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내집마련 1주차 강의 수강 후 해결하지 못한 질문이 있습니다!

24.10.09

안녕하세요!

내집마련 1주차 강의 수강하면서 질문 폭탄이 생겨버렸어요..🥹

FAQ나 놀이터에서 다른 분들 질문들로 몇가지는 해결을 했는데 (집단지성 최고!👍🏻)

개인적인 상황을 놓고 봐야하는 것들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아서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1. 근로소득자인데, 2023년 원천징수영수증 기준과 2023년 종합과세의 세전소득에 차이가 있다면 무엇을 기준으로 봐야할까요?

: 강의에서는 근로소득자의 경우 원천징수영수증 기준으로 세전소득 확인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제가 올해 종합소득세를 냈던 기억이 있어 확인해보니 종합과세의 세전소득이 더 높더라구요..!

종합과세 기준으로 하면 정부대출이 불가합니다ㅠㅠ

 

2. 1번 질문에 이어서.. 매매 시점을 2025년 1분기로 고려한다면 해당 시점에는 2024년 기준의 세전소득으로 보게 되는거겠죠?

: 이 경우에도 정부대출은 불가하게 되더라구요..ㅠㅠ

 

3. 강의 자료에 있는 내집마련 예산계산기에는 생애최초 기준의 LTV 80%은 계산법이 왜 없나요?

: DSR 기준을 맞추는 것이 더 중요해서 없는걸까요…? 생애최초 주택구매 LTV 80% 기준의 예산도 확인하고 싶어요ㅠㅠ

 

4. 회사 복지의 대출로 지원받을 수 있는 비용도 예산에 포함해도 될까요?

: 회사 복지 중, 회사의 예금을 담보로 하되 제 명의로 대출이 가능한 제도가 있습니다!

DSR에 예적금 담보는 포함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제 가용 예산에 포함해도 될지 궁금합니다!

 

5. 마지막으로.. 언제 결혼할지도 모르는 혼인주의자인데 전재산을 부동산 매매에 넣는게 맞을까요?

: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고 본인의 선택이겠지만..ㅠㅠ

결혼적령기에 결혼 전 주택 매매하신 분들은 어떻게 하셨을지 사례가 궁금합니다!

 


댓글


늘배
24. 10. 10. 12:40

안녕하세요 신중한사과님 정부대출기준 및 대출관련은 해당 대출상담사를 통하여 상담 받으시는게 좋을듯합니다. 감사합니다.

잔쟈니creator badge
24. 10. 10. 12:43

안녕하세요 신중한사과님! [1,2]번의 경우 상황에 따라 확인하는 서류가 상이합니다. 보통 직전년도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하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자료를 제출해볼 수도 있으니 이 부분은 대출 상담을 한 번 받아보시면 좋겠습니다. [3] 생애최초 ltv는 dti와 함께 보기 때문에 dsr 기준에 대한 계산법이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ltv 80% + dti 60% 이내) [4] 투자가 아닌 내집마련이라면 (투자는 내집마련보다 리스크가 높기 때문에 대출을 끌어 투자를 하는 건 권해드리지 않습니다), 해당 회사복지 대출이 은행권 dsr에 잡히지 않아 회사대출을 내고도 금융권 대출에 지장이 없다면, 그리고 금융권 대출과 회사대출 모두 원리금 상환액이 감당 가능한 범위 내라면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5] 이 부분은 개인마다 가치관과 상황이 달라 판단이 어렵습니다. 나중에 혼인을 하여 거주를 할 수도 있기에 오히려 더 집을 사시는 분들도 계셔서요 ^^ 다만 아직 결혼 계획과 예정이 불투명한 상태라면, 언제 계획이 세울지 안 세워질지 기한을 예측할 수 없는 일 때문에 내 자신의 재정계획을 무한정 미루는 것보다는 현재의 삶 속에서 우선순위를 먼저 세워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