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3. 읽은 날짜: 2024.05.22
4. 총점 (10점 만점): 8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Chapter1. 4장.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p.44]
#우선순위 #성공목록 #no말하기
세상에서 모든 것이 똑같이 중요할 수 없다. 무조건 바쁘게 움직이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 생산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일을 중심으로 하루를 시작해야한다. to-do-list가 아닌 '성공 목록'을 만들어서 불필요한 엉뚱한 길로 가는 것을 막아야한다. 이렇게 가장 중요한 일을 가장 중요하게 할 수 있으려면 다른 불필요한 것들에는 'no' 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일이 끝날 때 까지 다른 모든 일에는 '지금 말고'라고 딱 잘라 말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중요하지만 가장 어려운 일인것 같다.
[Chapter1. 5장.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p.58]
#집중력 #대가
거의 모든 사람이 멀티태스킹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라고 믿고 있고, 그렇게 일을 하는 사람이 일 잘하는 사람의 강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하번에 두가지 일을 하면서 생기는 비극들은 사람들이 너무 많은 일을 하려고 애쓰다가 반드시 해야 할 일, 기억해야 할 것들을 읹어버리는 데서 발생한다. 여러일을 동시에 함으로써 중간에 기존 일을 중단하고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데는 언제나 시간이 걸리는데, 이렇게 자주 작업을 전환하게 되면서 생기는 대가로 추가시간이 생겨버린다. 동시에 두가지 일을 할 수는 있지만 업무의 효율성은 떨어지며 두가지 모두 평등게 집중 할 수 없고 오히려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것 같다. 집중력을 위해서는 우선순위에 집중하자!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1. 균형 잡힌 삶을 추구한다는 것은 어떤 것도 극단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p.98
지금까지 '워라벨', '투라벨' 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왔고, 나또한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왔다. 사실 더 추구해 왔다는 것이 더 맞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저자는 균형을 잡는다는 것은 모든 일에 관심을 쏟는 것이고, 모든 일에 대한 노력이 부족해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시간은 기다려주지 않으며, 정해진 시간 내에서 기적을 이루어 내려면 우선순위에 맞게 자동적으로 균형에서 벗어나야만 한다. 하지만 가족,건강,친구,정직 같은 개념들은 유리공 같아서 그걸 떨어뜨리면 돌이킬 수 없이 흠이나고 깨어진다. 여기까지 읽은 나는 '그래서.. 어떻게 하라는 말이지?'하는 생각이 들었다.
2. '성공하려면 주변 환경이 당신의 목표 달성을 도와줘야 한다.' p.252
'홀로 성공하는 사람도 없고, 홀로 실패하는 사람도 없다.' p.254
나를 더욱 이롭게 하는 사람들로 주변을 채워야 하는데 월부가 아주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 혼자 하는 것 보다 함께 하는 것이 더 성공률을 높인다는 것은 팩트였다. (나의 성공을 반대하는 남편에 대한 해결방안은... 조금 더 공부를 해봐야겠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1. 원씽에 대한 개념을 메모지에 적어서 책상 앞, 냉장고에 붙여놓고 적용하기
2. 신체적인 에너지를 무시하지 말고 좋은 음식을 먹고, 운동을 하며 생산성을 높이기
3. 생산성을 훔쳐 가는 도둑들을 멀리하고, 단 하나에 집중할 수 있는 물리적인 환경을 만들기
4. 확보한 시간을 지키지 못했다면 대체할 시간을 찾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적어보세요
p.259 '큰 삶을 살려면 생각만 크게 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이르는 데 필요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
p. '완전히 성숙한 것을 처음부터 손에 넣을 수는 없다. 손에 넣을수 있는 것은 “작은 것”과 그것을 크게 키울 수 있는 “기회”이다
댓글
캡틴마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