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느낀 점
이번 강의를 통하여 느낀 점은 내 집 마련의 당위성이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인구가 감소하는데 내 집을 마련해야
될 필요가 있는 건가 혹은 전세가율을 보면 전세로 2+2로 사는 것이 훨씬 싸지 않나라는 것에 대해 정면으로 하나
하나 설파하는 것을 통하여 그 당위성을 느꼈습니다. 인구 소멸이 된다면 더욱 더 수요가 많은 곳으로 몰릴 수 밖에
없고 → 양극화 그렇기 때문에 내 집 마련에 대한 필요성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지역 선정에 대한 것도 무턱대고 할 것이 아니라 교통이나 예산 상황 등을 보면서 해야 된다는 것도 느꼈습니
다. 단순히 싼 곳으로 갈 것이 아니라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예산 범위 내에서 가장 교통이 편하고 직장도 다니기 쉬
운 지역을 찾아봐야 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그와 별개로 서울과 경기도의 진도를 보면서 저 많은 곳에서
내 집 위치가 대략 어느 정도에 위치해 있고 출퇴근을 하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
었던 강의였습니다.
깨달은 점
이번에 깨달은 점은 예산 설정에 대해서였습니다. LTV , DTI , DSR 등등 용어들이 생소하고 어렵지만 집을 마련
하는데 있어서는 정말 중요하고 필수적인 내용이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집은 통상적으로 월급을 모아서 현금만으
로 사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기 때문입니다. PIR , 전세가율을 통해 전반적인 집을 마련할 수 있는 데 필요한 기간이
나 추가 필요한 금액이 객관적으로 봤을 때 괜찮다고 하더라도 최소 10년은 잡아야 되기 때문입니다. 10년이면
집값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강의 내용에서 본 그래프대로면 우리나라가 자본주의를 계속 유지하고
다른 물가가 올라가는한 집값이 적어도 떨어질 거라는 생각은 들지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출을 적극 활용해야 하고 그에 맞는 예산을 잘 짜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적용할 점
이번 과제에서는 예산 범위 설정을 통하여 후보리스트를 설정해야 하는 과제입니다. 저는 월부 생활 이전에 내집
마련을 했기 때문에 강의를 늦게 듣게 되었는데 이번 기회에 내 집 마련에 대해 복기를 해보고 다음 집을 구할 때
아쉬웠던 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들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새뜨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