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13기 5252못말리는아가씨~ 매월] 3주차 강의 후기

안녕하세요 매월입니다


3주차 강의 후기 작성합니다.




알게 된 것


1. 서울은 키 맞추기를 한다. 그렇다고 강남구 > 서초구 > 송파구 순으로 오르는 건 아니고, 단지별로 하급지라도 선호도가 높은 신축이라면 가파르게 반등하는 곳도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흐름은 좋은 지역부터 키맞추기를 한다고 이해가 된다.

*입좋신 > 입좋구 or 입덜신 > 입덜구


2. 절대가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하급지만 골라 본다면 좋은 기회를 놓치게 될 것.

ㅡ 비슷한 투자금으로 상급지에 기회가 있을 수가 있다. 하급지 신축이 나을지 아니면 상급지 구축이 나을지 단순히 결과를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같은 투자금이라면 상급지 구축이 나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ㅡ 투자금보다 중요한 것은 "저평가 되어있는가?" 이다.


3. 각 동네마다 선호도 결정요소의 미세한 차이가 있다.

ㅡ 베드타운 역할을 하는 곳은 직장 접근성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직장을 갖춘 곳이라면 학군이나 환경처럼 다른 요소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4. 인구를 통한 인사이트

ㅡ 지금껏 인구분석을 과제처럼 하지 않았나? 생각이 들었구요. 자모님의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인구수에 대해 조금 더 투자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분석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ㅡ 세대당 인구수가 높은 곳은 높은 확률로 선호도가 높다라는 것은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세밀하게 놓친 것들이 있는 것 같아서, 기계적인 장표 작성을 조금은 지양하도록 하겠습니다 ^^

ㅡ 그리고 인구수를 보고 대략 생활권을 짐작하고 떠나는 임장이 실제 임장에서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5. 강남이 서울 입지의 기준이 되는 이유

ㅡ 강남이 서울의 핵심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단연 직장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서울과 거리가 있는 곳인데 급지가 높은 곳은 왜 그럴까? 하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ㅡ 교재에는 강서구가 나왓는데요, 강서구는 거리가 멀지만 '마곡'이라는 일자리가 있기 때문에 4급지에 속한다고 합니다.

정말 배울 부분이 많다고 느꼈습니다.


6. 그렇다고 서울은 무조건 강남접근성만이 우선될까?

ㅡ 강동구를 보면,환경이 좋지 않은 역세권보다 강남접근성은 떨어지지만 균질성이 좋은 고덕 같은 곳이 선호도가 높다는 걸 알 수 있다.

ㅡ 단순히 강남 접근 시간 순으로 단지 선호도가 나열되지 않는다는 점도 잘 기억해야 할 부분이다!


7. 호재에서 정말 찐 호재는 직장호재!!!

ㅡ 직장까지 바로 연결될 수 있는 교통도 큰 호재라고 생각합니다.


8. 서울도 상품성이 어느정도 작용하는 곳이다.

ㅡ 지방이든 서울이든 여유만 된다면 새 것을 좋아하는 건 다 똑같다.


9. 하락장과 상승장에서 투자의 범위는 달라진다.

ㅡ 하락장에선 좋은 것을 중점적으로 보고, 상승장에서는 안 좋은 것도 봐줘야 한다.



궁금한 점

서대문구처럼 서울 도심 직장에 가까운 베드타운 역할을 하는 경우 강남 접근성까지 열심히 고려해야 할까? 서대문구의 경우 도심 직장근로자가 많이 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느낀 점

1. 서울은 정말 아파트가 많고 그냥 아파트라고 하면 투자대상에 포함된다고 보면 될 정도로 아파트의 가치가 높은 곳인 반면, 지방 시장은 구축이 될 수록 가치를 잃어가기 때문에 어찌보면 투자 대상은 한정적으로 좁혀진다. 그렇기 때문에 서울 투자가 더 어렵다고 느껴진다. 물론 어느 것을 선택해도 돈은 벌 것이지만, 투자자라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2. 하락장에선 좋은 걸 사야 한다. 좋은 걸 깎아서 살려고 하는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감사합니다.


댓글


심심한동치미user-level-chip
24. 06. 25. 23:28

정리를 잘해주셔서 강의 복습하고 가요~ 감사해요 매월님! 저희 마무리까지 힘내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