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무늬스누피] 독서후기#24-15 나는 나의 스무살을 가장 존중한다

  • 24.07.10

도서명: 나는 나의 스무살을 가장 존중한다

-저자: 이하영

-읽은기간: 2024.07. 1~7. 10


[총평 ]

바라는 모습이 되려면 완벽함에 가까워져야 한다고 생각을 했다.

하지만 우리는 본질 그대로가 완전함 그 자체이다.

완벽함의 추구는 욕망이기에 머물러있지 못한다. 그래서 결과에서의 만족은 찰나이다.

하지만 우리는 완전한 존재임을 받아들인다면 결과를 바라보기보다 지금 이 순간에

집중을 할 수가 있다. 그렇기에 과정을 즐길 수가 있다.


즐거운 과정은 즐거운 결과와 연결되어 있다.

노력하고 애쓰는 과정은 계속 노력해야만하는 결과와 닿아있다는 말이 충격으로 다가왔다.

늘 나 스스로 목표에 가려면 채워야한다는 생각에

불만스러웠던 점들이 있었고 계속 미래를 보며 지내다보니

처음에 새롭고 즐거웠던 일들도 힘들다고 다가와지더라.


똑같은 일을 하더라도 쉽고 즐겁게 하자.

그러면 결과도 즐거울거다. 나는 믿는다.

그리고 지금 이 타이밍에 이 책을 읽게 된것도

투자자로서 매일의 시간을 채워가는 지금의 나 자신에게도 감사하다.



[One Action]

(삶) 마법의 단어 '아이는' 나는 아침을 '아이는' 으로 시작해 거울이 있는 모든곳에서 '아이는' 연습을 한다.

(투자) 기록하고, 명상하고 , 움직이자

(회사) 회사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다보면 야근, 회식이 자연스럽다. 회사생활을 기준으로 생활이 돌아가면 안된다. 나는 대중과 얼마나 멀어져있는가? 예의바르고 친근하게 대하되 내가 가는 방향은 잊지 말자.



[본깨노트]


1장. 가난했지만 꿈을 잃지 않았던 이유

32) 내가 잘하는 방식과 못하는 방식이 무엇인지 알고 있었다. 늘 똑같은 방식으로 접근해서 문제를 풀면 어느순간 막혔는데, 그러면 내가 약한 방식으로 다시 바라보았다. 접근방식을 다르게 하고 문제를 보면, 어느새 새로운 돌파구가 보이고, 답이 도출되었다. 그렇게 문제를 해결했다.

=> 아무리 애를써도 문제가 안풀린다면 접근방식을 다르게 해야한다. 유연한 생각을 갖자. 내가 약한 방식으로 문제를 다시 풀어가보자.


53) 당연한 실패는 우리를 불안하게 만들지 않는다. 경험과 노하우가 쌓이고 그때 변화와 움직임이 일어난다. 변화와 움직임이 우리의 운이다. 실패가 많아지면 성공도 많아진다.

=> 실패는 우리를 변화로 움직이게 한다. 움직임이 우리의 운이다. 끊임없이 실패를 하고 경험을 쌓고 성공으로 가자.


2장. 20대에 알았으면 더 좋았을 것들

77) 즐거움의 본질은 '잘함'이다. 우리는 뭔가를 잘하게 될 때 즐겁다. 이 잘함이 재미보다 지속력이 강하다. 재미난 것을 할 때도 즐겁다. 하지만 그 재미난 것을 내가 남보다 잘할 때 흥미를 느끼고 계속하게 된다. 그러면서 더욱 성장하게 된다.

=> 오래도록 투자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라는 생각이 많다. 또한 어떻게하면 텐션을 유지하며 꾸준하게 할수있을까라는 생각도한다. 지속력, 꾸준함은 즐거운 몰입 상태. 내가 더 성장하고 잘 해내고 있다는 마음에서 나오고 잘한다는 것은 그 지속력이 상당히 강하다고 한다. 억지로 노력을 하기보다는 좀 더 자연스럽게 현재를 즐기는것이 중요하다.


