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독서후기[열반스쿨 중급반 37기 32조 작은행복]

  • 24.05.26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1.책 제목: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2.저자 및 출판사:너나위/(주)알에이치코리아

3.읽은 날짜:2024.05.26~2024.05.27

4.총점(10만점) :10점/10점


STEP2. 책에서 본것


[Chapter 1.왜 투자를 해야하는가?]

#자산 #노후 #돈의 가치 하락

p27. 무관심속에 썩어가는 당신의 돈

통화량증가=돈이 흔해짐=돈의 가치 하락이다.

돈의 가치가 하락하면 자연스럽게 예전과 같은 돈으로 할수 있는 것이 줄어들수 밖에 없다.

10년 전에 비해 물건의 가격이 오른 진짜 이유는 돈의 가치 하락때문이다.


p39~40 당신의 돈을 통장에서 썩히지 않으려면

대책을 강구해야한다. 돈을 현금이 아닌, 자산으로 바꿔야한다. 그것이 바로 투자다.


p42 가계,기업,정부라는 경제의 3주체가 각각 나누어 가지는 부의 비율이 이전과

다르게 큰 격차를 보인다(양극화).소득분배의 불균형이 심해지고 있다.갈수록 노동가치가 떨어지고있다.


p49 고령화와 노후파산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에서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기에 세계 각국이 자국민의 노후를 고민 중이다.p55돈은 더 오래, 많이 벌어야 하고 정부의 연금시스템은 기대 할수 없는 수준인데다 고령화로 인한 노후 파산자가 속출하는 상황,이는 이미 현실이 되어 우리 곁에 가까이 다가와 있다.


p64.p65 투자의 이유

이대로 살면 나와 내 가족에게 경제적 위협이 닥칠 수 있기에 투자해야한다.


[Chapter 2.당신과 돈이 가야할 방향]

#가치#시간

p75 직장인의 투자 전략

지금 당신이 '시간을 투입해서 돈을 버는 사람에 해당한다면 시간과 무관하게 돈을 버는 사람으로 이동'해야한다.


p80.p82 돈을 대하는 방식

직장에 다니면서 모을수 있는 돈을 최대한 확보하는 동시에, 그 돈을 소비자산이 아닌 '생산 자산'을 사는데 써야

한다.


p86~88 돈을 쓰면서 결국 돈을 버는 법

그렇게 지년 3년간 사들인 부동산 덕분에, 과거라면 꿈도 꾸지 못할 만큼의 소득을 얻었다.여전히 직장생활을 하고 필요한데 돈을 쓰며 부동산을 매입하는데 필요한 일을 하는것 외에 따로 일하지 않앗는데도 말이다. 달라진것이라곤, 돈을 쓰는 대상을 바꾼 것뿐인데, 즉 내가 산 것보다 절대 비싸게 되팔수 없는것(소비자산)을 사들이는것 에서 내가 산 가격보다 비싸게 팔수 있는것(생산 자산)을 사기 시작한 것이다.


p88 직장인의 비 근로소득 창출 6단계

1단계.:직장에서 열심히 일하고 그 대가로 급여를 받는다.(시간->근로소득으로 교환)

2단계: 소비자산에 대한 지출을 최소화한다.(절약)

3단계: 남은 돈을 모은다.(자본화)

4단계: 모은 자본으로 생산자산을 산다.(투자)

5단계: 앞의 1~4단계를 반복하며 규모를 키워 자산 시스템을 만든다.(시스템 마련)

6단계: 시스템으로부터 일하지 않고도 소득을 얻는다 (비근로 소득 확보)


p93 투자할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 그 투자로 얻을 수 있느 ㄴ수익이 인플레이션을 상쇄하는 수준인가 하는 것이다.


[Chapter 3.평범한 직장인도 얻을수 있는 성과]

#전세금 레버리지,#저평가 아파트,#수익률

p161 잃지 않는 부동산 투자를 하고 싶다면 , 다음 3가지를 갖춰야한다.

첫째는 부동산의 저평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안목, 둘째는 적은 투자금으로 투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 셋째는 역전세 등에 대비하여 내 자산을 방어할 수 있는 자금 동원력이다.


p163 '준비된 자에게 기회가 온다' 라는 말은 부동산 투자에 있어서 '아는 지역이 많아야 투자 시점에 보다 빨리 자신있게 실행할수 있다' 라는 의미라고.

시간이 갈수록 성장하고 좋은 투자를 하고 싶다면, 투자할 수 있는 상황이든 아니든 아는 지역을 넓혀 가기위해 노력해야한다.


[Chapter 4.성공 투자를 위한 필수 지식]

p211 당신이 잃지않는 투자를 위해 저평가된 지역을 찾아내고자 한다면, 먼저 아는 지역을 늘려가야 한다(품질대비 저렴한 소고기를 사고자 한다면, 먼저 아는 정육점을 늘려야 하는 것과 같다) 서울이나 광역시의 경우 구 단위로 5곳, 그 외 지역의 경우 시 단위로 5개 이상의 지역을 선정해,알아가라. 그리고 그 안에서 가치(입지)대비 싼 물건을 찾고 그들 중 전세가율이 높아 투자금이 적게 드는 물건에 투자하라.


