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뜨거운 열정과 사이다같은 명쾌함, 뜨사입니다.
벌써 월부학교 강의도 4강째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너무너무 빨리 지나가서 어떻게든 붙잡고 싶어질 정도로
시간이 빠르게 지나가고 있는데 마지막까지 제대로 달려봐야겠습니다.
월부학교 대망의 4강은 메로나 튜터님께서 준비해주신
'3억 더 버는 아파트 찾는 법'이라는 강의였습니다.
확실히 월학강의는 다르다고 이번에도 느끼게 되었는데, 기본적으로 지역들을 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는 부분이나,
많은 동료들이 관심 가지고 있는 단지들을 가져와서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면서
우리가 가지고 있던 편견과 이로 인해 놓칠 수 있는 부분들을 정말 강렬하게 잡아주셨습니다.
핵심이라고 말하시며 인사이트 뿌려주신 메로나 튜터님 감사드리고
조금이라도 더 기억이 날 때 후기로 남겨보려고 합니다.
돈 버는 아파트 공식 알아야하는 이유
시작부터 관심있어하는 지역을 딱 집으시며 이야기하는 부분에서 확 몰입이 되면서 시작한 강의.
싸긴한데, 아직 전세가율이 낮아 투자금이 많이 드는 지역 어떻게 해야할까?
40평대는 트레킹하나요? 라는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할 수 없었습니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는 체크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더 벌기 위해서는 거주민 보다 지역을 잘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거주민이 과거의 경험에 사로잡혀있을 때, 과거와 현재의 차이를 알고
기회에 대한 확신으로 흔들리지 않아야 더 버는 투자를 할 수 있다.
돈 버는 지역 공식
실거주 관점, 인식의 변화, 수도권 신축의 가치
가격의 허들을 세우지 말아야 한다.
실거주자의 눈으로 보면 그들은 더 좋은걸 보고 있지 않나?
(BM) 가격의 허들을 없애고 실거주자들이 선호하는 좋은 것 부터 보자.
인식의 변화를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사람들이 어떤 걸 좋아하는가?
외곽 신축 84가 서울 구축 59보다 무조건 비싸다고 할 수 있을까?
사람들이 아기가 태어나서 집을 구할 때 외곽 신축을 고르지는 않을까?
(BM) 내가 가지고 있는 수도권 물건의 가치를 알기위해 한급지 위에 구축59 트레킹하기!
내가 가지고 있는 수도권 물건이 안좋아 보인다면 앞단의 구축을 보라
그러면 조급함이 사라지고 내 물건의 가치를 생각해볼 수 있다.
교통 노선이 새로 생기면 옆 동네의 수요를 뺏어올 수 있는 OO 지역
게다가 많은 공급으로 가격이 눌려있었던 OO 지역 기회가 아닐까?
공급은 기회를 준다. 그리고 전세도 자기 자리를 찾아감을 기억하자.
(BM) 공급에 의해 전세가가 낮더라도 넘기지 말자, 싸게 사는 기회이고 전세는 결국 제 가치를 찾아간다.
돈 버는 단지 공식
실거주 관점, 인식의 변화, 수도권 신축의 가치
먼저 돈버는 단지에 대해서 생각할 때는 부자의 관점과 거주민의 눈을 가져야 한다.
부자들은 차별성을 원하고 그 차별성은 바뀌어간다.
(BM) 한강의 가치는 뷰 뿐만이 아니다. 교통도 아주 큰 요소이다. 부자들을 지하철을 타지 않는다.
압구정 반포, 그리고 신흥 부촌인 한남 성수, 그 다음은 어디로 갈까?
큰 지도를 보고 선호와 인식의 변화를 파악해보자.
OO 지역의 낮은 전세에 대해서, 이게 계속 이어질까?
제자리를 찾아갈 수도 있다. 그렇다면 지금 눌려있어서 너무 싼 가격은 기회가 아닐까?
OO 지역의 인식의 흐름은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가?
지금 구도심으로 다시 돌아오고 있고 압도적 학군이 강화된다면?
타 지역에서 압도적 선호받는 지역의 사례를 보고온 지금 기회가 되지 않을까?
(BM) 연도별 인구이동의 흐름을 긴 관점에서 살펴보자. 지역의 미래를 알고 더 버는 투자의 인사이트가 된다.
분임가고 시세지도를 그릴 때 단임전에 순위를 정하면 좋다. 그리고 현장에서 확인하는 과정으로 단단하게 만든다.
시세지도를 그리고, 초교로 단지 구분과 소생활권 순위를 정한 뒤, 연식별 단지 순위를 정하고, 현재시세와 전고점을 붙여본다.
(BM) One Action!
지역 및 단지 파악 -> 시세지도 (w/초교) -> 단지순위 (w/연식, 내생각) -> 저평가 단지 (w/비교평가) -> 생활권 인사이트 정리
그리고 뷰가 보이거나 특장점이 있는 단지는 전고점에 이가 반영될 수 있음을 기억해야한다. 평매물을 전고점 하락률로 보면 저평가 판단시 왜곡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판단한 생활권별 저평가 단지들을 전부 가져온 후 이제 전세가를 붙이고, 환수원리를 판단한다. (지금 하는 과정이다!)
적용 할 점들
(BM) One Action! 지역 및 단지 파악 -> 시세지도 (w/초교) -> 단지순위 (w/연식, 내생각) -> 저평가 단지 (w/비교평가) -> 생활권 인사이트 정리
(BM) 가격의 허들을 없애고 실거주자들이 선호하는 좋은 것 부터 보자.
(BM) 내가 가지고 있는 수도권 물건의 가치를 알기위해 한급지 위에 구축59 트레킹하기!
(BM) 공급에 의해 전세가가 낮더라도 넘기지 말자, 싸게 사는 기회이고 전세는 결국 제 가치를 찾아간다.
(BM) 한강의 가치는 뷰 뿐만이 아니다. 교통도 아주 큰 요소이다. 부자들을 지하철을 타지 않는다.
(BM) 연도별 인구이동의 흐름을 긴 관점에서 살펴보자. 지역의 미래를 알고 더 버는 투자의 인사이트가 된다.
감사합니다. 뜨사 올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