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일 : 2024.09.24]
안녕하세요
우리의 봄입니다 :)
10월 1일 국군의날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휴가계획을
세우는 분들이 많을텐데요.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8%는
중립적인 입장을 표했고,
또한
아직 상당수의 직장인들은
근무를 해야하는지,
쉬어야 하는지에 결정이
되지 않은 것을 나타났다고 합니다.
10월 1일 임시공휴일
근무시 수당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0월1일임시공휴일
#10월1일공휴일
#10월1일근무수당
#10월1일임시공휴일확정
#10월1일임시공휴일지정
#10월1일임시공휴일학교
#10월1일임시공휴일병원
#국군의날임시공휴일
#국군의날임시공휴일확정
#임시공휴일근무
#임시공휴일수당
#임시공휴일연차
#임시공휴일휴일수당
임시공휴일
![]()

임시공휴일이란,
국가 또는 사회에서
필요에 따라 정하는 휴일로,
경제활성화와 국민의 휴식권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도입되었습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관공서, 공무원을 비롯
5인 이상 모든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임시공휴일 근무수당
5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임시공휴일에 근무를 하면,
'휴일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휴일근로수당은,
8시간 이내 :
통상임금의 150%
8시간 초과 :
임금의 200%

![]()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휴일 근무수당을 받을수 없고
근무한 시간에 대한
통상 임금만 받게 됩니다.
임시공휴일 연차
![]()

5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유급휴일' 이기 때문에
임시공휴일과 연차사용이
겹친다면,
연차휴가는
소멸되지 않습니다.
만약 소진된다면
근로기준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임시공휴일 주휴수당 계산
![]()

10월 1일 임시공휴일이
지정되면서,
임시공휴일이 포함된 주에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궁금해하는
분들이 계실텐데요.
주휴수당 지급 기준인,
일주일 동안
'15시간 이상'
근무시간을 충족했다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
주휴수당 시간 :
일주일 소정근로시간/40시간*하루근로시간
주휴수당:
주휴수당 시간 * 시급
![]()

또한 네이버에서
'주휴수당 계산기'를 통해서도
계산해보실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0월 1일 임시공휴일 택배는?
![]()

10월 1일 공휴일은
은행, 관공서, 공공기관,
학교 등은 모두 휴무입니다.
병원의 경우
병원내 자율 결정에 따르고,
정산적인 진료를 한다면
공휴일, 야간 가산제를 적용,
진료비를 더 내야 합니다.
택배 또한
대부분 휴무이며,
물류센터 또한
운영이 제한됩니다.
이상
10월 1일 임시공휴일
근무 수당 및 휴무 업종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모두 휴가 계획도
잘 세우시고
수당도 꼭
챙겨가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0월1일임시공휴일
#10월1일공휴일
#10월1일근무수당
#10월1일임시공휴일확정
#10월1일임시공휴일지정
#10월1일임시공휴일학교
#10월1일임시공휴일병원
#국군의날임시공휴일
#국군의날임시공휴일확정
#임시공휴일근무
#임시공휴일수당
#임시공휴일연차
#임시공휴일휴일수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