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준비반 3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61기 75조 후니이이]

  • 24.10.23

실전준비반 - 1억 더 오를 아파트 임장, 임장보고서로 찾는 법

안녕하십니까, 실준반 3강 강의 후기를 작성합니다. 

 

저도 지방(대구, 포항)에서 투자하면서 한달동안 매주 서울 임장을 다니고 있는데, 코크드림님의 투자사례를 보면서 저도 할 수 있다는 긍정의 기운을 얻어갑니다. ^^ 특히 마지막에 하신 말씀이 정말 기억에 남는데요, 돌이켜보면 그동안 타인과 비교를 하면서 지레 좌절하여 포기했던 적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과 수평비교가 아닌, 어제의 나와 수직 비교하면서 꾸준함을 잃지 않는 투자자가 되겠습니다!

 

 

■ 특히 와닿았던 점 및/또는 적용해 보고 싶은 점

  • 수평적 평가는 지역성격/급지/인구규모가 비슷한 지역끼리, 수직적 평가는 기존 앞마당(상-하급지간)과 연결성을 갖는 지역끼리하는 것 → 지금은 임장 및 임보가 익숙해지는 것이 먼저. 앞마당 늘면 수평적 비교할 수 있고, 나아가 수직적 비교까지 가는 것이니 조급해 하지 말자. 

     

  • 지방도 지역내 최소 2개구 보기 

    - 1등 지역 : 부산 해운대구, 대구 수성구, 대전 서구, 광주 남구, 울산 남구, 창원 성산, 천안 서북구, 청주 흥덕구, 전주 덕진구, 포항 남구, 김해시

    - 가성비 지역 : 전세가율 60%이상(지방 70% 이상) + 평당가 높은 순

     

  • 다수가 좋아하는 아파트는 입지 + 상품성을 갖춘 것이나, 모두 충족 어렵다면 핵심요소 위주로 투자하자

    - 입지는 직장, 교통, 학군, 환경이 있으며, 상품성에는 신축, 1군 브랜드, 대단지, 택지가 있음

    - 입지 + 상품성 갖춘 아파트는 비쌈. 따라서, 다수 사람들이 좋아할 핵심요소 파악해 우선순위 부여 필요

     

  • 수도권 입지는 직장, 교통 > 학군 > 환경 순으로, 입지가 연식보다 중요

    광역시 입지는 학군(1등) > 환경 순으로, 입지(학군)이 연식보다 중요 → 1등 학군지는 구축도 괜찮다!!

    중소도시 입지는 환경 > 학군 순이나, 이러한 입지보다 연식이 더 중요 

     

  • 수도권은 양질의 일자리 많은 지역의 집값이 비싸므로, 대중교통(지하철)로 업무지구 빨리 가는 지역 선호

     

  • 수도권은 지역간 비교시 교통(특히 강남접근성)이 중요하나, 지역내 비교시 교통 + 지역내 핵심요소

    지역별로 핵심요소가 다르자. 예컨데 구로구와 부천과의 관계는 교통(업무지구 접근성)이 중요한데, 평촌은 학군/학원가가 핵심요소이고, 동대문구는 환경이 희소한 지역이라 아파트 밀집한 택지가 핵심요소임. → 각지역별로 핵심요소를 파악할 필요있음

     

  • 단지분석할 때 입지 좋은 신축/구축, 입지 덜 좋은 신축/구축, 입지 않 좋은 신축/구축으로 나눠 보기!!

     

  • 지방은 수도권과 달리 대중교통 중요성 낮음. 부산의 경우 타지방 대비 중요

    지방은 공부 잘하는 학교와 양질의 학원가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학군이 중요하고 학군지는 입지독점성 있음

    학군지는 부산 해운대구/동래구/금정구, 대구 수성구, 대전 둔산동, 울산 신정동, 광주 봉선동

    또 지방은 택지 + 단지분위기 좋으면 좋은 곳

     

  •  ‘광역시 외곽구축’‘중소도시 입지 좋은 구축’은 압도적인 공급 부족이 있는 경우에야 오름 ㅠㅠ

    전전고점을 전고점이 뚫지 못한 지역은 거르자. 

     

  • 투자 단지 선정시 가치 대비 싼가? 전세가율 70%(지방 80%) 이상인가? 매매가의 30% 잔금 마련 가능한가? 2년뒤 역전세 대응 가능한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후보단지 선정하자. 

     

  • 생활권 내 선호도 떨어지는 단지라도, 땅의 가치가 있는 지역 즉 강남 접근 1시간 이내 지역은 상승장에 오름. 비슷한 투자금이라면 입지+연식이 좋은 것을 선택하지만, 투자금 부족시 내가 할수 있는 최선의 선택하자. 

     

  • 비교평가는 소거법으로 하자. 가치비교 → 가격비교 → 투자금 비교 → 전고점 대비 하락률 비교

    가치 순으로 매물을 나열하고, 그 가치에 반해 가격이 높거나 투자금이 많이 드는 것을 소거해 나가자. 순위가 높더라도 예상 투자금을 초과하거나 위험한 매물은 투자하지 말자. 중요한 것은 실제 투자를 하지 않더라도 1등 뽑기는 무조건 해야된다는 것. 

     

  • 앞마당 관리는 시세트레킹 방식으로 꾸준히 해야함. 호재 제외한 지역 가치는 변하지 않지만, 가격이 변하는 등 왜곡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임. 전세가율도 높아질 수 있고

     

  • 앞마당 시세트래킹은 랜드마크 단지, 생활권별 대표단지, 생활권별 중간선호도 단지를 골고루 하면서 변화를 감지하자. 구별 15개 정도면 되지 않을까?? 모든 단지를 다 하기에는 어려울듯. 수도권은 20평대초/20평대, 지방은 20평대/30평대를 시세트레킹하자. 중소도시의 경우 환경이 좋은 곳, 선호도 있는 생활권 위주 정리

 


댓글


후니이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