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소비자산에 돈을 쓰는 것에서 생산 자산에 돈을 쓰는 것으로 바꿔야 한다.
직장인의 비근로소득 창출 6단계
1단계 : 직장에서 열심히 일하고 그 대가로 급여를 받는다(시간 ↔ 근로소득 교환).
2단계 : 소비 자산에 대한 지출을 최소화한다(절약).
3단계 : 남은 돈을 모은다(자본화).
4단계 : 모은 자본으로 생산 자산을 산다(투자).
5단계 : 앞의 1~4단계를 반복하며 규모를 키워 자산 시스템을 만든다(시스템 마련).
6단계 : 시스템으로부터 일하지 않고도 소득을 얻는다(비근로소득 확보)
협상 사례
나는 소장님에게 여러 가지 질문을 했다. 보통 매도자와 가격을 협상하기 전에는 그가 집을 팔
려고 하는 이유를 묻는다. 물론 이때 중개소 소장님이 매수자인 나보다 매도자와 더 사이가 끈
끈하다면 유용한 대답을 듣기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거래에 대한 신뢰가 쌓이면 어느 정도
구체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또한 등기부 등본처럼 열람에 제한이 없는 서류를 통해서도
매도자의 사정을 짐작할 수는 있다. 해당 물건의 경우 투자자가 매입한 지 2년 만에 매도하는 것
이었는데, 당시 분당과 인근 죽전에 투자했던 매도자가 지인과 함께한 사업이 어려워져 두 물건
모두 급하게 처분하고 싶어 한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그러면서 소장님은 여름 비수기인
만큼 어느 정도 가격 조정이 가능할 것 같다고 귀띔해 주셨다. 나는 상대가 원하는 것과 내가 감
수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하기로 결정했다.
아는 지역을 늘린다는 건
철저히, 현재 가치를 볼 때 가격이 저렴한 편인지 아닌지에 집중하라. 미래를 예측하지 마라.
우선 돈을 쓰는데 있어 소비 자산이 아니라 생산 자산에 돈을 써야 한다는 것에 놀랐다.. 생산 자산은
투자라고 생각했지 돈을 쓴다라는 표현을 생각해 보지 못했다… 생각의 전환, 표현의 전환이 일어났습니다..
투자 협상 사례에서도 보았듯이. 초보자들은 자신만의 생각과 의견만을 주장하는데, 상대의 처지나 상황을
잘 파악하여 이를 협상 테이블로 올려놓으면서, 내가 더 유리한 상황을 만들 수 있다는 것…
그러니 너무, 내 주장만 하다보면 오히려 내가 약자가 되고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부동산의 미래는 아무도 알 수 없는데 확정되지 않은 풍문이나, 공약들을 믿고 투자는 하지 말아야 함을
느겼다. 하지만 가끔 뉴스에도 나오듯이 부동산은 호재에도 들썩 들썩 거리는데 그게 이미 반영된것이라
쫒으면 안되며, 이미 그렇게 올라버렸으면 그 것은 보내주는게 현명한 선택이라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댓글
책 내용과 책을 읽고 느낀점 요약 해 주셔서 감사 합니다. 이미 가격이 올라버린 것은 보내주는게 현명한 것이라는걸 배우고 갑니다! 오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