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2 실적
✅ 경제 신문 보기
✅ 7/12 목실감 + 시간 가계부 작성
✅ 실준반 2강 완강
7/13 목표
🎯 7/13 목실감 + 시간 가계부 작성
🎯 분당구 분위기 임장
🎯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완독
🎯 실준반 2강 정리 & 후기 작성
🎯 임장보고서 시세분석
7/11 감사일기
🙏 경제 신문을 보다보니 그래도 현재 부동산은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어 감사합니다
🙏 목표한 2강 완강을 할 수 있어 감사합니다.
🗞️ 오늘의 경제신문
- 서울 아파트 15주째 오름세
- 전국 아파트는 3주 연속 가격 상승 / 서울은 15주 연속 가격 상승
- 성동구가 가장 큰폭으로 상승 (0.59%), 용산구(0.35%)가 그 다음
- 전국 전세가격 지수는 0.05% 상승. 수도권은 0.12% / 서울은 0.20%
- 전세값도 성동구가 0.54%로 가장 큰 폭 상승 중구(0.33%)가 그 다음
- 서울 아파트 가격이 이번주 5년 10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
- 가격 상승 기대 심리가 인근 단지에도 확대되는 등 상승 폭이 커짐
- 국토부에선 금리, 공사비 급증의 문제로 수요층이 광범위하지 않고 3기 신도시 물량으로 지속적 상승은 어렵다고 봄
- 성수는 성수전략정비구역 내 아파트 개발 계획이 구체화되며 신고가 속출하고 있음
- 공사비 상승과 고금리가 장기화, 경기 둔화 등으로 인해 건설사의 영업 이익이 급감 (공사할수록 적자 ⬆️)
- 분양가 상한제로 인해 주택을 공급할 때마다 민간 업체가 오히려 손해라 사업 취소가 발생한다고 주장
- 분양가 상한제는 공동 주택을 분양할 때 심의에 따른 분양 가격 이하로만 팔 수 있게 규제하는 정책
- 토지 매입 후 땅값이 올라도 이를 반영하지 못해 사업이 늦어질수록 손해가 커지는 구조
- 공사비가 급등하며 서울 일대 공공재개발까지 평당 건축비가 800만원이 넘고 있음
- 공사비가 올라가면 주민 추가분담금이 높아지고 일반 분양가와 임대주택 가격 등 모두가 올라감
- 민간 정비사업과 예정 공사비가 거의 차이가 없어 경제성에 의혹
- 서울시가 사가정역(7호선) 인근 면목지구 중심으로 복합 개발을 하기 위해 용적률 완화 중
- 근린상업지역을 일반상업지역으로 종 상향
- 특별계획가능 구역 지정 (용적률, 건폐율 등 도시계획 완화 혜택)
- 서울의 대표 도심 고밀복합개발 후보지인 중구 세운지구가 PF 대출 문제로 위기 직면
- 다른 도심 개발에도 파장이 미칠거란 우려
- 3-2, 3-3, 3-9 구역에 대한 5900억 브릿지론(토지비 대출)이 만료되는데 해당 대출 만기 연장이 차질
- 삼성물산에서 인천 연수구 송도 역세권 도시개발사업지에서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을 공급 (2549가구)
- 잠실 ~ 별내까지 27분 걸리는 8호선 연장선이 8월 10일 개통 예정
- 현재 가계부채가 100% 이상인 만큼 장기 우상향에 대한 확신을 경계해야 함
- 가계 부채가 80%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 내수 둔화는 물론 금융 시스템 리스크 증가의 시발점
-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중 5대 은행의 가계 대출은 급증
🧮 7/12 시간가계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