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자의 본질]
가치있는 물건을 싼 구간에 잘 모아서, 충분히 비싸질 때 까지 잘 지켜낸다.
- 저환수원리
- 저평가의 진짜 의미
- ‘가치있는 것’을 가치보다 싸게 산다.
- 가치 있는 것 중!!
- 같은 가격인데 더 좋은게 있는지?
- 비슷하게 좋은데 더 싼게 있는지?
- 비교대상이 많을 수록 좋으므로, 앞마당을 부지런히 만들자!
- 환금성의 진짜 의미
- 매도 시점에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물건
- 서울&수도권은 가급적 안 팔 것을 산다.
- 지방은 팔 생각을 하고 산다.
- 환금성은 아파트!
- 수익성의 진짜 의미
- 적절한 투자금으로 충분한 수익을 낸다.
- 무조건 적은 투자금이 아닌, 적당한 투자금으로 수요가 풍부하고 가치있는 물건을 산다.
- 어떤 게 더 싸지?
- 어떤 게 투자금이 더 적게 들지?
- 어떤 게 더 수요가 많고 가치가 크지?
- 원금보존의 진짜 의미
- 높은 전세가율에 투자해서 원금을 절대! 잃지 않는다.
- 전세가가 떨어지면 매매가도 떨어지는데, 가치가 있는 물건이라면 결국 제 가치를 찾아간다.
- 그 때 까지 내 투자금을 ‘절대’ 잃지 않고 지킨다.
- 단기 입주 물량이 적절한지 확인!
- 리스크의 진짜 의미
- 감당 가능한 리스크에 투자하고 대응한다.
- 싸게 샀다면 잘 지켜서 수익을 낸다.
- 수익이 났을 때 팔아서 그 때 투자할 수 있는 더 가치 있는 물건에 투자한다.
- 모든 리스크를 피하려고만 하지 말고, 감당할 수 있는지. 리스크보다 기대수익이 큰지 확인!
복기의 중요성
- 계속해서 투자를 이어나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 ‘복기’
- 복기를 통해 내가 했던 투자를 돌아보며 더 좋은 투자를 하자.
1단계 복기
- 투자한 시점의 나를 복기한다.
- 투자를 마친 직후, 투자 당시의 상황과 투자를 결정했던 이유에 대해 상세하게 기록해서
- 투자 시점에 내가 봤던 것, 생각했던 것을 남겨둔다
2단계 복기
- 숨겨져있던 리스크와 기회를 탐색한다.
- 투자를 마친 후 평온해졌을 때, 내가 보지못했던 기회 또는 리스크가 있었는지 기록
- 조급함 때문에 내가 보지 못했던 것이 있었는지 확인한다.
3단계 복기
- 결과를 통한 복기
- 투자 1년 후, 2년 후 계속해서 내가 했던 결정과 투자, 그 결과에 대해 돌아본다.
- 그 당시의 선택이 옳았는지, 더 합리적인 선택지는 없었는지, 아쉬운 점은 무엇인지 확인하여
- 향후 투자 기준을 다듬어간다.
월간게리롱과 같이 나 자신을 위한 동기부여가 필요할 것 같다.
앞으로 내가 해야할 일은?
- 메타인지
- 앞마당 늘리기
- 여러 지역의 투자 후보 모니터링
- 핫딜이 뜨면 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