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거주자이면서 서울 투자를 준비하고 있는 예지ON입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서울 1호기 후에 지금 실거주용 지방 아파트를 매도하면서 거주-투자분리까지 생각하고 있어 내집마련 중급반을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기준으로 거주-투자 분리하는지, 어떤 단지를 선택해야되는지, 분리후 그이후의 리스크까지 배울 수 있었고 조금더 구체적인 방안까지 생각하는 시간이여서 좋았습니다. 좋은 강의 내용중에서 제게 가장 와닿았고 꼭 BM하고 싶은 점을 모아 후기로 남겨봅니다.

 

1.수도권 시장진단

-사람들이 좋아하는 지역, 단지일수록 매매가 상승률이 크고 회복을 많이 함. 같은 지역 내에서도 단지별로 가격 흐름이 다르다. 

BM1: 서울 전세가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므로  내집마련하기 좋은 상황이다. 매매가격이 반등하지 않고 전세가격이 올라가는 단지를 조금 더 찾아보자. 가격의 변화에 집중하지 말고 가격에 집중하자. 20%정도 하락했다면 매수 생각해도 된다. 

 

2. 내집마련 기준&적용

-지역별 가격판단 프로세스

BM2: 내가 트레킹하는 후보단지가 전고점 80% 회복한 단지는 전고점 대비 20-25% 가격으로 조정되면 매수하자. 80% 회복안되었다면 예산 감당가능 선에서 매수 진행한다.

같은 가격차라면 더 좋은 급지, 같은 가격차 같은 급지라면 택지아파트 고르자.

 

3.상황별 수도권 거주-투자분리 선택방법

-거주-투자분리는 실거주 예산으로 감당할 수 없는 좋은 가치의 집을 미리 사 놓을 수 있는 전략이다. 

BM3: 나는 현재 거주-투자 분리를 생각하고 있으므로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가치의 집을 고르는 실력을 키우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 후보단지 시세트레킹후 전고점 대비 15-20% 하락에 부합하고 감당가능한 예산내면 용기내어 매수하자. 제발 용기내자!

BM4: 매수한 집에서 올려받은 전세금액은 나의 리스크대비용으로 꼭 예적금에 넣어둔다.

BM5: 거주투자 분리시 내가 거주하는 전월세집은 신축 입주장에 나오는 전월세를 기회로 삼는다. 주변에 알아보니 26년 상반기에 입주하는 신축이 있다. 좀 더 구체적인 플랜을 세워보자.

 

내마중 같이 한 모든 동료들이 조용한 숨은 부자가 되는 길로 함께 오래오래 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예지ON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