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4주차 강의에서는 F지역을 통해 광역시 투자 방법에 대해 보다 포괄적인 시선으로 배울 수 있었다.
와이파이 전략
새로운 지역을 분석하려고 할 때 사실 시간에 쫓겨 그 지역 전체 상황에 대한 인지를 스킵하고 시작하게 되었던 것이 맹점이었다. 광역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한 지역에 대한 입지분석부터 시작 할 것이 아니라 게리롱님이 말씀하신 와이파이 전략을 통해 큰 틀부터 바라보고 하나하나 세분화하는 방법으로 입지 분석을 해 나가는 것이 그 지역의 특징을 좀더 세밀하게 이해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라 생각했다. 그 지역의 특성과 선호도, 시장상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한 후 ‘어떤 순서로, 어느 지역까지’ 라는 범위 설정을 해두고 투자로 접근하는 것 또한 중요한 포인트. 지역을 조금 더 폭넓게 해석한 후 세분화해 나가는 접근법을 익혀야겠다.
인구분석의 핵심
나 역시 인구파트에서 시간이 길어졌던 것 같다. 인구=수요, 왜 그 지역에 모여 사는가? 라는 생각을 하면 심플했는데 여기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졌던 것 같다. 이번 강의에서 알려주신 인구에서 제대로 파악해야 할 딱 두가지! 이것을 기준으로 큰 틀을 짜놓고, 입지요소와 맞아떨어지는지 하나씩 확인해 나가며 그 지역의 선호도를 제대로 파악해보자.
구축 투자
투자금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광역시에서도 구축 투자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지만, 지방에서 구축 투자는 위험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하지만 한정된 땅에서 충분한 수요가 있을 때 입지가 좋다면 사람들은 구축에라도 거주하려고 하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구축 투자도 충분히 의미 있는 투자가 될 수 있고 단, 모든 단지가 가치 있지 않다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시장 상황에 따라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투자 범위 안에 들어오는 단지가 구축밖에 없다면 입지와 가치에 대해 꼼꼼히 따져보고 가능성을 열어두어야겠다.
지방투자기초반을 수강하며 월초 목표했던 광역시 투자 기준을 제대로 배울 수 있었고, 투자에 대한 이해도를 조금이나마 상승시킬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퀄리티 높고 열정적인 강의 감사드립니다.
댓글
레이트버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