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안녕하세요 구르망입니다.
여러번 서투기를 들었는데 이번만큼은 오로지 나를 위한 선택들로 가득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동안 보여주기 위한 강의후기를 쓰는 건 아닌지,
실제 적용할 게 아니라 그럴싸한 깨달음을 쓰는 것은 아닌지,
여러 자괴감을 느끼곤 했는데
이번시간 자모님의 이야기를 듣고나니
모든 선택은 제가 투자를 위한 최선이 무엇인지를 두고 해야하는거구나
새롭게 깨닫는 시간이었습니다.
지금 당장 저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9월 한달을 보내겠습니다.
▶시장을 읽는 방법
매번 그래프를 보고 ‘조금 올랐는데? 상승장인가?’ 하는 정도의 생각에 머물렀습니다.
지난시장의 복기는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아닌 지금 현재의 시장을 진단하고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를 정하는 도구로 사용해야 합니다.
지난 시장을 복기할 때 구체적으로 보아야 할지 방향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1)정부정책
-공급이 있는가?
-규제지역이 확대되는가?
-주담대, 전세자금, 세금 등 규제가 시행되었는가?
2) 사람들의 분위기
-규제가 있어도 매수를 하려는 분위기인가?
-규제가 풀려도 전세를 선호하는가?
▶가격에 대한 이해
지방임장하다 서울을 보게 될때 가장 어색한 부분이 가격입니다.
갑작스레 호가가 10억이상 상승할 수도 있는데, 절대가가 아니라 가격의 흐름을 보야 하는 것을 배웁니다.
특히나 지금 임장지가 강남이기 때문에, 강남구 입지마다 얼마의 차이가 있는지를 이해하는게 꼭 강남이 아니더라도(혹은 상급지가 아니더라도) 다음 급지로 내려가 내가 할 수 있는 투자를 한다는것이 어떤 의미인지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6개월전과 현재의 가격비교하기. 정말 다 올랐나? 다 올랐다면 얼마의 금액이 상승했는지? 연식과 선호에 따라 가격상승폭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이게 최선인가요?
서울은 입지의 특성상, 덜 선호하는 정도는 있지만 저가치의 매물이 거의 없다고 봅니다. 무엇이든 투자해도 어지간하면 오르겠지만, 매번 이 투자가 최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비교습관이 필요합니다. 여러가지의 시나리오를 가정해보고 최선을 고르는 단계별 사고방식을 체득해야 할 것입니다.
▶세금정책에 대한 이해
신문 좀 읽기 시작했다고 부동산 규제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게 됩니다. 대출규제가 시작되었다? 투자를 못한다 가 아닌 지금과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사고방식을 먼저 키워야 할 것 같습니다. 전세낀 매물을 매수한다던지, 어느 시대에건 투자를 할 방법이 있다는 선배님, 튜터님들의 이야기에서 답을 찾아야 하겠습니다.
또한 저도 2주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3주택은 못하겠구나’라고 막연히 생각했었는데요, 챗수만 고려하기 전에 어떤 가격에서 매수해야 할지, 무엇이 이득이고 실인지를 구분해 나가며 선택을 하는 논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과제인증 완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