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부제 : 복잡한 세상을 이기는 단순함의 힘 "한가지에 집중하라"
저자 및 출판사 : 게리켈러, 제이 파파산 / 비즈니스북스
읽은날짜 :
2023-04-14 ~2023-04-18
2023-09-06~2023-09-09
2024-02-12~2024-02-14
2024-05-17~2024-05-19 (N독/키워드요약)
핵심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목적의식 #우선순위 #생산성
도서를 읽고 내점수는 (10점만점에 ~ 몇점?) : 10점
책소개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원씽’을 찾아라!
복잡한 세상을 이기는 단순함의 힘 『원씽(THE ONE THING)』.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투자개발 회사의 대표이자 전미 130만 부 이상이 팔린 베스트셀러의 저자 게리 캘러가 더 적게 일함으로써 더 깊게 집중하여 더 크게 성공하는 비결이 무엇인지 제시하였다. 저자는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한 가지, ‘원씽’을 찾아 집중하고 파고들라고 제안한다. 우리의 삶을 소모시키는 멀티스태킹을 비롯한 성공에 대한 거짓신화를 바로잡고, ‘원씽’의 일을 찾아 집중하는 법, 그리고 ‘원씽’을 찾기 위해 스스로 어떤 질문을 해야 하며, 이를 어떻게 습관화하고 삶의 부분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
저자소개
(Gary Keller)
켈러 윌리엄스 투자개발 회사(Keller Williams Realty, Inc.)의 공동 창립자이자 대표이사다. 저명한 사업 코치이자 트레이너로서 다양한 경력을 가지고 있는 게리 켈러는 텍사스 오스틴의 한 칸짜리 사무실에서 출발하여 현재 미국에서 가장 큰 투자개발 회사를 일구었고, 총 130만 부 이상이 팔린 세 권의 베스트셀러를 저술하기도 했다.
🔵한국의 독자들에게
제1장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 하나’는 무엇인가
18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하다
‘파고든다는것’은 곧 자신이 할 수있는 다른 모든일을 무시하고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에 만 집중하는 것을 뜻한다. 또한 모든일의 중요성이 똑같이 않음을 인식하고, 가장 중요한 일을 찾아내는 것이다.
제2장 도미노 효과
26 #성공은 성공위에 쌓인다.
핵심은 오랜시간이다. 성공은 연속하여 쌓인다.
제3장 성공은 반드시 단서를 남긴다
32 #탁월한 성과로 나아가는 선순환
어어마한 양의 노력은 기술로 축적되고 기술이 낳아지면 결과가 나아진다. 너 나은 결과는 즐거움을 불러오고, 그러려면 더 많은 열정과 시간이 투자된다.
🔵제1부 : 거짓말_의심해 봐야 할 성공에 관한 여섯 가지 믿음
43 #트루시니스
성공에 관한 여섯 가지 믿음
1.모든일이 다 중요하다
2.멀티태스팅은 곧 능력이다
3.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4.의미만 있다면 못할일은 없다
5.일과 삶의 균형이 필요하다
6.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제4장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47 #할일목록이 아닌 성공목록
남다른 성과를 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든 목록
50 #파레토법칙 :중요한 소수와 사소한 다수. 20퍼센트의 노력이 80퍼센트의 결과를 만든다
생각은 크게하되, 아주작은곳에 초점을 맞춘다.
바쁘게 움직이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 생산적으로 움직이는것이 중요하다
제5장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62 #작업전환은 대가를 치룬다
주어진 시간내에 너무 많은일을 해야한다고 느끼는것이 문제
#한번에 두가지 일을 할수는 있지만 한번에 두가지일을 모두 효과적으로 집중할수는 없다
제6장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74 #성공은 단거리 경주
건전한 습관이 자리잡을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단거리 전력질주
75 성공은 옳은일을 해야얻는 것이지, 모든일을 다 제대로 해야 얻을 수있는 것이 아니다.
79 #습관을 들이는데 걸리는 시간 66일
- 습관으로 확립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할애하고, 그것을 발달시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통제력과 훈련을 동원하라
제7장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82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도 못한채 성공과 의지력을 직접 연결시키려고 하는것은 실패로 가는 지름길
95 의지력이 가장높을때 가장 중요한일을 우선으로 처리하라
제8장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104 #기적은 극단에서 일어난다
109 중요하지 않은 어떤 일들을 미완성인 채로 남기는 것은 탁월한 성과를 얻기 위해 반드시 치러야할 대가와 같다.
110 #무게중심잡기 💚
중요한것은 중심을 잡느냐 잃느냐가 아니라 '짧게가느냐, 길게가느냐'이다.
*개인적인삶 : 간격을 짧게두고 수시로 중심을 잡아라
*직업적인삶 : 탁월한 성과를 내기위해서는 오랫동안 불균형상태를 유지해야할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여라.
111 #저글링게임
삶이라는 게임에서 다섯개의 공을 저글링.
