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일기장처럼 근황을 강의 후기를 통해 남기는 것 같습니다.
12월에는 연차가 많아 그동안 밀렸던 임장보고서 작성 및 임장을 가고자 합니다.
특히나, 이전에 잘 못했던 조장의 역할을 이번에는 조금 더 몰입해서 하고자 합니다.
최근 조 OT를 진행했는데, 모두 명확한 목표도 있고 한 분도 빠짐없이 OT에 참가해 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한 달을 즐겁게 보내지 않을까 싶습니다 :)
추가로 서울 투자에 대한 중요성을 너무 잘 느끼고 있어, 작년에 투자하였던 지방 아파트를 매도하고자 하는데, 조건이 쉽지 않아 여러 고민이 듭니다.
조금 더 능동적으로 매도를 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하는 게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12월 중에는 부동산에 몰두 할 수 있는 환경을 준 회사에 감사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느낍니다.
(추가로 일 년을 점검하는 시간도 가지며 내년을 준비하고자 합니다)
각설하고 강의 후기로 들어가고자 합니다.
제가 월부 강의를 지속적으로 듣는 이유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 당시 시장 상황을 판단한다 .
- 앞마당을 늘려가며 내가 서울 지역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을 점검하고자 한다.
- 조원들과 함께함으로서, 내 지식도 점검하고 강제적으로 열심히 한다.
- 강사님들로부터 동기부여를 받고자 한다. (현 시장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를 하시니)
이번 강의는 1번 및 2번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 강의였습니다. 오랜 시간 봐온 주우이님은 한결같이 긴 강의시간에도 불구하고 웃음을 잃지 않습니다.
어찌 저럴 수 있지 않을까…생각도 듭니다 (설마 AI…?)ㅎㅎ
주우이님 강의는 크게 4가지 세션으로 구성 되었습니다.
- 현재 서울 시장
- 서울 25개구 정리
- 가치성장 투자 및 소액 투자 현실화
- 서울 투자 의사결정 방안
위 내용들 중 핵심 사항들만 따로 정리하고자 합니다. 느낀 점 및 적용할 점 위주로 정리합니다.
[ 현재 서울 시장 ]
- 역시나 좋은 시장, 주우이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본인이라면 매일 임장을 갈 정도라고 하였다.
- 가장 와 닿았던 말은 오랜 기간 부동산 시장에 있으면서 주우이님께서 느끼셨던 ‘기회를 줄 때 잡아야 한다'. 이 말씀을 하셨을 때, 지금 내가 이렇게 한가로이 휴가를 즐길 때가 아니구나…를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현재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현재 시간을 낭비하면 안되겠구나…를 뼈저리게 느끼며 지방 아파트를 더 빨리 매도할 방안을 고민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특히나 전세가율이 높은 시장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특히나 6개월 ~ 1년의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이를 보았을 때, 현재 시장도 마찬가지 혹은 곧 말라 죽는 전세 시장에 따라, 조만간 기회를 더 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매매 거래량은 서울 평균 6,500건, 그러나 지금 줄어 들었다. 이는 우리 투자자에게 분명 좋은 시그널, 추가로 전세 물량은 말라가고 있기에 전세가는 오르고 있다. 투자 적기.
- 이는 현 서울 시장과 별도로, 좋은 걸로 2채만 잘 투자해도 나의 목표인 10억을 40살 되기 전에는 달성하지 않을까 싶다. 우선 내년까지는 1채를 달성하고자 한다. 서울 아파트는 기본적으로 10년이면 2배 뛴다고 한다. 그 사이에는 전세 상승분을 통하여 새로운 투자를 하면 된다.
- 추가 배경지식으로는 강남에서 노원까지 가격이 퍼지는 데 1년 ~ 1년 반이 소요된다고 한다. 그만큼 끝 급지의 단지는 우리에게 여유를 준다는 것이다.
- 아직까지 대세 상승장은 아니라고 한다, 그러니 지금 제대로 매수를 해야 한다고 본다.
- 낀 물건을 사는 게 유리할 수 있다. 만약 잔금을 치기 어렵다고 한다면. 대신 공급이 몰려있는 시기는 주의해서 보아야 한다.
- 저평가 된 아파트 단지, 감당할 수 있는 범위에서 매수하고 한채씩 늘려가면 10년 후 노후준비와 경제적 자유 이뤄질 수 있다.
10. 투자금 더 들더라도 좋은 입지의 구축을 투자하는 게 좋다. 매매가 주춤하면서 좋은 시기가 왔다. 선호 아파트 단지 요소 중에서 교집합 최대한 많은 것들로 매매해야 한다.
[ 서울 25개구 정리 ]
[ 가치성장 투자와 소액투자 ]
- 가치성장투자는 중요한 게 전세가 상승을 통한 현금 회수이다.
-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은, 같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했을 때 어떤 걸 투자하냐의 이슈이다. 특히나 입지 좋은 구축과 입지가 덜 좋은 곳의 신축이다. 만약 매년 저축을 많이 할 수 있다면 입지 좋은 구축을 하는 게 낫다, 왜냐하면 오랜 기간 갖고 있으면 결국 신축은 건물 가치가 낮아지고 땅의 가치만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결국 입지 좋은 구축이 더 높은 가격을 형성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세가가 낮기에 전세금 회수가 낮을 수 있다.
- 또 다른 중요한 포인트는, 20평대와 30평대 모두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30평대 일부 아파트의 가격이 20평대와 차이가 얼마 나지 않기 때문이다.
- 내가 가진 투자금으로 가장 좋은 투자를 하는 게임이다.
- 전세 맞춰져 있는 게 낫다. 잔금의 경우 리스크 감당 가능 범위까지 해야 한다.
- 현재 갈아타기를 하는 경우, 매도가 우선이다.
[ 서울투자 로드맵 ]
- 기존에 전고점 확인하는 건 모두 알고 있었다, 그러나 한 가지 가격 빨리 움직이는 게 어디인지 파악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다. 심지어 이는 더 상급지랑 비교했을 때도 단지 by 단지로 하급지 단지가 더 먼저 가격이 오를 수가 있다.
- 전저점 대비 상승장 전고점 수익을 보면 또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좋은 강의 해주신 주우이님께 감사드리며, 특히 단지들 바탕으로 예시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특히나 최근 강서구를 임장 갔다 왔는데, 관악구와 비교평가를 해줌으로써
최대한 많은 앞마당들과의 비교평가가 얼마나 중요한 지 깨달았습니다.
77조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