'좋은 결과에 대한 허용, 그로 인한 무의식의 변화 '


80~ 81) 질문은 '당다시'다. 당연한 것을 다시 보는 시선이다. 질문이 존재하는 이유는 어제의 당연함보다 내일의 다름을 위해서이다.

=> 당연한 것은 없다. 질문을 잘 못하는데 의식적으로 질문꾸러미 톡방을 만들어야겠다. 기록하자. 질문도 기록해야 내일은 달라진 내가 된다.


"나는 대중으로부터 얼마나 멀어져 있는가?"

대중의 생각, '상식'으로부터의 자유는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가지게 한다.


나는 대중과 얼마나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가?

얼마나 다른 일상을 사는가?

'다름'이 많아질때 성장할 수 있다.


82) 부자가 되는 근본원리 3가지

첫째. 기록하라. 나에게 생각보내기. 기록은 축적되고 그 과정에서 확장되며, 지혜로 저장된다. '축적, 확장. 기억'이 성장의 과정이다.

둘째. 명상하라

셋째. 움직여라. 무의식이 즐거우면 긍정의 생각과 창의적 아이디어를 만든다.


105) 내면의 온도를 높여라.

굿 바이브를 지니고 살아야 한다. 좋은 느낌을 간직한 채 오늘 하루 즐겁게 살아야한다. 미소를 머금고, 긍정의 마음을 지닐때 미래로 향하는 다른 문을 열 수 있다. 매사에 감사하고, 주변에 친절하게 대하며, 자신만의 베풂을 실천하자.

=> 습관은 생각보다 만드는게 어렵다. 꾸준히 하는것에 더해서 굿바이브를 줄수있는 좋아하는 소품이나 나만의 장소를 만드는 것도 꽤나 유용해 보인다. 그래야 기분 좋은 상태가 되고 그럴때 더 몰입도 잘 되니깐!


107) 결과는 과정에서 오는 것이고, 즐거운 과정은 반드시 즐거운 결과와 연결된다.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는 인생의 점들은 연결되어 있다 고 말했다. 반드시 기억하자. 불행한 예감이 틀리지 않듯, 행복한 예감도 '결코'틀리지 않는다.


119) 완벽한 인생은 없다.

우리는 완벽하지 않다. 하지만 완전한 존재다. 미완벽이 우리를 완전함으로 이끈다.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들려고 하기 때문에 우리는 애쓰면서도 부족하고, 열심히 살지만 두려운 것이다. 애쓰고 열심히 살지만, 노력이 결과로 이어지지 못한다. 늘 그 자리에 머물러 있다.

자신의 완전함을 믿자. 우리는 이미 완전한 존재다. 그러면 과정을 추구할 수 있다.


120) 지금이라는 과정은 과거 내가 그토록 원했던 결과로 가는 통로임을 알게된다 .

즐거운 오늘은 즐거운 내일과 연결되지만, 열심히 사는 오늘은 열심히 살아야 하는 미래와 이어지는 것이다.

=> 그저 열심히, 바쁘게만 살면 그 다음날도 열심히 사는 삶이 되더라. 내가 하는 행동에서 의미를 찾고 즐겁게 하자.


121) 많은 이들이 행동하지 못하고 변하지 못하는 이유는 하나다. 너무 잘하려 하기 때문이다. 잘하려 하기에 못하게 된다. 그리고 못할것같아 시도조차 안하게 된다. '잘'하려 하지말고 '즐'기려고 해라.


3장. 매일 조금씩 나를 성장시키는 습관


131) 체력은 모든것을 바꾼다.

우리 뇌에 두려움을 느끼는 편도체는 운동을 통해 안정화된다.

생각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행동하는 방법은 바로 무산소행위, 3A다. 숨을 참고 행동하는 것이다. 뇌에 산소를 주지않고, 생각의 참견없이 행동하는 방법이다.

=> 생각의 간섭을 줄이는 방법, 무산소 행위, 부정적으로 생각해보기!!


164) 자주 가는 공간이 나를 바꾼다.