<가족, 건강, 친구, 정직>은 유리공. 유리공은 떨어뜨리면 돌이킬 수 없이 흠이 나고, 이가 나가거나, 심지어 산산조각이 날수도있다.
111 #우선순위와 균형은 함께할수없다
우선수위에 따라 행동하면 자동적으로 균형에서 벗어나 어느하나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된다.
즉, 균형에서 벗어나 어느하나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된다. 균형을 깨뜨려야만한다.
문제는 그 우선순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냐다.
제9장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117 크게 생각하는 것은 곧 자신이 어떤사람이 될수있는지 생각하는것
126 #더 큰 질문을 던져라
어찌해야할지 모를때는 어딜가든 가능성을 두배로 높여라.
당신의 목표가 10이라면, 20까지는 어떻게 도달할수있을까?라고 물어라.
그러면 본래 목표를 달성하고도남는 계획을 갖게될 것이다.
🔵제2부 : 진실_복잡한 세상에서 중심을 잃지 않는 법
제10장 미래의 크기를 바꾸는 초점탐색 질문
134 그분야에서 끝장을 보겠다는 마음으로 최고가 되어야합니다.
142 #초점탐색 질문
1.당신이 할수있는 단하나의 일
2.그일을 함으로써
3.다른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없게 만들
제11장 도미노를 세워라
다른 모든 일들을 쉬워지게 하거나 필요없게만들 그 단하나의 일이 무엇인가?
여러 도미노 조각이 제대로 줄 지어 서있음을 확인할때까지 계속해서 같은 질문을 던진다
제12장 삶의 해답으로 가는 길
#156 사사분면
-작고 구체적임 (4사분면)
-작고 광범위한 (3사분면)
-크고 광범위한 (2사분면)
-크고 구체적임 (1사분면)
→ 크고 구체적인 질문은 크고 구체적인 해답으로 이어진다. 이는 다시 큰 목표를 달성하는것으로 이어진다
161 #벤치마킹
탁월한 성과는 큰 해답을 필요로 한다. (...)
163 다른 사람들의 연구와 경험을 공부하라. 그곳이 최고의 탐색장소다
🔵제3부 : 위대한 결과_인생의 반전을 불러오는 단순한 진리
제13장 목적의식을 가지고 살아라
175 #목적의식 #우선순위 #생산성
우리의 목적의식이 우선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가 행동의 생산성을 결정한다
제14장 우선순위에 따라 살아라
188 이번순간에 무엇을 하느냐가 다음순간에 무엇을 경험하느냐 결정한다는것이다
192 지금 당장 해야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때까지 생각하는법을 훈련하고, 하나의 목표를 다음 목표와 연관 짓는 법을 훈련해야하기 때문이다. 당신은 지금 크게 생각하는 동시에, 이 순간 가장 중요한 일에만 파고드는 법을 배우고있다.
197 #단하나만 있을뿐이다.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는 당신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을 해낼수있도록 돕는,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이다. 여러 개의 '우선순위'가 있을 수 있지만 깊은 곳까지 파고들어 가 보면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것, 최고의 우선순위를 가진것, 자신의 단 하나는 언제나 하나뿐임을 깨닫게 될것이다. (core message)
제15장 생산성을 위해 살아라
202 #시간 확보(Time blocking)
하나의 활동에서 월등하게 의미있는 결과가 나온다면 바로 그 하나의 행동에 월등히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한다.
1.휴식 시간확보하기
2.단하나의 일할시간 확보하기
3.계획할 시간확보하기
216 #방해물정리의기술
1.벙커를지어라
2.물자를 비축하라
3.지뢰를 찾아없애라
4.도움을 구하라
제16장 세 가지 약속
222 #하나를 위한 세가지 약속
1.전문가의 길을 향해 걸어라
2.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 이동하라
3.책임감을 갖고 살아라
225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 이동하라
단순히 최선을 다하고 있는겁니까. 아니면 이룰 수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겁니까?
자신이 하고있는 일이나 행동 방식에 변화를 일으킬 마음까지는 없는 때문이다
227 #남다른 성과
남다른 성과를 원한다면 단 하나를 위해 일할때 OK 고원이나 다른성취의 한계를 받아들여선 안된다.
고원과 한계를 넘어서고 싶다면 이때 필요한 접근법은 단 하나, 목적의식을 가진 접근법 뿐이다.
제17장 네 종류의 도둑들
252 #환경을 내편으로 만드는법
이들이 누구든, 무엇이든, 언제든, 가장 중요한 일로부터 당신의 집중력을 빼앗아 가고 코앞에서 생산성을 훔쳐가는 도둑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남다른 성과를 올리려면 당신을 둘러싼 사람들과 주변 환경이 당신의 목표 달성을 도와야한다.
제18장 위대함으로 가는 변화의 시작
262 #후회하지 않는 삶 💚
가치 있는 삶으로 가는 길에서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을 성공시키는 위해 최선을 다하면 성공과 행복이라는 보상뿐 아니라 그보다 더 귀한 무언가를 선물로 받게 된다. 바로 후회하지않는 삶이다.
