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독모 자본주의 독서 후기

24.06.12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자본주의-ebs제작팀



 [Part1] - 빚이 있어야 돌아가는 사회, 자본주의의 비밀

-p7 : 물가는 절대 내려가지 않는다.물가는 오를 수도 있지만 내릴 수도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우리가 자본주의에 대해 크게 착각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자본주의 세상의 현실에서는 절대로 물가가 내려갈 수 없다

-p21 : 오르는 비밀은 바로 "돈의 양"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돈의 양이 많아지면 돈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고,결과적으로 물가가 오르게 된다.

-p23~33 : 자본주의는 이 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이 없고. 보다 정확하게는 돈의 양이 끊임없이 많아져야만 한다. 물가 근본적인 원인은 소비가 늘어가기 때문도 아니고 기업들이 많이 이익을 취하기 때문도 아니다. 은행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자본주의 시스템 때문이다.

p51:은행 시스템에는 이자가 없다.이 이자를 만들기 위해서 끊엄없이 돈을 찍어낼 수밖에 없다.

p61:인플레이션 후에 디플레이션이 오는 것은 숙명과도 같은 일이다. 왜냐하면 이제껏 누렸던 호황이라는 것이 진정한 돈이 아닌 빚으로 쌓아올린 것이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늘어나기는 하지만 그것은 일해서 만들어낸 돈이 아니라 돈이 돈을 낳고. 그 돈이 또 다시 돈을 낳으면서 자본주의 경제는 인플레이션으로의 정해진 길을 걷고 그것이 최고점에 이르렀을 때 다시 디플레이션이라는 절망을 만나게 된다!이것은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부인할 수 없는 숙명이다

p63:결국 자본주의 체제에서 "이자가 없다"는 말은 누군가는 파산한다는 말과 같은 뜻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돈이 빚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뉴스나 주변을 보면 요즘 물가가 많이 올랐다라고 많이들 얘기한다 그로 인해 정부에서 물가를 잡기 위해 여럿 정책을 내놓는다. 나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똑같은 상품이 1년전과 비교해서 가격이 오르니 상품 가격이 올라 물가가 올랐다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상품은 변한 것이 없다. 동일한 만원으로 같은 상품을 구매할 수 가 없으니 물가가 오른 것이라 느껴지지만 실상은 화페의 가치가 하락한 것!!또한 은행은 서민을 위한 상품들과 어려운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주니깐 서민을 생각해주는 금융기관인줄 알았지만..은행도 기업이다1! 이익을 위한 단체라는 것을 알아야한다!! 자산 시장은 호황끝엔 불황이 있다 무한정 상승과 무한정 하락은 없다 사이클을 알면 자산 시장에서 좋은 수익을 낼 수 있을 거 같다 하지만..인간은 대중심리에 약하다.. 추격매수 금지.. 나만의 기준 확립이 자산시장에서 중요한 거 같다



[Part2]-위기의 시대에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의 비밀

p102: 무엇에 손을 대면 안되는지 모르고 덤비다간 손가락이 잘리기 쉽상이다.금융 시장의 구성 요소에 대해 전혀 모른채 금융 시장에 가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화를 자초하는 일이다. 금율 열기로 인해 사람들은 아주 쉽게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함정이나 위험에 대해 배우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그리고 너무 많은 사람들이 금융으로 돈을 버는 모습이 보인다면 뭔가 잘못된 것이고 곧 무슨 일이 터질겁니다

p102:우리는 은행에 대한 생각을 바꿔야 한다. 은행을 너무 믿어서는 안된다. 그렇다고 은행과의 거래를 안 할 수는 없다. 모든 투자를 하지 말라는 이야기도 아니다. 모든 상품은 장단점이 있게 마련이란 사실을 인식하고 그 상품의 수익률과 함께 위험성에 대한 설명도 반드시 들어야 한다.모르면 묻고.이해가 될 때까지 질문해여 ㅑ한다. 그것이 자신의 이익을 먼저 추구하는 은행과의 공정한 거래법이다.

