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본깨
1.A지역의 위상과 입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게 되었다.
-A지역이 다른 동급 지역들 사이에서의 위상, 그리고 A지역 주변 지역들에서 A지역의 위상에 대해서 지리적 위치나 인구교류 등으로 설명해주셔서 A지역이 단순히 규모뿐만 아니라 투자적인 측면에서도 수요가 있을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게 됐다.
-또한 생활권별로 세부적으로 나눠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입지적 요소를 기준으로 A지역 전체와 구별로 세부적으로 설명해주시면서, 서울 대치동이나 목동에 비유하는 듯 알아 듯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A 지역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특히 모든 요소중에 압도적으로 중요한 요소들이 있는데, 기존에 막연히 알고 있던 것에서 실제 임장경험을 토대로 예시를 들어 설명해주셨고, 특히 특정 표현을 곁들여서 유행어(?)처럼 말씀해주셔서 자동으로 외워지게 되는 상황에 이르렀다.ㅎ
-입지요소 중 교통은 서울수도권과 어느정도 차이가 있는 지 궁금했는데, 이런 부분에 대해서도 비교단지를 통해서 설명해주셔서 투자에 있어 교통의 어떤 점을 어느 정도 반영해서 생각할지 가늠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A지역 구별 특징과 가격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A지역의 구별 특징을 하나의 키워드로 정리해서 말씀해주셔서 해당 구에 대한 감을 잡고 설명을 들을 수 있었으며, 구별로 설명을 진행하다가고 앞선 구에 특정단지와 가격을 비교하면서 어디가 더 저평가됐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구의 경우 아직 가치대비 가격 회복을 하지 못한다는 사실도 가격 비교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3.A지역 투자 전략에 대해서 배웠다.ㅎ
-A지역을 투자할 때 어떤 요소를 전략적으로 봐야하는지에 대해서 3가지 키워드로 알게 되었고, 동일 조건하에서는 전략요소를 고려하여 투자대상 단지를 선정해야한다는 것도 배우게 되었다.
-특히 평소에 지방 투자를 할 때 중심적으로 고려하고 있던 OO에 대해서, A지역의 경우는 더욱더 보수적으로 봐야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무래도 A지역은 신축이 많다보니... 이는 다른 지역 투자에 있어서도 고려해야하지 않나 생각했다.
-A지역 투자의사결정기준을 연식과 지역을 중심으로 세부적으로 구분하여주신 부분은 정말 향후 투자결정에 있어 구체적으로 도움이 될 거 같다.
-A지역에서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향후 어떤 방법으로 트레킹을 해야 하는지도 알게 되면서 기존에 내가 하던 시세트레킹 방법에 대해서 재고하게 되었다.
적
1.배운 위상과 입지를 토대로 향후 임장 및 임장보고서 작성 시 이를 고려하자. 특정 지역의 특정 생활권을 볼 때 이해하기 쉽고 기억하기 좋도록, 기존 임장 지역의 유사한 생활권을 떠올려 보자.
2.가치대비 가격회복을 하지 못했다는 단지를 보고, 강사님이 왜 그런 말씀을 하셨는지 내 기준으로 다시 고민해보자.. 저평가 판단의 매커니즘을 고민해보고 나의 것으로 만들자.
3.'1'과 마찬가지로 배운 전략적 요소를 가지고 실제 A지역 임장 및 투자에 적극적으로 적용해봐야겠다. 특히 투자의사결정기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여기에 나의 실제 임장으로 다듬어야 겠다.
4.강의에서 배운 시세트레킹 양식으로 기존 것을 손봐야겠다.
댓글
전티라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