퇴근하고 늘 가던곳을 가지마라. 사람은 집과 직장 외 또 다른 장소가 있어야 한다. 자신의 즐거움과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공간, 나의 제3공간이 있어야 한다.



4장. 당신이 부의 시작을 알게 된다면


179) 부의 시작점1: 인간

부자가 되려면 부자를 만나야 한다. 부자가 아니면 적어도 부자가 되려는 사람을 만나야 한다. 그 흐름 속의 사람을 만나야 변한다. 당신의 운이 바뀌기 때문이다. 운이 바뀌어야 운명이 바뀐다.


184) 부의 시작점2: 공간

즐거운 공간 속의 시간은 무의식에 저장된다. 굿바이브와 함께하는 행동은 나의 무의식에 저장되고 , 그 무의식은 내일의 행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EV와 GV가 습고나을 만드는 이유다.


184) 부의 시작점3: 시간

청춘을 바쳐 돈을 버는 이유는 돈 자체의 숫자를 늘리기 위한 것이 아니다. 자신의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이다.

지금 여기의 당연함은 과거 누군가의 시간이다. 그 당연함에 감사하고, 누군가를 위해 쓰고 있는 자신의 시간을 관리해라. 시간에 대한 자기 결정권이 늘어갈수록 행복해진다.

=> 부자의 생각.. 지금은 자산을 늘리는것에 중점을 두기때문에 물론 비전보드처럼 많은 돈과 함께 내가 언제든 내 시간을 자유롭게 쓰길원한다. 부자들은 시간을 더욱 소중하게 생각한다. 이렇게 생각하는 방식을 배워야겠다.


202)부자의 말투

감사하고, 감동하고, 감탄해라. 그러면 말투가 바뀐다. 감사의 말 감동의 단어 감탄의 느낌표가 함께할 것이다. 그 말투가 당신의 세상을 채울 것이다. 그러면 당신은 이미 부자가 되어 있다. 감사하고 감동하고 감탄하는 삶이 펼쳐질 것이다. 곧 그렇게 된다.

=> 나 역시 3감을 할거고 주변 사람들은 3감을 하는 사람들로 채울거다.


222) 내 미래를 만드는 방법

48살의 성공한 의사 인생을 위해 20살의 고시원 재수생이 필요한 것이다. 그 힘든 과거가 성공한 미래와 연결된 과정임을 알면, 그 시간을 즐길 수 있는 힘이 생긴다. 그것이 깨달음의 힘, 앎의 힘이다.

내가 감동하고 스스로 감탄하는 과정에 있을 때 점은 이미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 이 책 제목이 왜 이렇게 나왔는지 알게 된 부분.. 과거와 현재 미래는 긴 시간의 흐름이 아니라 같은 공간속에 (생각보다 짧은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것같다. 그만큰 개연성이 크다고 생각을 한다. 마치미래의 내가 앞에 있고 내가 저말 바라는 나의 모습또한 다가가고 있다고 생각이 든다.

진짜 큰 부를 이룬 분의 무의식의 중요성과 바라는것을 이루는 시크릿을 배울수 있어서 좋다.


238) 부정적인 생각을 역이용하라

뭔가 하려고 할 때, 더 하지 못하게 된다. 하려고 마음먹을 때, 그 마음만큼 몸이 무거워진다. 마음도 질량이 있다. 그래서 마음먹기 전에 움직여야 한다.

마음보다 눈이 앞서야 하고, 눈보다 손이 빨라야하며, 손보다 발이 가 있어야한다.

=> 우리 생각은 대부분 부정적이다. 생각이 의식에 들어갔을때 행동들은 주저하게된다. 그 전에 먼저 움직여야한다.

꼭 적용하자.


239) 생각의 부정성을 이용하자. 부정성을 부정하여 긍정으로 이어가는 것으로 내가 하는 방법이다.

'책 한줄 읽지 말자' 의식적으로 책 읽지 말자라고 생각하는 순간 나의 무의식은 한줄 읽어야 하는 이유를 스르륵 펼쳐낸다. 내 생각보다 강력한 무의식적 영감이다.



댓글


무늬스누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