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원씽'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9기 72조 베셀]

  • 24.08.19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켈러, 비지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024.08.18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우선순위와 균형은 함께할 수 없다]


#우선순위 #중요도 #극단


우선순위에 따라 행동하면 자동적으로 균형에서 벗어나 어느 하나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된다.
즉, 균형을 깨뜨려야 한다. 문제는 그 우선순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느냐다.
업무를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고 그것부터 끝내야한다.

 

무게를 맞추는 삶을 살아라. 중요한 일을 맨 앞에 두고, 나머지 부분들은 기회가 닿는 대로 관심을 쏟아라.
훌륭한 사람이란 곧 다른 여러 부분의 무게를 맞추는 삶이다.

 


[누가 큰 것을 두려워하는가?]


#장기적인관점 #복리 #한계 #가능성


큰 일에는 위험이 따른다는 생각을 가지고 이를 두려워하면 사고의 범위가 점점 작아진다.
궤도를 낮게 잡는 것이 안전하다고 느끼고, 지금 이 자리에 그대로 머무는게 신중한 선택 같기만 하다.
하지만 그건 사실이 아니다.
큰 일을 두려워하면 작은 사고가 당신의 하루를 지배할 것이고, 큰 일은 결코 현실이 되지 않는다.

 

 

[미래의 크기를 바꾸는 초점탐색 질문]


#시작이전부 #첫번째도미노 #선택과집중


여기 성공의 기본 조건이자 위대한 비밀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여러분의 에너지와 생각, 돈을 현재 하고 있는 일 하나에만 집중하는 것입니다.
앞서 가는 비밀은 시작하는 것이다.
시작하는 비결은 복잡하고 어려운 일들을 관리하기 쉬운 작은 조각들로 나눈 다음, 가장 첫 번째 조각에 덤벼드는 것이다.

 

[큰 해답을 찾아라]


#안전지대 #불확실성 #변화 #멘토 #벤치마킹


해답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것을 얻고 싶다면 그것이 당신의 컴포트 존 바깥에 있음을 먼저 깨닫아야 한다.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당신이 걷는 그 길을 이미 가본 사람을 찾아 그들의 경험을 조사하고, 모델로 만들고, 벤치마킹하고, 동향을 파악하라.

 

 

[인생의 반전을 불러오는 단순한 진리]


#목적의식 #우선순위 #생산성 #방향 #나침반


당신이 가져야 할 '큰 단 하나'는 목적의식이고, '작은 단 하나'는 그 목적의식을 행동으로 옳길 때 필요한 우선순위다.
생산성이 높은 사람들은 목적의식에 의해 일을 시작하고 그것을 나침반과 같이 이용한다.
그리고 목적의식의 안내를 따라 자신의 행동을 좌우할 우선순위를 정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원씽을 읽고 나의 목적의식 그리고 우선순위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목적의식에 맞은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가장 중요한 단 하나를 위한 시간확보(4시간 이상)를
내 에너지가 가장 넘치는 시간(주로 아침)에 확보를 하고 이를 행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생각을 하였다.
추가로 거절, 혼란에 대응, 건강에 좋은 습관들, 환경, 멘토 등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알게되었다.
나는 '자유와 성장을 추구하는 현명한 투자자'가 되고싶다는 목적의식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른 우선순위는 '독.강.임.투'이고 그것들을 습관으로 만들어 꾸준하게 이어나가는 것이다.
동시에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극단을 추구하되 너무 멀리가버려 소중한 것(인간관계, 건강)을 잃지 않게 주기적으로 신경을 쓰고 관리해야겠다는 생각도 하였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매일 아침 1시간 이상 독서시간 확보하기.
2. 목적의식에 맞는 우선순위를 설정 후 시간확보하고 행동하여 생산성 극대화하기.
3. 목적의식, 우선순위를 포스트잇에 적어 보이는 곳에 붙임(큰 단 하나, 작은 단 하나 시각화)
4. 중요할 일을 할 시간에 내 에너지가 넘치도록 건강한 식습관, 수면, 운동, 환경 관리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185) 오래 지속되는 행복을 얻는 가장 확실한 길을 큰 목적의식을 갖고 매일 하는 그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댓글


베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