새롭게 알게 되었거나 잘못 알고 있던것. 이책에서 동기부여 받은 것, 이 책에서 찾은 롤모델의 노하우, 가치관 배울점 등
#극단의 상황에 대응력을 높여가는 과정
투자공부하는 환경에서 한계에 부딪히는 경험은 누구나 한다. 처음 독서를 할때에는 익숙해져가는 과정속에서 필요적으로 만나는 적응기라고 생각했고, '기술을 습득' 한 후에는 똑같은 상황이 주어졌을때 어려움없이 넘어갈 수 있을거라고 생각해왔다. 이 도서를 여러차례 읽으며 수없이 많은 어려움에 봉착했는데, 이번에 다시 책을 읽으며 우선순위와 목적의식을 뚜렷하게 해나가는것에 익숙해졌지만, 장애물은 늘 그 모습을 달리하며 나에게 찾아온다는 것을 깨달았다. 아무리 철저하게 대비를 해도 한계란 늘 나에게 찾아오기 마련이라는것을 말이다.
완벽주의자들은 이 말 앞에 좌절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고무적인 것은 그 어려움을 겪는 빈도와 강도가 줄어들고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배워나가야할 것이 많은 우리에게 '도전'은 끝없는 과제일지도 모른다. 넘어서야할 한계가 없다는 것은 안주이고, 쇠퇴를 뜻한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이 책은 균형과 방향을 제시해주는 책이며, 저자가 말하는 #목적의식 #우선순위 #생산성 세가지의 키워드를 반추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다보면 장애물에 부딪히더라도 대응력으로 넘어설수있는 투자자가 될수있지않을까 기대한다.
내 삶에서 변화 시켜야 할 부분, 변화시키기 위한 아이디어, 아이디어 를 적용할 구체적인 계획 등
110 #무게중심잡기
중요한것은 중심을 잡느냐 잃느냐가 아니라 '짧게가느냐, 길게가느냐'이다.
*개인적인삶 : 간격을 짧게두고 수시로 중심을 잡아라
*직업적인삶 : 탁월한 성과를 내기위해서는 오랫동안 불균형상태를 유지해야할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여라.
#무게중심을 잡느냐 잃느냐 vs 짧게가느냐 길게가느냐
지금까지 보이지 않았었는데 상당히 와닿은 문장이다. 항상 유례없는 성장을 원하면서 모든 면에서의 승리를 취하려고 하는 태도가 장거리 경주에서 나가떨어지게 하지않았나 돌아보게되었다. 늘 중심을 잡기위해 에너지를 참 많이 할애해왔다. 저자는 무게중심을 잡는 분야를 두개로 나누어, 개인적인 삶의 영역에선 짧은주기를 통해 수시로 무게중심을 잡을 것을 요구한다. 반면, 직업적인영역에서는 탁월한 성과를 위해 불균형상태가 발생할수도있다는것을 받아들이도록 이야기하고있다. 결국, 장거리를 주행해야하는 상황에서는 분명히 무게중심에도 우선순위가 있다는것을 인지해야한다는 말이다.
내가 투자의 영역에 있어 전문가수준에서의 극단적인 노력이 필요하더라도, 가족관계나 건강에 있어서는 점검을하고 중심을 잡아가는 것을 늘 후순위로 두거나 외면해온 날들이 떠올라 돌아보는 시간이되었다. 나에게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 의지를 계량하고 장기적으로 목표를 달성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스케쥴링을 하고자한다.
227 #남다른 성과
남다른 성과를 원한다면 단 하나를 위해 일할때 OK 고원이나 다른성취의 한계를 받아들여선 안된다.
고원과 한계를 넘어서고 싶다면 이때 필요한 접근법은 단 하나, 목적의식을 가진 접근법 뿐이다.
#목적의식이있는 성과
다음 실전투자를 염두해두고 이런 고민을 반복했던것 같다. 12.4%의 취득세를 내고 당장의 주택수를 더 늘려나가야할지, 또는 중장기적으로 로드맵구성에 적합한 서울투자를 전개해나가야할지를 두고, 목적의식이 다소 흐려질 수 밖에없었다. 결국 크게 그리는 꿈이 무엇인지 다시 돌아봤고, 내 상황에서 적합한 로드맵은 추가매수가 아니라 매도라는 결론을 낼 수 있었다.
만약 목적의식을 명확하게 하지않았다면, '1년에 1채 매수'라든가, '다음실전투자'라는 관성에 갇혀 새로운 판단을 하길 주저했을거라는걸 안다. 단순히 성장을 원하는게 아니라면, 취미활동을 하는게 아니라면, 결국 우리가 내리는 모든 선택은 목적의식에 부합하는 행동으로 채워넣어야하며, 관성적으로 OK를 외치고 의미없는 시간을 쓰는 태도를 경계해야할 것이다.
댓글
이십만키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