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부자의 그릇
부자의 그릇이라는 책일 읽었습니다.
부자는 무엇인가? 자신의 그릇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있습니다.
이 책의 핵심 내용은 큰 가치를 가지고 가질 수 있는 건 그런 그릇이 있는 사람이라는 내용인거 같다.
----
이 책은 노인과 한 빚쟁이 남성의 만나면서 시작한다.
한 겨울 추운 날 빚쟁이 남성은 돈 100원이 없어 자판기에서 따듯한 음료를 마시지 못하고 있었는데, 한 노인이 찾아와 100원을 빌려주면서 이야기가 시작한다.
노인은 100원을 빌려주면서 남성에서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지만, 음료수 자판기에서 음료수를 뽑아 먹을려고 할 때 그것을 막으면서 100원의 대해 이자, 상환 일을 말을 한다.
남성은 참 100원의 가치를 무시하고, 120원으로 갚으라는 노인의 말에 맞장구를 치면서 노인의 무례한 부탁을 잘 받아주었다.
그러는 와중 책을 보시면 알겠지만, 따듯한 음료를 먹고 싶었던 남성은 자신이 차가운 음료를 뽑을려고 했던 사실과 그것을 막아주기 위해서 노인이 자신에게 무례한 요청을 자꾸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교훈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내가 가진 조금의 돈은 내가 가진 돈이며, 100원은 은행에서 주는 대출이다. 이러한 결과로 우리는 어떤 가치의 물건을 구매하지만, 그 구매 과정에서 현명한 판단을 잘 못한다는 것이다.
왜 우리는 현명을 한 판단을 하지 못 할까? 우리는 그 물건을 고를 때 충분히 판단하지 않기 떄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충분히 판단이 되었다고 늘 생각한다.
여기서 오 판단이 되는 것이다. 대출을 받아서 살 수 있는 집, 물건은 있다. 하지만 정말로 지금, 대출을 받아서 사야할까? 더 싼 물건은 없을까? 이 대출을 받았으면 내가 빌려준 사람의 대한 어떤 요구를 들어주어야 하는가? 등 판단을 잘 하지 못한다.
이건 내가 가지고 싶은 물건의 대한 집착과, 그것을 지금 당장 해결하고 싶은 욕구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돈으로 잘못 된 실수를 한 사람은 대부분 잘 못 된 타이밍에 그 물건을 샀다는 것을 명심하자
신용이라는 말을 대부분의 직장이이라면 들어봤을것이다. 신용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상대방을 믿는 마음이다.
처음 노인이 남성한테 100원을 빌려주면서 120원이라는 돈으로 상환을 요구하고, 추후에 상환 기한을 이야기한다.
20%의 이자면 엄청난 이자이다. 이건 노인이 남성을 처음 보기도 하였고, 100원이라는 돈이 없는 남성에게 신용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것을 갚을 능력이 없어 보이는 남성에서 많은 이자를 요구하는 것이다.
현실에서 보면 신용이라는 것이 참 신기하다. 돈을 잘 벌고, 돈이 많을 수록 이자가 낮아진다. 그것은 돈이 많아, 빌린돈을 잘 갚을 수 있으며, 채권(연봉)이 높을 수록 현금 흐름이 좋아, 신용이 좋기 때문이다.
돈이란 없는 사람에게 더욱 잔인하다.
돈이라는 것의 신용은 그렇지만, 사실 현실에서는 인간관계의 신용도 있다. 이러한 신용의 대해서 사람들은 매우 무지하다. 돈의 대한 신용은 잘 이해하지만, 인간관계의 대한 신용은 인지 하지 못한다.
과연 위 내용에서 100원이라는 돈을 왜 남성에게 빌려주었을까? 여러분은 100원이 없어 자판기의 음료를 못 먹는 남성에게 100원을 먼저 빌려줄수있는가?
이건 돈의 문제가 아닌 인간관계의 대한 신용이다. 대부분은 못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돈을 잃은 돈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왜냐면 그 남성의 대한 신용이 없기 때문에 말도 걸기 싫을것이다.
하지만 노인은 남성한테 말을 먼저 걸었고, 돈을 빌려주었다. 이건 노인이 남성의 믿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남성은 노인을 믿고 무례한 요구를 받아들렸다.
여기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건 돈의 대한 신용도 중요하지만, 인간 관계의 신용이 있다는 점이다.
내가 상대를 믿지 않으면, 상대도 나를 믿지 않는다. 신용이 돈으로 바뀌면, 믿어주는 상대가 있는 것만으로도 재산이 된다.
-- 이하 생략 --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낌점이 많다.
부자의 그릇은 부를 크기를 늘리기 위해서는 자신의 그릇을 키워야한다는 이야기다. 책의 핵심 내용은 돈의 크기가 중요한 것이 아닌, 성공의 필요한 요소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를 이루다보면 자신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그 크기의 맞추어 돈이 들어온다는 말인거 같다.
부채의 대해서도 이야기가 나온다. 부채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부채를 대부분 잘 사용하지 못한다. 왜 그럴까? 부채를 자신의 그릇보다 대부분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연봉의 비례한 대출의 한도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가치를 대하는 태도 습관, 언행, 말투, 행동등을 의미한다.
월급쟁이 부자들에서 다들 가족의 대한 미안함이 있을것이다.
가족을 위해서 내가 열심히 하겠다고 하지만, 오늘 가족들에게 고맙다, 덕분에 힘이 된다고 말을 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건 사실 가족을 위한 것이 아닌 나를 위한 것이며, 나를 위한 것을 가족을 위한 것이라고 착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족을 위한다면, 돈을 위해서 쓰는 시간보다도 가족을 위해서 쓰는 시간이 더 많아야한다. 돈이 주는 안정감, 돈이 주는 삶의 여유보다 가족이 주는 안정감, 가족이 주는 삶의 여유가 더 커질때 우리는 부자라고 말을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