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1호기 투자를 꿈꾸는
요녀석 입니다.
이런저런 사정들로
컨디션이 좋지 않아서,
후기가 늦어졌습니다.
이번강의를 맘대로 요약해보자면?
내가 지금 할 수 있는 일을 꾸준히 해나가자.
지금 내가 가진 앞마당에서
투자기회가 오면
그 기회를 잡자.
그리고 버티면서, 또 꾸준히 지역을 넓히고,
다시 투자기회가 오면,
그 기회를 잡고,
그것을 반복하자.
하나. 실거주vs투자
실거주를 했을 때와
투자를 했을 때의 상황을 생각해보고,
나에게 맞는 투자가 무엇인지를
알아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서울전체 시세표를 기준으로
현시점의 가격을 가늠해 보는 것과
비싸다고 판단한 지역 안에서도
임장을 통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매물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념을 조금 더 넓힐 수 있었습니다.
둘. 잃지 않는 투자를 하자!
열기 때도 그렇지만,
파도(시장상황)는 예측 불가능하니,
그에 맞는 영법(투자 법)을 배울 것.
비교평가 후,
가치있는 물건을 사고 버틸 것.
그리고, 조금 돌아가도
덜 위험한 것에 투자해서,
목표를 이룰 때까지
투자시장에 살아남기 위한선택을 하는
투자를 하자!
사례를 통해서 직접 눈으로 보고
판단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가치있는 물건을 발견하기 위해서
지역분석을 열심히 해야한다는 것에
공감하며, 행동으로 옮기자!
사실,
첫임보임에도 미룬 것이 너무 찔려서,
강의 듣는내내 마음이 불편했습니다..
앞으로도 비가오나 눈이오나
날이 좋으나 좋지않으나
해야할 것은 해내자!고 다짐했습니다.
+ 투자 이후의 시나리오
투자 이후의 4가지+1가지 시나리오를 통해서
어떻게 대응 해야할지 알 수 있었습니다.
아직 1호기를 투자하지 않은 상태여서
너나위 멘토님의 레버리지를 바탕으로
어떻게 대응해야할지 미리 가늠할 수 있었고
앞으로 1호기를 투자하게 되면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니 머릿속에 저장!
셋. 저평가투자 (절대적/상대적 저평가)
상대적 저평가는
어느 시기에나 있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서울의 비싼 지역구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저평가 된 단지가 있다는 것을
시세트랙킹을 통해 알 수 있고,
그래서 멘토님들은 상승장에도 하락장에도
항상 투자할 수 있었구나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투자하려면 내 투자물건에 맞는
비교군이 많이 있으면 있을수록 좋으니,
꾸준히 앞마당을 늘리고
앞마당이 된 지역은 매달 시세트랙킹을 통해
투자매물을 확인하자.
넷. 비교평가
사례를 바탕으로, 앞마당이 더 많았다면?
현재 어떻게 되었을지에 대해서,
항상 궁금했지만,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의문으로 남아 있던 부분이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서 가려운 곳이 해소되었습니다.
내가 가진 종잣돈에서,
시기적으로 괜찮은 물건은 투자하기와
너무 모를 땐 운에 기대지도 말고
앞마당 100개 만들고 투자를 하지도 말고
내가 지금가진 앞마당을 바탕으로,
가치투자를해도, 날아가는 닭을 잡을 수 있겠구나.
하며, 감탄 했습니다.
결국은 같은 투자금에서,
날아가는 닭을 잡기위해서,
더 열심히 다니고,
더 많이 공부해야겠지만
그것보다 확실한 게 있을까요?
(ex. 시세, 흐름, 원래 얼마 였는지까지)
다섯. 아파트로 돈 버는 방법
1주택자와 다주택자 안에서도
4가지 투자법을 알려주셨는데,
특히, 소액투자에 대해서는
제가 겪을 상황이라 몰두 할 수 있었습니다.
소액투자자로 그냥 부딪히면된다고
생각했는데, 강의 내용만봐도
마음가짐을 단단히 해야겠다고
생각하며 머리를 흔들흔들
너무 걱정하지 말고 차근차근
수도권부터 앞마당을 늘려가자고
생각하며 마무리 하겠습니다.
BM포인트!
일. 날아가는 닭을 잡기위해서,
이. 꾸준히 앞마당을 늘리자!
삼. 아는 앞마당은 시세트랙킹을 하자(1회/달)
사. 투자이후의 시나리오를 기억하자
오.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하자!
느낀점
이번 4주차 강의를 통해서
서울이든 지방이든 내가 아는 물건이 많고
내 투자실력과 그에 맞는 체력과 종자돈이 있다면
수익극대화가 꿈은 아니구나라는걸 배웠고
행동을 촉구하는 강의였던 만큼
꾸준히 앞마당을 늘리고
아는 지역에 대해 비교평가를
꾸준히 해나가서
멋지게 1호기 성공시키겠습니다!
댓글
요녀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