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굿리더입니다 :)
지방투자기초반 마지막 강의는 게리롱 튜터님께서 진행해주셨습니다.
매번 강의를 해주시는 튜터님들의 내공에 놀라지만,
이번에도 어김없이 게리롱 튜터님의 내공에 또 놀랐습니다.
그 드넓은 F지역을 한 번에 설명해내시다니...
제게는 F지역이 한 덩어리로 보이기 보다
조각조각 어지럽게 펼쳐진 퍼즐 같았는데,
튜터님 강의에서는 이게 하나의 완성된 그림을 보는 것 같았습니다.
그만큼 강의를 하시기까지
많은 시간과 열정을 쏟아부으며 담금질하셨겠구나 생각들었습니다.
후순위 지역까지 다 봐야 좋은 게 얼마나 좋은지 알 수 있단 점
다시 한번 튜터님 강의를 들으며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1차, 2차, 3차 언덕 구분법 ㅎㅎㅎ
나중에 F지역 임장하면서 언덕 기준을 세워보겠습니다 ㅎㅎㅎ
튜터님의 입지분석이 신기했던 점은,
입지분석의 틀이 실준반과 기초반에서
다 배울 수 있는 내용으로 분석해주신 점이었습니다.
입지분석이란게 뭔가 화려한 데이터나
분석기법이 필요한게 아니라,
정말 기본적인 데이터로도 좋은 인사이트를
얻어낼 수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기본적인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해
의미있는 분석으로 만들 것인가가 결국은
훨씬 중요하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입지분석 파트 중에서, 역시 이번에도 공급을 주의깊게 들었습니다.
보통 공급은 어디에 들어오는지 그 위치가 중요하다고 튜터님들께서 말씀주셨습니다.
F지역을 보니 그 말씀의 의미가 훨씬 와닿았습니다.
F지역은 절대적인 공급은 줄어드나,
앞으로 있을 공급의 위치가 사람들이 좋아하는 곳이란 점을
알고 투자해야 했습니다.
튜터님께서 광역시가 어려웠다는 말씀에서
정말 깊이 공감하였습니다.
수도권처럼 광역시를 보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중소도시처럼 보는 것도 아니고,
입지와 연식을 어떻게 조합해서
광역시를 투자로 접근해야할지가 최근 가장 큰 고민이었습니다.
게리롱 튜터님 강의를 들으며
다시 광역시 분석에 대한 개념을 잘 정립하고 갑니다.
광역시는 확실히 입지 좋은 구축이
입지 떨어지는 신축을 이길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단, "입지 좋은 구축"의 범위는 그리 넓지 않음을 깨달았습니다.
입지가 좋은 곳(00구) 안에서도,
'평균 이상의 선호도'를 가진 곳이어야 한다는 점
짚어주셔서 참 좋았습니다.
이 부분을 000구로 예시를 들어주셔서 확 와닿았습니다.
광역시 내 1등 구여도 그 안에서 구축을 봐야 하는 범위가 갈릴 수 있단 점 깨닫고 갑니다.
제 첫 지방 임장지가 부산 수영구였습니다.
당시 저평가보다도 절대적으로 저렴한거나
투자금 적은거만 보고 1등이지!라고 뽑았던 기억이 납니다.
수영구라면 부산에서 상당히 좋은 입지를 갖고 있는 곳인데,
그 안에서도 선호도가 있는 구축이어야 했습니다.
제가 당시 뽑았던 1등 단지는 지역 내에서 선호도가 상당히 후순위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ㅎㅎㅎㅎ
튜터님께서 실력의 중요성을 강조해주셨으나...
그래도 마지막에 현 시점에서,
F지역에서의 적정 투자금 규모나,
광역시별 투자 접근법(트래킹 지역, 가격이 중요한 지역, 기회의 지역)
에 대한 생각을 알려주셔서 참 감사했습니다.
24년 5월, 저의 꿈은 무엇일까요?
정해진 목적지가 꿈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내가 달성하고 싶은 것이 곧 꿈.
저는 이번 달, 나의 실력의 밑거름이 되어줄
알토란 같은 앞마당을 만들고 싶습니다.
튜터님께서 매달 월간 게리롱을 쓰시며
한 권이 1억에 가까운 내 실력자산을 만들어줄거라
생각하셨다고 했습니다.
저 또한, 지금 제가 하루하루 쌓고 있는
이 시간이 곧 무엇보다도 소중한 실력이란
자산으로 되돌아 올 것임을 믿고 나아갑니다.
게리롱 튜터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