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저자 및 도서 소개 : 가난한 흙수저에서 대한민국 상위 1% 부를 이루게 된 의사. 사람을 치료하는 의사를 넘어 사람의 삶을 치료하는 의료인문학자로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인생의 역경을 극복하고 오늘의 부화 행복을 펼쳐내는 과정을 담은 책이다.
2. 내용 및 줄거리 : 지금의 성공은 이미 스무 살에 상상하고 생각해왔던 것 으로 '미래에 대한 앎이 꿈을 현실로 만든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결핍, 두려움, 가난'으로 각인된 무의식을 '풍요, 감사, 부'로 송두리째 바꾸어 인생을 퀀텀 점프할 수 있 도록 이끄는 내용들이다.
무의식이 만든 생각이 현실을 만들지만, 내 생각이 현실 을 만들지는 못한다. 내가 아무리 부자가 되어야지라는 다 짐을 해도 가난한 현실이 펼쳐지는 이유는 무의식이 나는 부자가 아니다라는 생각으로 각인되었기 때문이다. 일체 유심조(세상의 모든 것은 마음이 지어낸다). 무의식의의 도와 당신의 의도가 일치할 때, 무의식은 공명이 되어현 실에 드러난다. 내면을 바꿔라. 무의식에 있는 자신의 이미지를 바꿔라. 그러면 그 이미지가 곧 나타날 것이다. 무의식의 밭을 풍요의 씨앗으로 채워라. '미래를 기억할 때 그 미래가 나에게 펼쳐진다.
시시포스가 끊임없이 바위를 밀어 올리듯, 당신도 매일 목표를 향해 올라간다. 바위처럼 무거운 오늘의 현실을 있 는 힘을 다해 내일로 밀어 올린다. 바위처럼 무거운 오늘 의 현실을 있는 힘을 다해 내일로 밀어 올린다. 오늘을 누 ㄹ리지 못하고 내일로 하루를 넘기고 있다. '열심히'에 중 독되어 '즐겁게'를 못하고 있다. 즐겁게 못 사는 것이다. 이 유가 무엇일까? 우리는 왜 늘 위를 향해 올라가고 있을까? 왜 우리가 원하는 미래는 항상 높은 곳에 있을까? 이래에 대한 착각 때문이다.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위에 있다는 착각이다. 생각해보면 우리가 원하는 미래, 꿈, 목 표는 늘 위에 있었다. 항상 내 머리 위에서 반짝이며, 열심 히 노력해서 이곳에 도착하라고 부추겼다. 그 꿈을 향해 우리는 한 발 한 발 열심히 내디뎠다. 목표를 위해 열심히 바위를 위로 굴렸다. 우리의 미래를 위해 한 계단 할 계단 힘들게 올라갔다. 하지만 진실은 반대다. 시간의 진실을 아는 순간, 미래는 내 아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우리는 시간의 최면에 빠져 있다.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 로 흐르며 그 역순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착각이다. 사실 과거 현재 미래는 이미 펼쳐져 있다. 현재가 존재하는 순간, 미래도 이미 존재해 전달될 뿐이다. 우리가 올라가야한다고 착각한 미래는 이미 발아래 놓여 있는 것이다. '지금 보내는 오늘'이 우리가 경험할 '이미 존재하는 내일'로 연결되어 땅이 솟아오르듯, 그 미래도 내 발밑에서 올라온다. 그러니 그냥 즐기면 된다. 내일 해가 뜨면, 우리는 그 곳에 도착해 있을 것이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오늘 하루 즐겁고 충실하게 보내고 있는가? 나는 오늘 의 나에게 감동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으로 내 하루의 척도를 정할 수 있을 것 같다.
4. 기억하고 싶은 구절
p.48
어떤 일상을 살고 있는가? 내가 원하는 미래를 위해 일상에 어떤 변화를 주고 있는가?
사소한 말투, 일상적 행동 하나가 미래를 이끌고 있다.
그 말과 행위가 습관이 되고 관성을 지닐 때, 그 관념이 이끄는 삶을 살게 된다
p.49
일상이 된 생각은 미래를 바꿀 수 있다.
'미래를 기억할 때 그 미래가 나에게 펼쳐진다'
인생은 이렇게 만들어 가는 것이다. 수술복을 입으면 수술하게 되는 것이다.
p.54
당연한 실패의 경험은 생을 변화시키는 도전이다. 당연한 실패가 많아질수록, 당연한 성공이 많아지는 것이다.
p.57
행복이 있으면 불행이 있고, 성공이 있으면 실패도 있다. 너무나 뻔한 이야기다.
하지만 그 뻔함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p.76
노력이 결과가 되지 않는 이유는 하나다. 즐겁지 않아서다. 즐거워야 몰입할 수 있다.
~이 즐거움의 본질은 '잘함'이다. 우리는 뭔가를 잘하게 될 때 즐겁다. 이 '잘함'이 '재미'보다 지속력이 강하다.
p.80
질문은 '답'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변화'를 위한 것이다.
p.80
나는 대중으로부터 얼마나 멀어져 있는가?
~ 상식에 내 생각을 맞추는 순간, 인생의 키는 그들에게 넘어간다. 내 생각은 나의 세상을 만들고, 그들의 생각은 그들 세상에 적합한 나를 만든다. 그 차이를 기억하고 질문하라.
댓글
원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