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나의 자모님!
인싸이트 + 지역분석에 BM 거리 모아보기 -> 적용하기
인싸이트
1) 보물찾기를 끝내자, 지역분석을 제대로 한다 -> 최소 서울앞마당 6개
2) 종사자수 + 500인 이상 대기업수 -> 같은 급지안에서 대기업 직장인은 직주근접 선호, 수요로 연결
3) 지방은 스타필드 생기면 난리 -> 직접적 수요가 아닌 일시적 관심, 찐은 직장이다 -> 어떤 직장인지, 규모 확인
4) 지도 위에 시세 올리기(전고점, 59+84도 보기) -> 기억하기 좋음, 동별 입지가치와 특징도 분석
급지, 구, 이런 형식적 툴로 얽매이지 말자, 너무 넓은 곳을 핸들링할 수 없으니 임의로 쪼개놓은것
구 안에서 생활권별(동) 가치와 특징 분석이 중요
5) 투자자 마인드, 잠실 좋구나, 근데 이미 전고점 많이 회복했네, 그럼 안산다, 다름 물결은?
6) 싼 기준 제시 = 22년말~23년초 전저점
그렇다면 전고점은? 보통 가치의 80~90% 확률로 반영(59가 11~12억이면 최선호, 애매해면 8억으로 이해)
7) 90년대 아파트 괜찮나? 10년 보유 가능한가?
오케이, 단 평촌 이상 입지 + 방 3
8) 지금은 겨울장이다, 봄/여름과 투자 방법이 다르다, 투자금 조금 더 쓰더라도 좋은 것을 확보
날아가는 여름이면 덜 좋은 것도 산다 -> 시장에 대응하는 투자
9) 직장인 투자자 vs 투자하는 직장인 -> 나의 목표를 정하고, 노력을 일치해라
전자를 바라면서 왜 후자처럼 하고 있는가? 전자는 30~40억 자산 형성 가능, 그러나 후자도 서울 아파트 2채로도 10억 달성 가능! 직장생활해서 10억 벌 수 있는가??
10) 무겁게만 받아들이지 말고 가볍게 하기, 지금 더 나아지기 노력을 기울이는 중, 충분히 값진 노력이다!
BM
1) 인구수/세대수/세대당 인구수 분석, 동네 분위기 예측 -> 지도에 올려보기 -> 임장가서 확인
2) 학군 좋은 곳은 정해져있다, 그 외 지역은 초등 학급당 인원수 확인 -> 선호지역
3) 비교평가 프로세스 : 지역내 -> 지역간 -> 투자 의사결정
지역내 : 지역 안에서 생활권 순위, 생활권 안에서 단지 선호도
지역간 : 같은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다른 곳은?
투자의사결정 : 저평가(전저점 확인), 리스크 대비(대출없이 투자금, 대출받고 잔금 가능 + 전세 세팅) -> 하나라도 불가하면 투자안한다, 안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도 투자!
4) 투자금별 투자가능 단지 정리 : 매매/전세/투자금/전고점 대비 하락률/전저점 대비 상승률 -> 1,2,3,4억
댓글
생각을현실로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