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울투자기초반 2강 수강후기_서투기 17기 99조_은평구장, 9회말 9번타자로 끝내기 홈런치조_단호한파블로

  • 24.09.13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살아있는 전설 워런 버핏은 투자자들의 구루로 존경받은 인물이다. 워런 버핏이 수 많은 투자자들로 부터 존경받는 궁극적 이유는 무엇일까? 수익률이 높아서? 워런 버핏의 수익률은 년간 약 22%다. 꾸준히 그 정도의 수익률을 유지해 오고 있다. 그러나 헤지펀드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의 수장 짐 사이먼스를 아는가? 그의 수익률은 무려 년간 66%다. 워런 버핏이 존경 받은 이유는 단순히 수익률이 아니다. 워런 버핏이 존경 받은 이유는 그가 멈추지 않았다는 것이다. 워런 버핏은 무려 75년간 투자를 단 하루도 쉬지 않고 끊임없이 해 오고 있다. 

 

"워런 버핏의 성공 요인을 해부한 책은 2,000권이 넘는다. 그러나 그 중에 ‘이 남자는 75년간이나 꾸준히 투자를 해왔다’라는 제목의 책은 없다.”

- 모건 하우절 <돈의 심리학>

 

 

 

 주우이님의 원씽은 ‘행복한 투자자’라고 한다. 부럽다. 행복한 투자자가 원씽이라니. 나의 원씽은 주우이님이 강의에서 예를 들었던 것처럼 ‘목표 자산 얼마’가 맞았던 거 같다. 물론, 내게도 그럴싸하게 포장된 그 무엇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선한 영향력, 기버, 행복… 분명하진 않지만 어떤 한 경향으로 표현될 수 있는 그것들 말이다. 그러나 나는 주우이님처럼 그것들을 구체적으로 꿈꾸지는 않았던 것 같다. 그냥 어떤 추상적인 강령이나 이념처럼 입버릇으로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내가 이렇게 불확실하게 “~같다”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내가 내 목표에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주우이님은 그렇게 구체적인 목표가 있어서, 그리고 그 목표가 지속가능한 이유가 있어서 아마 행복했을 것이다, 정말로. 하지만 나는, 나의 목표는 구체적이지 않아서, 아니 구체적이지만 지속가능성이 없어서 행복이 계속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내가 앞서 말했던 선한 그 무엇들은 어쩌면 목표 순자산 얼마를 달성하고 나면 부수적으로 따라오는 보너스 정도로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만약 그렇다면 나는 목표 순자산을 이루고 나면 길을 잃어버리고 허탈하게 될지도 모른다. 아니면 금액이 상향 조정된 또다른 순자산 목표를 가지게 될까? 주우이님의 ‘행복한 투자자’는 내게 이런 화두를 던져 주었다. 내가 부자가 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내가 부자가 되는 방법으로 투자를 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앞서 인용한 책 얘기로 다시 돌아가 보면,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익률이 아니다. 꾸준함, 지속가능성, 투자자로 계속 남는 것, 즉, 생존하는 것이다. 계속 살아남아 투자를 계속하면 수익은 복리로 불어나게 된다. 절대 무리하지만 않으면 이 법칙은 절대적이다. 그런데, 이걸 알고 있으면서도 우리는 이 단순한 진리를 잘 지키지 못한다. 왜? 빨리 부자가 되고 싶은 조급함 때문에, 그리고 쉽게 지쳐서 중도에 포기해 버리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이것을 왜 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주우이님이 강의 말미에서 말한 것처럼 투자의 궁극적 목표가 행복에 있다는 것을 알고, 그것을 재밌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다면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 이것은 정말 중요한 메시지다. 정말 중요한 깨달음이다. 강의 끝에 의례하는 인사말처럼 이 말을 들은 사람들이 있다면 주우이님의 ‘행복한 투자자’의 전언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것을 강권한다.

 

P. S.

그외 벤치마칭 포인트.


신도시투자기초반 강의에서도 알려주신 방법인데, 이번 서투기에서도 정말 유용하게 써 먹고 있다. 

바로 비교평가 방법이 그것이다. 

1)지역의 생활권 우선순위를 정한다

2)그에 따라 가치대비 가격비교만으로 우선 투자 대상을 선별한다

3)투자금에 맞는 물건을 선별한다

4)검증한다

이 방법은 신분당선이 강남까지의 도달시간을 비약적으로 줄여준 것 만큼 비교평가의 시간을 절약해 준다. 그 뿐 아니라 정확도면에서도 정말 탁월하다. 그저 감탄할 뿐! 


댓글


단호한파블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