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준비반 59기 67조 ㄴ6구 사서 7억오르면 팔조 김자33] 실전준비반 3강 강의 후기 ❤️코크드림님 ❤️

  • 24.07.23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3주차는 오랜만에 뵙는 코크드림님 강의였습니다

 

혼자 내적친밀감 폭발

너무 반가웠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 후기 시작!

 

 

 

PART1. 임장 지역 선정하는 방법

 

 

처음 월부를 시작했을 때

다음 임장지로 어디를 가야 하나가

가장 큰 고민거리이자 걱정거리였습니다.

 

집 근처 & 회사 근처를 먼저 보세요.

입지가 비슷한 곳을 연속해서 가보세요.

 

당시 강의를 들으면서

조언에 따라 앞마당을 넓혀갔던 기억이 납니다.

 

체크포인트

 

▶ 앞마당 0-2개 ◀

 

수도권 사시는 분들이 지방부터 가면 임장 자체보다 

체력적으로 너무 부담이 되실 겁니다.

반대도 마찬가지겠죠?

 

처음 시작할 때는 

임장 습관을 늘리기 위해

 

집 주변 / 직장 주변을 먼저 앞마당으로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 앞마당 3-4개 ◀

 

수평적 비교평가 가능한 곳을 연속해서 가보자.

 

저는 1기 신도시 중 하나에 거주하고 있어서

A도시를 시작으로

나머지 1기 신도시를 쭉 연속해서 임장했습니다.

 

비슷한 곳을 이어서 임장하다보니

왜 같은 수도권 내에서

같은 1기 신도시 내에서

가격 차이, 입지 격차가 생기는지

앞마당을 넓혀갈수록 

점점 알게 되었습니다.

 

 

▶ 앞마당 5개 이상 ◀

 

사실 저는 1년 정도 시간이 지나서야

임장에 대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감이 왔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투자 코칭을 통해

나의 투자 방향을 결정한 후

지방 중소도시 임장을 시작했습니다.

 

임장 경험이 어느 정도 쌓이고 나면

자신의 투자 방향에 따라

임장지를 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PART2. 임장지에서 투자할 아파트 고르는 법

 

 

체크포인트

 

수도권, 광역시, 중소도시

지역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입지 & 연식 우선순위가 다르다!

 

 

▶ 수도권 ◀

 

직장 (업무 지구를 끼고 있는가?)

교통 (강남에 얼마나 빨리 갈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수도권에서는

교통&직장이 제일 중요하다!

 

 

▶ 광역시 ◀

 

광역시는 지방이지만

중소도시에 비해서

입지의 힘이 있는 곳!

 

하지만 광역시라고 무조건 입지가 우선인가? 

획일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선호 요인이 있는 곳인가? (입지의 힘?)

 

아니면 광역시내에서 상대적으로

 입지가 떨어지는 곳이기 때문에 연식을 더 우선하여 봐야 하는가?

 

하는 부분은 임장과 임보를 통해서 파악해야 합니다.

 

 

★ 임보의 중요성 ★

 

 

▶ 중소도시 ◀

 

중소도시 내에서도 사람들이 선호하는 생활권이 있습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외곽에 빈 땅이 많기 때문에

외곽에 대규모 신축 택지가 들어오면

사람들이 옮겨갈 가능성이 높다!

생활권 선호도가 이동할 수 있다!

 

직장 출퇴근에도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고

대부분 자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그 생활권에 거주해야만 하는 요인은 상대적으로 약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연식을 조금 더 우선으로 봐야 한다!

 

 

▶ 시세트래킹 ◀

 

이모티콘, 웃는, 얼굴, 식, 채팅, 상징, 울다, 슬퍼, 눈물

 

시세트래킹 중요하지…

한 달에 한 번씩 날짜 정해서 루틴처럼 해야지…

하지만 마음 먹은 것처럼 잘 지켜지지 않는 시세트래킹…

 

코크드림님 말씀처럼 

한 번에 너무 많은 단지를 시세트래킹 하려고 하면

너무 부담스러워서

시작조차 힘든 것 같습니다.

 

생활권별로 

랜드마크 + 선호도 높은 저평가 단지

2개씩이라도 해보시길 추천합니다.

 

 

BM 포인트

 

나부터 실천하자 ㅠㅠㅋㅋ

 

광역시/중소도시 별로 시세트래킹 루틴 만들기!

시세트래킹 안하면 앞마당을 만든 의미가 없다!

계속 지켜봐야 한다!

 

 

 

PART3. 매수 이후 전세 세팅의 전 과정

 

 

예전에 동료분들이나 강사님들이

 

사는 게 제일 쉽습니다

 

하시는 말씀이 공감이 잘 안되었습니다.

 

그러나 1호기를 하고 나니

 

정말 사는 게 제일 쉽다 ^^

 

하지만 전세를 어떻게 맞추는지 알면

막연한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하면 된다!

 

 

▶ 전세 유형 ◀

 

① 임차인 승계 (세낀 물건)

 

② 주인전세

 

③ 신규 임차인

 

 

▶ 내 물건 1등 만드는 방법 ◀

 

① 구축을 투자할 때는 나중에 매도를 고려하여

수리를 하는 것이 좋다!

 

② 너무 높은 전세가 욕심을 버리자!

 

주변 경쟁 매물의 전세가 조사하여

적정 전세가 찾기

 

욕망가 안돼 XXX

 

 

BM 포인트

 

매수 물건에 살고 계신 세입자에게 양해 구하기

감사하는 마음 표현하기

 

이 부분이 제일 인상적이었습니다.

세입자가 집을 보여주는 것은 굉장히 번거로운 일이고,

협조해주는 것은 감사한 일이다!

 

적극적인 협조를 바라면

먼저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자^^

 

 

▶ 인테리어 ◀

 

거실, 집, 인테리어 디자인, 소파, 램프, 장식, 식물, 의자, 침상

 

인테리어 전문가 코크드림님 ^^

 

예전에 코크드림님 인테리어 특강을 들었는데

수리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딱 알아야 할 것만 콕콕 집어 알려주셔서

만족했던 기억이 납니다.

 

변화한 시장 상황을 반영하여

새로운 특강을 하셨다고 하니

저도 다시 들어보아야겠습니다.

 

BM 포인트

 

계약 전 업체 10곳 견적서 받아보기

투자 단지를 고르듯 업체도 비교 평가해야 한다!

 

모든 요구 사항은 계약금 넣기 전에!

 

 

 

PART4. 에필로그

 

 

 

요즘 날씨가 점점 더워지니 임장하기가 힘들어집니다. ㅠㅠ

그럴 때마다 회의감이 들기도 했습니다.

 

코크드림님 말씀이 와닿았습니다

 

 

여기서 포기하기는 너무 아깝다!

 

결과가 나올 때까지 계속 가보자!

 

 

다행이 이번 달은 실준반을 수강하고

정말 열심히 하시는 조원분들을 만나서

저도 덩달아 열심히 할 수 있었습니다.

 

역시

 

★ 동료의 힘 ★

 ★ 환경의 힘 ★

 

 

계속 가보자고!!

 


댓글


김자33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