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열중반 2강 식빵파파님의 비교 평가 강의
식빵파파님의 강의는 간결하면서도 핵심개념에 집중되어 있어 강의를 모두 듣자마자 나도 빨리 비교평가를 해봐야지 하는 마음이 불끈불끈 솟게하는 강의였다.
** 강의 내용의 핵심
투자는 결국 싸게 사세 비싸게 파는 것.. 그렇다면 싸게 사려면?
1. 비교평가를 위한 시장 진단 >> 상대적 저평가시장인가? 절대적 저평가 시장인가?
2.시장에 따라..
상대적저평가시장(일부만 20%이상 떨어진 시장)에서는 좋은데 싼것 골라내기
절대적저평가시장(모든것이 20%이상떨어진 시장)에서는 더 좋은 것 골라내기
3. 비교평가할 단지 찾기
4. 상품성 + 입지요소 (직장/교통/환경/학군)로 가격대비 가치판단
** 배운점
1. 시장을 넓게 보기
식빵파파님이 비교평가할 단지를 전체 시장을 놓고 20% 하락한 물건들을 찾는 접근 방식은 너무나 당연한 방법인데도 그 이전에는 생각조차 하고 있지 않았다. 이 많은 물건들을 어떻게? 내가 알고 있는 단지에서 먼저 찾으면 되지.. 혹은 누군가가 추천한 단지에서 먼저 찾으면 되지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이미 내 감정이 실리고 나의 주관적 평가가 들어간 단지 선정이다. 내가 만들 앞마당을 넓게 생각하고 객관적인 평가에 의해서 선정해볼 수 있는 틀을 배우게 되었다.
2. 평가 도구
임장을 하고 각 아파트의 상품성과 입지요소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객관적인 틀을 제시해주셔서 확신을 갖고 투자를 결정할 수 있을 것 같다.
** 의문점/앞으로 해결해야할 과제
1. 싼데 좋은것? vs 좋은데 싼것?
20% 하락된 상품중에서 좋은 것을 골라내는 것은 유효한 투자 전략일까?
21년 불장일때 2018년대비 50% 이상 상승한 단지들은 이미 전고점을 회복하고나 비슷한 수준으로 가있다. 이에 반해 상승폭이 적은 단지들은 아직도 -20% 수준이다. -20%인 아이들은 다음 상승장때도 상승율이 더 낮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 않을까? 투자금 대비 수익을 생각해봐야 할 듯하다. (회복한 단지가 추후에 더 상승한 경우 vs 회복하지 못한 단지가 회복+소폭 상승한 경우)
2. 같은 투자금으로 지방의 S급 vs 수도권의 B급, 수도권의 S급 vs 서울의 B급?
여러개의 단지를 비교평가하다보면 이런 경우가 많이 생길 듯 하다.
지방의 S급과 수도권의 B급..
수도권의 S급과 서울의 B급..
단지에 살고 있는 인구구조와 주변 일자리 등을 보고 환경을 다시 세밀히 평가해야하겠지만
큰 틀에서 보면 지방 보다는 수도권.. 수도권보다는 서울인지? 궁금하다.
댓글
라라랜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