[Chapter 5. 누구나 따라 할수 있는 투자 메뉴얼]

p255 투자 기준 세우기

1단계:투자의 기준

다양한 투자 종목 중 어떤 것에 투자할것인가?

2단계: 부동산 투자의 기준

부동산 중 어떤 대상에 투자할 것인가?

3단계 아파트 투자의 기준

아파트중 어떤 아파트에 투자할것인가?

4단계: 더 좋은 아파트 투자의 기준

앞의 3단계 투자 기준에 맞는 여러 아파트 중 어떤 것에 투자할것인가?


p256 아파트 투자의 기준

첫째: 저평가된 상태인가?

둘째: 투자금이 적게 드는가?

셋째: 리스크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가?


[Chapter 6.당신의 돈 그릇을 키우고 싶다면]

p328 인식과 태도의 변환이 시작이자 끝-불가능한 일에 에너지를 낭비하기보다 현실에서 내가 할수 있눈것을 해야한다.

p333 조급함 버리기

p340 꾸준함>실행>결심

p341 당신 주변에 비슷한 생각과 목표를 가진 사람들을 둬라.


STEP3. 책에서 깨달은것

p65 피해야 할 것은 노후 준비와 투자의 필요성을 알고 있으면서도 행동 대신 불평만 늘어 놓는 태도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덮어놓고 문제점만 비난하지 말고 현실을 직시하고 배워가며 노력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람에게 더 많은 기회가 생긴다.


p78 현재 대한민국의 저금리 환경에서는 은행의 예금 통장 안에 잠든 돈 역시 '소비자산'이다


p88 시간을 투자해 소득을 만들고, 그 중 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비용을 제외한 나머지를 모아서 자본화한후,

자본으로 생산 자산을 사는데 쓰는것, 바로 이것이 자본주의의 원리를 깨닫고 투자라는 수단으로 부를 쌓은 사람들이 사용했던 방법이다.

p101 젠세금을 레버리지로 활용하는 투자는 결국, 투자비용을 줄여주므로 수익률 또한 그에 대응하여 높아질수 밖에 없다.


p214 시세차익형 전세투자를 하는경우

첫째 여러 지역의 물건과 비교해본 결과 저평가 된것이 확실한가?

둘째, 전세가율이 높아 투자금이 적게 둘어가며, 건당 리스크는 작은 물건인가?


p228 똘똘한한채-자산의 높은 가격대만큼이나 투자금 규모와 가격의 변동폭이 커서 감수해야할 리스크 또한 커진다.쉽게 말해, 출렁거림이 심한 것이다.종잣돈이 많아야 하고큰 폭의 역전세가 오더라도 대응할수 있는 넉넉한 자금이 있어야한다.똘똘한 한채 투자방식은 여유자금이 풍부한 고액 자산가에게 상당히 유용한 투자법이다.


p230 시스템 투자법-비교적 입지가 우수한데도가격 자체는 그리 높지 않은 아파트를 위주로 투자.

소액으로 채수를 늘려가며 시스템을 만드는 투자. 똘똘한 한채만큼 상승하지 않지만

하락시에도 낙폭이 적거나 비슷한 수준에서 버텨낸다.




STEP4.책에서 적용할 점

지출을 관리해야한다-우리집 지출 중 무엇을 줄일수 있을까? 우선 알뜰요금제로 통신비 절감하기,

교육비(학원비 )아낄수 있는 부분 아껴서 저금하기-인강을 하면 좋으나 학원 가길 원하면 착한가격의 학원가기^^

카드 사용하지 말고 현금으로 살기-현실적으로 힘들어 1개만 남기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89 적은 돈으로 투자가 가능한곳을 찾는 능력을 익히고 동시에 투자 횟수를 늘려 자산을 확대하 나갈수 있는 꾸준함이다.

p221 용돈벌이가 아닌 인생을 바꾸는 투자의 과정

1.노후 준비를 목표로 돈이 얼마나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계산한다.

2.현재 현금 흐름을 파악하고 저축이나 자본 재배치를 통해 투자를 위한 종잣돈을 마련한다.

3.보유자산의 크기를 키워나간다.

4.매입한 부동산을 장기 보유한다.

5.원하는 은퇴 시점을 전후로, 축적된 자산을 현금 흐름화하거나 매도해 시세차익을 얻는다.


p223 긴 호흡으로 자산을 쌓아 올려 인생을 바꾸는 투자를 하길 바란다. 이러한 이유로 처음부터 가급적 팔지 않을 가치있는 부동산을 매입해야 한다. 동시에 바로 2년 뒤가 아닌 10년 뒤를 바라보는, 즉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투자에 접근해야한다. 부동산의 특성상, 짧은 미래는 그릴수 없어도 10년 이상의 기간이 흐른뒤 시장이 어떻게 될지는 오히려 알기 쉽다. 물가가 오르듯 부동산의 가격도 오르기 때문이다.그래서 부동산 투자는 결국 시간에 투자하는것이다.


댓글


작은행복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