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제목: 고수의 생각법
저자: 조훈현
P12 지금 우리가 해야할 일은 생각을 바꾸는 것이다.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이다. 실패를 딛고 일어설 수 있는 긍정적인 생각. 항상 옮은 쪽을 선택할 수 있는 건강한 생각, 남과 다르게 받아들이는 창의적인 생각을 길러야 한다. 놀랍게도 생각을 바꾸면 행동이 바뀌고, 심지어 결과까지 달라진다.
[깨] 생각의 힘, 생각의 방식을 바꾸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 한 때! 일반인 생각에서 투자자의 관점으로 생각을 바꾸고 거기서 해야 할 일들을 하나씩 해나가기 위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 그 생각과 마인드부터 바꿀 필요가 있다
1단. 생각 속으로 들어가라
P30 문제는 반드시 해결된다. 해결될 때까지 붙들고 늘어지는 근성만 있으면 된다. 그 근성이란, 바로 생각이다. 해결할 수 있다는 긍정성, 반드시 해결하겠다는 의지, 그리고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필요한 모든 지식과 상식, 체계적인 사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이 모든 것을 포괄하는 개념을 나는 ‘생각’이라고 부르고 싶다.
P33 문제는 문제가 아니다. 해결하려고 하는 의지, 생각하는 힘이 부족한 것이 문제다. 실수도 기회도 모두 내가 만든다. 오로지 생각하는 힘만이 그 시련을 의미 있게 헤쳐 나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 과정이야말로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행복을 찾아가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P45 깨달음은 오직 스스로 생각하는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P46 생각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그 답을 알려주는 도구다
P53 ‘ 왜 이런 거지?’, ‘다른 방법은 없을까?’, ‘이게 정말 최선일까?’이런 질문들을 하지 않는다면 생각은 시작되지 않는다.
막연한 느낌으로 결정하거나 혹은 보이지 않는 압력이나 강요에 의해서 혹은 시간에 쫓겨서 아무렇게나 결정한 일들은 반드시 후회를 낳는다.
‘이 문제는 왜 이런 걸까?’,’어떤 방법으로 해결해야 할까?’, ‘무엇이 옳은가?’,’어떤 방법이 가장 합리적이고 효율적인가?’이런 질문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하여 답을 구해야 한다.
[깨] 그동안 나는 생각이란 걸 하고 살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 깊은 사고는 해본적이 없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성도 없고,,, 적당히 대충 생각하고 직감적으로 판단해서 괜찮겠지, 막연한 느낌으로 결정하는 일이 대부분이었던 것 같다,, 중요한 일을 선택할 때도, 분위기나 기분에 휩쓸려 ㄱ선택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고,,, 그런 생각의 힘이 부족해서 이 책을 만나게 된게 아닐까,, 생각이란걸 진지하게 해보고 생각의 힘을 키워 앞으로의 일과 결정에 있어서 현명하게 헤쳐나가기 위한 첫 시작일거라 생각한다. 다시 한번 생각에 대해 깨닫는 부분이었다.
2단. 좋은 생각은 좋은 사람에게서 나온다
P67 생각은 행동이자 선택이다
P71 생각은 나무처럼 가지를 뻗으며 자란다. 잘못된 방향으로 가지를 뻗으면 계속 그 방향으로 자랄 수밖에 없다. 그래서 간단한 일일지라도 원칙과 도덕을 지켜야 한다. 원칙과 도덕이 쌓이고 쌓여 습관처럼 몸에 베여야 언젠가 큰 선택을 할 때 유혹에 넘어가지 않고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P82 감정은 그저 흘러왔다 흘러가는 덧없는 것으로, 어떤 감정도 스스로를 잡아먹어서는 안 된다. 이기기 위해서는 수천번의 지는 경험을 쌓아야 하므로 일상의 경험으로 덤덤하게 바라봐야 한다.
[깨]하루하루 원칙과 도덕을 잘 지켜 바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면 그것이 쌓여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고 강인하고 단단한 사람이 될 수 있다! 또한 감정에 휩쓸리지 말고 좌절하고 지는 경험을 많이 해서 큰 흔들림에도 흔들리지 않는 굳건함을 배워라 !
