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안녕하세요, 냉정과열정사이입니다.
서투기 3주차 강의 후기입니다.
제주바다님 강의를 들으면서 느낀 점들 위주로 공유드립니다.
1. 목표는 ‘노후준비’가 되어야 한다.
강의 마지막 부분에서 인상 깊었던 것이 목표는 서울 투자가 아니라, ‘노후 준비’가 되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서울에, 수도권에, 지방 광역시 어딘가에 투자를 해야 한다는 강박으로 조급해질 수 있지만,
결국 우리의 목표는 노후 준비이기 때문에,
어딘가에 매몰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서
시장의 기회를 살피며 유연하게 바라봐야 한다는 점이 와닿았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 현재 기회가 지나간 곳보다,
아직 기회를 주는 곳이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노다지 많음)
마음을 열어두고 임장 & 임보 & 투자로 연결 하는 본질적인 것에 집중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2. 30억대 자산가가 되려면 전국구 투자자가 되어야 한다.
서울에 2채만 해도 10억대 자산을 만들 수 있고 노후준비를 끝낼 수 있다고 말씀 주셨는데,
더 높은 목표인 30억대 이상을 본다면 수도권, 서울, 지방을 오고가는 전국구 투자자가 되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전국으로 투자 대상을 본다면 기회를 주는 물건들이 눈에 보여서 재밌어진다는 말씀을 듣고
나도 저렇게 될 수 있겠지..!? 라며 미래의 모습을 상상해보게 되었습니다ㅎㅎ
지방 투자를 우선적으로 보고 있지만,
서울권에도 앞마당을 차근히 만들어서 전국구 투자자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3. 저평가 단지 찾는 프로세스 순서대로 진행
1) 단지별로 가치판단을 한다.
2) 투자금을 확인한다.
3) 매물을 통해 비교하여 최종 결정을 한다.
제주바다님 강의에서 핵심적으로 벤치마킹해야 하는 부분은 저평가 프로세스입니다.
투자금을 먼저 보기 보다는,
가치를 먼저 파악해서 어떤 단지가 더 가치가 있는 것인지 교통, 학군, 환경을 기준으로 확인하고,
그 후에 가격이 어떠한지, 투자금은 얼마나 드는지 확인하는 순서로!
그 이후에 매물을 실제로 보아야 물건의 상태, 조건 등을 확인할 수 있어서 매물임장은 필수로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매물마다도 입지 평가를 하고, 조건을 비교해서 내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의 것을 하는 것이
저평가 단지를 찾는 핵심이라는 것을 다시금 상기했습니다.
특히, 호재는 입지를 개선시키는 요소이기 때문에 꼼꼼히 살펴야 하고,
공급의 경우 리스크이긴 하지만 그에 따라서 기회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위치, 규모, 시점 등을 확인해야 한다는 점도 배웠습니다:)
댓글
냉정과열정사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