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마지막에 너바나님이 복기를 해보라고 하셔서 잊어버리고 있던 빌라가 생각이 납니다.

2017년에 성남에서 투자 목적으로 매매한 빌라가 있었습니다.

투자 목적으로 샀으나 거의 투기라고 봐야하는 매매 였습니다.

중개소 사장님 말이 1억 3천까지는 올라갔던 물건이라고 하셨고, 저는 매매는 1억천 매입 하고 전세가 9천만원이였던 걸로 기억이 납니다. 여유자금이 그때 천만원정도 있어서 나머지는 마통으로 매매가를 채우고 매입하였습니다. 큰 수익을 기대하고 산건 아니였지만 결과는 실패였고, 실패는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직장 동료가 빌라는 매입하는거 아니라고 충고해줬는데 무시하였죠 ㅎㅎ!!

지금 강의 듣고 보니 충고해준 동료 말이 맞았는데 저는 부동산을 판단할 기준이 없어서 투기(도박)하였네요.

이후 세입자가 나가고 비워둔 상태에서 문대통령 시절 임대차 때문에 갑자기 빌라를 사들이는 업자가 구매의사를 보여 1억에 매도 하였습니다. 더 큰 손해를 보지 않아 다행이라 생각 합니다.

지금 보니 투기였다고 생각되는 것이 부동산 가치를 평가하는 직장, 교통, 학군, 환경 모두 고려하지 않고 올지 제 투자금에서 구입 가능한 물건이였고 심지어 구도심의 재개발이란 호재도 없던 위치에다가 심지어 재테크 기초반에서 유디님이 피하라고 했던 언덕위의 집이였어요. 그 이후로는 빌라는 쳐다도 안보게 되었습니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 는 것은 부동산에서 중요한 문구이네요.

싸게 사기위해, 저평가된 물건을 판단 할 수 있는 공부하고 있습니다. 

행동으로 옮기는 것은 본인의 몫이겠죠.. 

더 공부해서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아파트를 매입하고 싶습니다.

투자는 self라고 하신것에 동감합니다.. 스스로 공부하고, 판단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 모두 혼자 해야 합니다. 가족에게 의논을 하여도 말리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저의 남편도 제가 부동산 공부를 하는것에 불만입니다. 그래도 남편이 열심히 직장을 다녀서 이렇게 부동산 투자를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댓글


1030 이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