3단. 이길 수 있다면 반드시 이겨라
P98이길 수 있다면 이겨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반전의 기회를 기다려야 한다. 내가 버텼던 이유는 이겨야 한다는 욕심 때문이 아니라 아직 이길 기회가 있다는 희망 때문이었다.
P105항상 어떻게 살아야 할지,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할지, 스스로에게 묻고 답하기를 멈추지 말아야 한다. 이왕이면 지금보다 더 나은 삶, 더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어차피 안돼’, ‘괜히 다치지 말자’라는 식의 태도로는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다. 1등이 되지 못하더라도 자신의 가능성의 최대치까지 올라가봐야 한다. 아직도 정복해야 할 영토는 무한히 남아 있다.
[깨]부정적인 생각은 버리고 가능성의 최대치까지 올라가봐야 한다는 말이 너무 와 닿는다.. 이번 지투에서 가장 느낀 부분은, 그동안 너무 내 스스로에게 한계를 그었던 것 같다. 이런 한계를 두지 말고 가능성을 믿고 최대치까지 목표설정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4단. 판을 읽는 능력을 길러라
P142 지금 있는 자리가 최선의 자리다. 지금 이 순간이 다시없는 소중한 시간이다. 모든 꿈의 출발은 ‘지금,여기’다.
P167 무엇이 먼저고 무엇이 나중인지 우선순위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내 것이 아니다 싶으면 과감하게 포기해야 한다. 때로는 더 큰 이익을 위해 아끼던 돌을 희생할 줄도 알아야 한다.
P168 시간이 무한정 주어질 것 같지만 모든 기회는 한 번뿐이다. 그 기회들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지금의 선택이 다음의 기회에 영향을 준다. 무엇이 더 중요한지 멀리 떨어져서 판을 구석구석 읽으면 정답이 보일 것이다.
[깨] 월부활동하면서 가장 많이 생각하고 행동했던 부분이 ‘현재에 감사하라’, ‘우선순위를 정해서 일을 처리하라’ 인 것 같다. 현재에 감사해야 그 시간의 소중함을 알고 최선을 다해 몰입할 수 있고, 우선순위를 정해 일을 처리해야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을 구분해서 일의 효율을 높여 좋은 선택의 기회가 더 많이 찾아올 것이고 생각한다.
5단. 궁극의 그림을 그려라
P178 모든 것이 빠르게 돌아가는 시대, 그럴수록 우리는 진지하고 신중한 사고를 훈련해야 한다. 사실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는 모든 문제는 조금만 더 생각하고 행동했다면 벌어지지 않을 수도 있었던 일이다.
P195 우리가 불안해하는 이유는 그만큼 모르는 게 많기 떄문이다. 많이 아는 사람은 강하다. 많이 알면 실수가 줄어들고 더 멀리 볼 수 있다. 따라서 최선의 수읽기는 열심히 공부하여 지식과 실력을 쌓는 것이다.
[깨]맞습니다.. 조금 더 생각하고 행동했다면 그런 바보 같은 선택을 하지 않았겠지요..? 항상 매사 진지하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선택하는 습관을 의식적으로 기를 필요가 굉장히 많아 보입니다. 저는..
또한 투자공부를 하면서 항상 불안하고 걱정이 많았는데 그런 이유는 역시나 모르고 안해 본 일이기 떄문이다..포기하지 않고 계속 성장한다면 더 멀리 볼 수 있고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으면 불안도 많이 사라질 것이다.
6단. 승부의 세계에서 복기는 기본이다
P209 승리는 오직 실수를 인식하고 두 번 다시 되풀이하지 않아야 얻을 수 있다. 복기의 의미는 결국 성찰과 자기반성이다. 이것은 깊이 있는 생각을 바탕으로 하며 겸손과 인내를 요구한다
P210 실패를 빨리 극복하는 것이 좋긴 하지만 그렇다고 남의 탓으로 돌리거나 아예 부인해서는 안 된다. 극복하되 무엇을 잘못했는지, 그 진단만큼은 반드시 해야 한다. 그래야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다. 아파도 뚫어지게 바라봐야 한다. 아니 아플수록 더욱 예민하게 들여다봐야 한다. 실수는 우연이 아니다. 실수를 한다는 건 내 안에 그런 어설픔과 미숙함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수를 인정하고 고치지 않는다면 영원히 미숙한 어린아이 상태로 살아가게 된다. 인정하고 바라보자.