->은행은 국민을 위한 공공기관이 아니다1! 이익을 추구하는 사기업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은행원에 말에 휘둘려서 은행을 위한 상품을 가입하지 말고 조목조목 잘 따져봐야겠다..또한 평소에 재테크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면 호황 끝자락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시그널인 거 같다. 호황 뒤에는 불황이 있다는 것은 자본주의 숙명과도 같은 것!!! 나의 자산을 지키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고 공부는 필수!! 진짜 돈 벌수 있는 시기에는 자산 시장에 모두가 관심이 없을때다

p143:보험은 재테크가 아니다.보험을 저축이라고 생각하면서 보장성 보험에 가입을 하게 되면 굉장히 많은 금전적 손실을 감수해야 하고 또 내가 운하는 저축의 효과도 없다. 보험이란 장기적으로 유지하면 세금 혜택도 보고 좋을 수 있지만.2.3년내에 찾는다 그러면 손실도 발생하고 최소한 10년 정도는 불입해야 제대로 된 저축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원금을 굉장히 중요시한다1! 나 또한 그랬다. 사회초년생 때 변액보험 월30만원 12년만기 상품을 가입을 했다.12년후 원금 보장이 되고. 평균 수익률이 적금보다 좋기 때문에 복리를 생각 했을 때 이걸 왜 안하지라는 생각을 했다..당시 "원금 보장"이라는 말에 현혹이 된 거 같다.. 자본주의에 대해서 전혀 몰랐던 시절..이후 4년만에 해지를 하고.수익률이 좋지 못했고..몇 백만원을 손해를 본..아픈 기억이 있다. 나의 자산을 불려주고 지킬 수 있는 것은 펀드매니저.재무설계사가 아닌 본인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금융 상품으로 돈을 벌기 위해서는 공부는 필수이고. 상품 이면을 보기 위해 안목을 키워야 한다


[Part3]-나도 모르게 지갑이 털리는 소비 마게팅의 비밀

p211: 보안용 cctv가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한 여성이 백화점에 들어온다. 그때부터 여성은 철저하게 분석의 대상이 된다. 누구와 오는지.어떤 상품을 유심히 보는지. 또 기분은 어떤지도 살펴본다. 뿐만 아니라. 나이. 직업.수입까지 모두 관찰하고 물론 이 여성은 누군가가 자신을 관찰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 챌 수가 없다 충격적이지만 진실이다.

->보안용 cctv는 범죄로 부터 안전을 위해 설치되어 있는줄 알았다..하지만 이러한cctv가 마게팅 전력으로 활용된다는 것에 매우 충격적이고 놀랬다.백화점.마트등 설계에도 다 마케팅의 전략이라는 것이 놀라울 수 밖에 없다..우리는 현재 마게팅에 지배당하고 있다.물건을 구매할 때 왜 사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물어 볼 필요가 있을 거 같다.


p230:소비는 불안에서 시작된다.첫째가 불안할 때. 둘째로 우울할 때. 셋째 화가 났을 때 소비가 더 쉽게 일어난다.

p256:자존감이 낮으면 더 많은 돈을 쓴다.부정적인 정서. 부모님하고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애정적인 부분에서 불균형을 이루는 경우가 쇼핑중독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합니다.

->어느정도 공감한다.약20년전 중학생 때에는 사복을 입었다.당시 유행하는 브랜드 옷이 있었다.당시에는 몰랐지만 현재 생각을 해보면 유행하는 옷을 안 입으면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불안감을 느꼈던거 같고..자존감이 낮았고 워낙 내성적이였기 때문에 관심을 받기 위해 유행하는 비쌋 옷을 사달라고 했던 거 같다..안정적인 직장 생활을 하면서 부모님과의 관계.와이프와 관계.애정적인 결핍이 없다보니..소비를 덜 하게 된다!! 물욕 자체가 없어졌고.. 소비를 통해 행복은 단기간이라는 것을 깨달은 거 같다.. 물론 부동산 공부를 시작하면서 자산 시장.돈에 대한 시선이 달라진 것도 하나의 이유라고 생각은 한다!


[Part4] - 위기의 자본주의를 구할 아이디어는 있는가


[Part5] - 복지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자산 시장에 대한 사이클과. 자본주의 시스템에 대해서 알게 된 거 같다.

결국 나의 자산은 내가 지켜야하며 아무도 나에게 도움을 주지 않는다!! 자본 주의 사회에서 뒤쳐지고 파산당하지 않으려면 시장에 대한 공부는 필수라고 생각한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256:자존감이 낮으면 더 많은 돈을 쓴다.부정적인 정서. 부모님하고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애정적인 부분에서 불균형을 이루는 경우가 쇼핑중독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합니다.

->부동산 투자에도 똑같이 적용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공부를 하다가 보면은 동료나 투자 후기 글들을 보면은 조바심이 느껴지기 마련입니다.. 나도 해야하는데.. 나 이러다 뒤처지는 거 아니야? 이러다 공부만 하다가 사라지는 거 아니야?라는 불안감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동료분들이나 리더님께서는 투자 공부를 하다가 불안감.조바심이 느껴질 때 어떻게 불안한 마음을 잡고 꾸준히 공부를 이어나갈 수 있엇는지에 대한 얘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댓글


이제는 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