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안녕하세요!
오늘도 차곡차곡 쌓아올리는
건축가정신입니다^^
2024년 서울 시장 진단에서부터
서울 아파트에 투자하면 겪게될 일, 그리고 투자를 현실화하는 방법까지!
서울의 급지와 뉴타운의 특징을 큰 틀에서 익힌 후에
점점 zoom in하여
실제 하나의 매물에 투자하기 까지, 그리고 보유 갯수를 늘려갈 때
세금과 관련된 부분까지 배울 수 있는 강의였습니다!
흔들리는 이 마음, 어떤 구축까지 사도 되는건지...
지방은 그 지역의 특성과 입지에 따라 90년대 구축은 패스~ 하기도 하는데
서울은 아니죠! 아닌 건 알겠습니다만...
도대체 어떤 구축은 안되고, 어떤 구축은 사도 되는건가요?
서울이면 외곽도 다 괜찮다고 들은 것 같은데...맞나요?
신축은 너무 비싸고,
구축은 사기 두렵고,
어떻게 하면 좋을지.
예측하려 하지 말고
빨리 결과를 내려는 그 마음을 내려놓으세요
휘둘리며 헤매는 투자자와
좋은 투자를 해내는 투자자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주셨고,
전혀 급할 필요가 없고 일희일비 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를
데이터로 설명해주셨습니다.
아, 내가 1호기를 생각하며 좀 급했구나
깨닫게 되었습니다.
늘, 찬찬히 꼼꼼히 의도적으로 이성적으로 판단하려 노력하겠습니다.
적용할 점 : 상황에 따라, 타인의 말에, 기사에 휘둘리지 않는다 나는 '기준' 따라 움직이는 투자자다.
좋은 입지 신축>>> 좋은 입지 구축 vs 덜 좋은 입지 신축
ㅋㅋㅋ 딱 제표정 같네요.
좋은 입지 신축이 1등인건 알겠습니다.
궁금했던 것은 서울은 25개구 급지가 다 다른데
3급지 구축이 나은 건지 4급지 신축이 나은건지
더 나아가서,
Q. 3급지 구축인데 좋아하는 단지 vs 4급지 신축인데 덜 좋아하는 단지?
(와..헷갈린다...)
이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좋아한다'는 것의 의미와 '입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했습니다.
선호도+입지+연식을 모두 고려하여
현재 시장이 어떤지 가격으로 정리해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특히,
현재 매매가와 전세가의 흐름이 어떤지 파악하고
가치성장투자와 소액투자 관점에서
각각 어떤 단지를 노려봐야 하는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의사결정 시 어떤 순서로 단지를 봐야하는지
멘토님의 의사결정과정을 그대로 전해주셨습니다.
Q. 하급지 뉴타운 vs 상급지 구축
신규택지 너무 좋은데 역세권도 아니고 위치가 애매하다면, 역세권 구축이 나은건지,
4급지의 뉴타운보다 2급지의 구축이 훨씬 좋은 선택아닌지?
그렇다면 3급지 구축은vs 4급지 뉴타운은??
25개구와 뉴타운까지 꿰뚫고 있는 제주바다님의
단지를 예로 들어 비교 설명 해주셨습니다.
명.쾌.해.
수학공식 처럼 이럴때는 이렇게 결정해라! 같은건 없는거고,
사람들이 좋아하는 선이 어디까지인지 선호요소를 잘 파악하는게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잘한 점 : 강의를 들을 때 모르는 단지가 많이 나와서 카카오맵을 켜놓고 단지를 검색하며 제주바다님과 입지 공부를 하듯 수강했다. 교안에서 나와 지도에서 확인하니 단지가 좀 더 명확히 그려지고 기억되는 느낌이었다. 다음에 서울의 다른 지역 임장을 할 때 단지 이름이 익숙하게 다가올 것 같다.
서울 투자 의사결정하는 법
1주택자인지
무주택자이지
현재 상황에 따라 어떤 결정을 할 수 있는지
'현명한 선택'이란 무엇인지 배웠습니다.
쉬운 문제는 아니지만
서울에서도 소액투자가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로드맵을 명확히 알아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소액투자의 기회는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알려주셨고
단지에 한계를 두지 말고
투자금 범위에 갇히지 말고 넓게 봐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필수 단계를 넘어 레벨업 단계까지
가고 싶다는 마음이 강해졌고,
나는 한 채 투자 해서 일반보다 약간 더 자산이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상기했고
비전보드를 떠올려보며
결국 내가 가야할 투자의 방향은 앞마당을 늘려 가치비교와 투자금 비교를 스스로 할 수 있는 실력있는 투자자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같은 가격, 같은 투자금으로 최선인지 답하려면
실력을 쌓고 앞마당을 쌓는데 오랜시간이 걸리겠지만
매물임장까지 열심히 하면서 지역 내 비교를 넘어 지역간 비교까지 할 수 있는 투자자를 목표로하며
열심히 서울 시장에 대해 공부하고 앞마당을 늘려놓아야 겠습니다.
우선순위, 덩어리시간, 목표수치화
확언 : 2030년, 나는 서울에 2채를 투자하여 전세금 20억이 되었다.
2024년 6월에 나는 매물코칭을 넣을 만큼 비교평가를 열심히 했고, 2024년 하반기 드디어 1호기를 해냈다.
제주바다 멘토님의 초창기 3년 투자생활이야기가 마음에 남습니다.
이렇게 똑부러지는 제주바다님도 그런 시기가 있었다니...
내가 지금 겪는 과정을 겪은 선배, 튜터, 멘토님이 계셔서 든든하고
어려움이 있을 때 질문할 수 있는 환경에 감사합니다.
남은 2,3주차 강의도 열심히 듣고
덩어리시간에 임보에 집중하여
반드시 매물코칭 넣겠습니다!!!
열정을 쏟아 7시간의 강의를 해주신
제주바다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