P222 자책, 한탄, 억울함 등의 감정에 가득 차 있으면 그저 안타깝고 괴로울 뿐 내가 무엇을 잘못했는지 반성이 되지 않는다.
P223 우리는 복기를 단순히 복습하고 반성하는 의미로만 생각하지 않는다. 복기는 극복하고 흘려보내는 의식이다. 오늘 바둑을 망치긴 했지만 뭐어쩌겠는가. 이미 둔 돌을 무를 수가 없다. 게임이 끝났으니 이제 되돌아보고 반성한 후 잊어버려야 한다.
P226 복기는 후회가 아니다. 복기는 새로운 전략의 수립이다. 실수를 반성한 후 더욱 창의적인 새로운 아이디어로 무장하는 것이다. 실패를 훌훌 털어버리는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내어 빠르게 자신감을 되찾아야 한다.
[깨]실수를 알려면 내가 뭘 몰랐고, 어떤걸 놓쳤고 생각하지 못했는지 복기가 필수다. 이런 복기를 하지 않고 계속 앞으로만 나아간다면 반복적인 실수를 할 것이고, 그러다 보면 다시 실수가 반복되어 성공의 확률도 낮아진다. 또한 문제점을 발견하더라도 후회하거나 자책하는게 아니라 그 실수를 직면한 후 발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지한 사고와 생각을 해서 다음에 건설적으로 일을 처리하거나 생각할 수 있는 힘을 차근히 기르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월부에서 항상 계획과 복기를 하라고 강조하지만 제대로된 복기와 계획을 세우지 않고 두리뭉실 크게 계획을 짜면서 생활을 이어나갔다.. 이번에 제대로 복기하고 계획을 짜보니 다음번엔 구체적으로 어디에 더 힘을 써야하고 어떤부분이 잘못됐고 잘된일인지 눈에 직관적으로 보이니 조금 더 목표에 구체적이게 되고 효율적으로 계획을 짜는데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매달 복기와 계획은 필수
7단. 나눔으로 생각의 규모를 키워라
10단. 생각을 위한 여백을 확보하라
P310 하루에 단 10분이라도 휴대폰을 끄고 음악도 끄고 그 어떤 것으로부터도 방해받지 않는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 꼭 거창하게 뭔가에 대해 생각을 정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아무 생각 없이 눈을 감고 그냥 멍하게 있어도 좋다. 다른 아무것도 없이 온전히 나 자신과 대면할 수 있는 시간, 자신과 대화할 수 있는 정적의 시간이 우리에겐 절실히 필요하다
P314 인생을 보다 지혜롭게 헤쳐나가고 꿈에 더 높이 다가가려면 실력과 더불어 내면의 성숙함이 반드시 따라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더 많이 혼자 있고 더 많이 외로워야 한다. 더 많이 생각할 시간을 가져야 한
[깨] 요즘은 매번 목실감을 쓰면서 감사일기로 하루를 복기한다. 그러면서 짧게라도 생각하려고 한다. 예전과 달라진 점, 이런 시간을 조금 더 늘려보는 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해봤다. 내면의 성숙을 위해
[Bm]
1. ‘ 왜 이런 거지?’, ‘다른 방법은 없을까?’, ‘이게 정말 최선일까?’ ‘이 문제는 왜 이런 걸까?’,’어떤 방법으로 해결해야 할까?’, ‘무엇이 옳은가?’,’어떤 방법이 가장 합리적이고 효율적인가? 이 질문을 매사에 꺼내보자
2. 매달 계획과 복기 필수
3. 하루에 단 10분이라도 휴대폰을 끄고 음악도 끄고 그 어떤 것으로부터도 방해받지 않는 시간 갖기
#생각법#생각의 힘 #복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