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3월에 지방투자 기초반을 듣고 다시 재수강을 하게 된 에이스과자입니다!
사실 열중반과 지기반 둘 중에 어떤 것을 들을까 고민을 많이 했지만 24년도 12월에 1호기를 만들 거라는 명확한 목표가
있기 때문에 좀 더 도움이 될만한 지방투자기초반을 수강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지기반 1주차에서는 이전에 제가 모르고 있었던 간과하고 있었던 사실들을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우선 제주바다 강사님께서 A 지역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설명해 주셨는데요, A 지역에 대한 특징과 단지의 가치를 바라볼 때 어떤 방법, 관점으로 보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제가 새롭게 그리고 다시 한번 알 수 있었던 몇 가지 포인트들이 있었는데요,
- 지방 중소도시의 단지들은 선호도가 평균 이상의 단지에 투자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즉, 그곳이 사람들이 살만한 곳인가 선호하는 곳인가를 따지는 겁니다. 선호도가 평균 이하의 단지들은 시세가 빠졌을 때 아예 그 상태에서 머무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초보 투자자는 그 단지의 가치를 완벽히 알고 투자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투자기준이 뭔지를 이해하고 이에 맞는 투자를 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하셨습니다. 하면서 배워가는 것이죠.
- 지방은 인구, 직장, 학군, 환경, 공급, 교통 순으로 입지를 비교하면 되며 선호도 (입지+상품성)이 핵심입니다. 추가로 신축이 딸랑 하나 있는 곳이 아닌 모여져 있는 신규 택지가 형성된 곳일수록 좋다는 것입니다.
- 공급과 매매 그래프를 볼 때 봐야할 점은 1) 가격 변곡점을 만드는 공급량이 어느 정도인가, 2) 영향을 받는 지역이 어디까지인지, 3) 그 공급이 들어올 위치와 량이 어느정도인지를 중점적으로 봐야 합니다.
- 공급물량이 얼마나 빨리 소진되는지 매주 지속적으로 트레킹 해야 합니다. 그리고 전세 소진 시점에 잘 투자했다면 전세를 높게 받으려고 하지 말고 빨리 빠질 수 있는 가격에 내놔야 합니다. 괜히 높게 내놨다가 전세 매물들이 많아질 수 있으며 매매 시세가 올라가 집주인이 변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입주가 계속되는 지역의 기존 대장 가격을 잘 봐둬야 합니다. 신규 입주 때문에 가격이 눌려 있을 수 있으며 타 생활권과의 비교 평가를 통해 싸다면 투자 기회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모든 걸 다 할순 없습니다. 자기가 세운 목표에 맞는 것을 집중적으로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저 같은 직장인이면 직장, 투자.
이렇게 정말 많은 점들을 배울 수 있었고, 향후 임보를 쓰거나 임장을 다닐 때 적용해야 할 점들을 알 수 있었습니다.
남은 수강 기간에도 정말 몰입해서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다들 화이팅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