 이야기를 상세하게 들려주었다.


지역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그 지역의 다양한 아파트를 사례로 투자에 대한 가치 판단을 다양하게 소개해 주었는데 사실 가보지 않은 지역이라 마냥 집중해서 듣는 것이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하지만 유르 조장님이 그 지역을 다음에 찾아가게 되면 이런 부분들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씀해 주셨으니 복습할 때는 조금 더 집중해서 들어보도록 해야겠다! (미리 메모하고 필기를 해두는 등 나의 언어로 풀어 두면 더욱 도움이 될 거 같다.)


세부적인 내용 중에서 몇 가지 기록해 두자면,


  1. 광역시와 중소 도시에서 학군, 환경, 직장, 교통 등 입지 요소가 가지는 가치가 다르다.
  2. 상품성은 연식, 브랜드, 택지 규모 등 요소에 따라 달라진다.
  3. 부산과 대구는 지하철이 의미가 있으나, 대전 이하는 크게 의미가 없다. 대전은 중간 정도다.
  4. 지방은 공급이 있으면 전세가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지방에서 공급은 전세가뿐 아니라 매매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수도권과 차이가 있다.
  5. 광역시에서는 최우선 선호 지역이 아니라도 투자할 수 있다. 그곳이 다른 중소도시보다 싸다거나 가치 대비 저평가 되어 있으면 당연히 투자할 수 있다.
  6. 광역시들의 랜드마크 아파트의 매매가와 전세가의 가격을 비교하는 것은 유의미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7. 광역시는 상품성뿐만 아니라 입지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 신축도 입지에 따라 간다. 광역시는 초단기 보유하고 매매할 것이 아니라 5년 이상 가지고 가야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입지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8. 어떤 곳이 너무 외진 곳에 있다고 무작정 피할 것은 아니고 업무지구 배후 지역으로 위치해 있다면 중심지에서 다소 외져도 괜찮다.
  9. 지역에 단지 10개 정도만 뽑아서 시세 트레킹을 시도해 봐라. 생활권별로 2개씩 해서 5개 생활권 10개만 해라. 신축 하나, 구축 하나 10개 하면 된다.


'미래를 바꾸는 방법은 지금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합니다.


댓글


유르
24. 05. 17. 10:43

키포인트 콕콕 뽑아 정리하신 강의후기 너무 고생많으셨어요:) 부동산의 본질에 대한 것 ! 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