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켈러, 제이 파파산/ 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024.05.17.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1. 중요한 일만 파고들어라]
#초점좁히기 #중요한건_소수의일 #빼기가_중요
모두 공평하게 같은 시간이 주어졌는데 어떤 이들은 더 많은 것을 이뤄낸다.
핵심은 파고들었기 때문이다. ‘파고든다는 것’은 곧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일을 무시하고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에만 집중하는 것을 뜻한다.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되어 있다. 사람들은 일의 양에 따라 성과가 점점 더 쌓이기를 바라는데, 그러려면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하다.
육아와 살림을 하며 부동산투자공부를 하는 나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모든 것을 다 잘하려고 하니 뭐하나 제대로 되는게 없고 모두 흐지부지이며, 나는 나대로 에너지가 소진되는 중이다. ‘빼기’를 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2. 모든 위대한 변화는 차례로 쓰러지는 도미노처럼 시작된다.]
#도미노효과 #훌륭한성공은_순차적
도미노를 쓰러뜨리는 일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우선순위를 새로 정하고 첫 번째 도미노 조각을 찾은 다음, 그것이 넘어질 때까지 있는 힘껏 내리친다. 훌륭한 성공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그 다음에 또 한 가지 올바른 결정을 내린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것들이 쌓이다 보면 성공의 잠재력이 봇물 터지듯 발산된다.
핵심은 오랜 시간이다. 성공은 연속하여 쌓인다. 단, 한번에 하나씩이다.
저자는 처음부터 끝까지 ‘단 하나’를 강조한다. ‘단 하나’의 우선순위를 정해 나의 모든 에너지를 집중하여 첫번째 도미노를 쓰러뜨리는 것이다. 그것들이 하나씩 쌓이면 처음에 커보였던 목표도 초반의 작은 도미노들이 순차적으로 다음 도미노를 쓰러뜨리면서 결국에는 큰 목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할 일 목록’ 대신 ‘성공 목록’을 만들어야 된다는 것
항상 일을 시작하기 전에 할 일 목록에 계획들을 나열하며 중요하지 않은 일이지만 빨리 처리할 수 있는 일들부터 제거하여 열심히 살고 있다고 위안을 받았었다.
정작 중요한 일은 최우선순위인데도 불구하고 심적인 부담감으로 계속 미루거나 나중에 일할 시간을 좀 더 확보해서 시작해야지 하는 마음으로 미룰 수 있을 때까지 미루기도 했다.
하지만 책에서 성공하는 사람들은 다른 이들이 나중에 하려고 하는 일을 먼저 하고, 다른 이들이 먼저 하려는 일은 뒤로, 때로는 무기한으로 미룬다고 한다.
모든 것이 똑같이 중요하지 않기에 내가 중요한 한가지를 하기 위한 성공목록을 만들어 중요한 일에만 파고들어야 한다.
2. 선택적 집중을 통해 습관으로 만들고, 그 습관은 삶을 바꾸어 놓는다.
성공은 단거리 경주이다. 건전한 습관이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단거리 전력질주이다. 우리가 얻을 성취는 한번의 행동이 아닌 삶에서 만들어진 건전한 습관에서 나오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투자해서 좋은 습관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오늘 반드시 해야 할 ‘단 하나’에 집중하기. 나머지는 빼도 좋다.
2. 좋은 습관 들이기. 아침 6시기상, 아침에 물 한잔 마시기, 틈나는대로 독서하기
3. 내가 오늘 해야할 원씽을 정하고, 그 일을 할 시간을 확보하기 그리고 그 시간을 보호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14) ‘단 하나’(The one thing)만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라는 것이다.
(P.18) 원하는 일이 어떤 것이든 최고의 성공을 원한다면 접근방법은 늘 같은 방식이어야 한다. 핵심 속으로 파고들어야 한다. ‘파고든다는 것’은 곧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일을 무시하고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에만 집중하는 것을 뜻한다.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P.19) 사람들은 일의 양에 따라 성과가 점점 더 쌓이기를 바라는데, 그렇게 하려면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하다.
(p.26)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그 다음에 또 한 가지 올바른 결정을 내린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것들이 쌓이다 보면 성공의 잠재력이 봇물 터지듯 발산된다.
핵심은 오랜 시간이다. 성공은 연속하여 쌓인다. 단, 한 번에 하나씩이다.
(p.34) ‘단 하나’를 자신의 일과 삶에 적용시키는 것은 성공을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도 현명한 일이다.
하나의 열정->하나의 기술
(P.46) 바쁘게 움직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개미들도 늘 바쁘지 않은가. 정말 중요한 것은 무엇때문에 바삐 움직이는 가이다
(P.47) ‘할 일 목록’ 대신 ‘성공 목록’을 만들어라
할 일 목록은 당신을 여기저기로 잡아끌지만, 성공 목록은 구체적인 한 방향으로 이끌어 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