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아몬드봉입니다.
두번째 강의는 부자대디님의 ㅇㅇ지역 강의였습니다.
지방은 아무리 광역시라고 해도
인구수가 계속 줄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투자는 여전히 유효한지
당장 투자를 하지 못하더라도
지역을 어떻게 바라보고 중요하게 가져가야할
키포인트는 어떤것인지 명쾌한 답을 주셨습니다.
지금 해당 지역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19년도와 가격이 같거나 비슷,
혹은 너무너무 싼 애들이 많습니다.
인수, 수요 측면에서도 너무 잘 받쳐주고 있고
상승력이 꾸준한 지역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투자기준
저환수원리에 부합한 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제대로된 임장을 한 적이 없는 곳입니다.
싼건 정말 잘 알겠다, 전국에서 어쩌면 가장 싼 곳이지 않나?
근데 공급이라는, 그것도 대규모 공급..? 너무 무서웠습니다.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생각했기에 분임만 1~2회 돌았고,
임보를 쓰거나 제대로 지역을 뽀개야된다는 생각을 못했는데,
이번 강의를 듣고 생각을 바꿀 수 있었습니다.
시장은 멈춰있지 않고 살아있는 생물입니다.
그렇기에 지금 이 순간은 상황이고
시간이 지나면 바뀌게 됩니다.
투자자의 시각으로 어떻게 지역을 봐야하는지,
다가올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어떤 준비를 해야하는지
다시한번 그 중요성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투자자에 절대적으로 중요한건
가치대비 가격이 싼지?
이게 우선되어야 함을 기억하겠습니다.
리스크는 상황이다!!!
싼게 먼저에요.
그리고 가치보다 가격이 싼 걸 우리는 저평가라고 합니다.
그러면 먼저 봐야 하는 건 저평가에요.
근데 여러분들은 저평가를 먼저 보는게 아니라
항상 공급이 많은지 적은지, 지금 전세 맞추는게 힘드니까
전세가 껴져 있는지 아닌지 이런 것 들을 봅니다.
투자금이 적게 들어가는지, 조건이 맞는지, 리스크는 적은지..
근데 이건 상황이에요.
---------
지역의 입지, 단지분석을 하게되면
해당 지역의 가치와 가격을 파악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장 중요한
투자 우선순위를 세워야 하는데요.
내가 투자할 수 있는 단지가 있는지?
투자금이나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다면
지역에서 파악한 선호도에 따라서
단지를 고른 후 투자해야 합니다.
어디에 먼저 투자를 할지,
우리가 그동안 했던
손품과 발품을 통해 정리를 잘 해놔야지
다가오는 기회가 왔을때 빠르게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1~100까지의 순위를 정하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어디서 부터 어디까지는 내가 투자를 할 수 있겠다,
큰 라인을 정해놓고 그 안에서 대략적인 순서만 파악해도
충분하고 또 틀릴 수 있으므로 너무 순위에 연연하면
안된다는것도 강조해주셨습니다.
결국 중요한건 해당 지역과
생활권 내에서 선호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선호하는 단지는 무엇인지 파악하는게
우선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포인트는,
가격을 보기 전에는 어떤 요인이
지금의 가격을 만든것인지 생각해보기
어떤 요인(선호도)이 무엇인지!
늘 지역을 바라보고 가격을 분석할때 잘 생각해보겠습니다.
해당 선호도를 파악했다면 가설 세워서 검증해보기!
ㅇㅇ지역은 저 역시도 선입견이 강하게 있었고
공급이라는 리스크가 너무 커서 엄두가 안났던 곳입니다..
하지만 이번 강의를 통해 지역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꿀 수 있었고
진짜 ㅇㅇ지역에 투자해서 반드시 꼭 돈 벌기!!!
저도 목표 이룰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긴 시간동안 강의해주신 부자대디님 감사합니다♡
댓글
아몬드봉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