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반갑습니다.
비로소시입니다.
지방투자기초반 2주차 강의는 게리롱튜터님의
B지역에 대한 강의였습니다.
이번강의에서는 특히 B지역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지방투자에서
가치있는 물건에 투자하는
의사결정의 기준에 대해
명확한 기준점과 함께
게리롱튜터님의 월부생활 4년동안
배우고 느끼셨던 튜터님의 인사이트를 레버리지 할 수 있는
귀한시간이었습니다.
강의내용인 B지역에 대한 입지분석과
투자로 바라보는 인사이트,
지방임장을 하면서 생기는 궁금증들까지
속시원하게 해결해주셔서
지방투자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B지역의 입지
B지역의 입지를 통해
인구가 전부가 아니며,
지역의 수요를 어느정도로
끌어올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과
B지역은 인구보다 더 큰 수요가 있다는 것도
깨달을 수 있었는데요,
임장보고서를 작성하면서도
해당 지역 인구 뿐 아니라
주변의 수요까지 얼만큼 끌어들일 수 있는
지역인지 파악 해 볼 수 있어야겠습니다.
B지역의 직장은
딱히 눈에띄는게 없지않나?
라고 생각했던것과 달리,
행정,금융의 중심지로
고소득일자리가 있는 지역이었습니다.
제조업이 주를 이루는 도시의경우
업황을 많이 타기도 하지만
제조업의 비율이 낮다면
환경에 크게 휘둘리지않고
버틴다는 것 또한
이번강의를 통해 새롭게 알게되었고
입지분석시에 직장의 질에 조금 더 초점을 두어
업종과 특징을 파악 할 수 있어야겠습니다.
저평가 VS 저가치
이번강의를 들으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느낀 내용은
지방에서의 저가치와 저평가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아닐까 싶습니다.
지방은 가격이 싼 물건이 많아
그 중에서도 가치판단을 잘 해내야하기 때문인데요,
가격이 싼데 어느범위까지
투자를 할것인지에 대해
잘 알고 투자를 하는것이 중요하기에
b지역 뿐만 아니라 지방 여러곳에
투자를 하게 될 저희를 위해
튜터님께서 한방에 묶어서 지방을 볼 때
어떻게 보고 판단해야 할 지
의사결정과정과 프로세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주셔서,
임장을 다니면서, 임보를 쓰면서
생겼던 궁금증에 대해
해결은 물론, 판단 기준까지
세워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B지역에 대한 위상과 입지분석 뿐 아니라
투자적인 관점에서는 어떻게 접근해야하는지
긴긴 시간동안 한땀한땀 떠먹여주신
게리롱튜터님 감사합니다
댓글
비로소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