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저당권 최고금액이 집 값보다 더 높게 설정된 집 사도될까요?

정확한 답변을 원하시나요?

제목에 궁금한 점을 바로 알 수 있도록 조금 더 자세히 작성하세요. 최소 5자 이상

예시) 집 팔고, 다음 날 누수 연락을 받았는데 수리해줘야 하나요?

 

질문 내용필요한 정보를 자세히 작성하세요.

  • 질문이 길 경우 읽기 쉽도록 단락을 구분합니다.
  • 질문이 여러가지 일 때는 질문1. 질문2. 질문3... 으로 나눠서 작성합니다.
  • 특정 지역이나 아파트 단지에 대한 질문이라면 지역명과 아파트 이름을 정확히 작성합니다.

 

 

내집마련 강의를 듣고 마음에 드는 집을 찾아서

등기부등본을 떼보니까 

매도자인 분이 역모기지론으로 연금을 받고 계신것 같았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 채권최고금액이 집값보다 훨씬 큰 돈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매도하기엔 위험한 집일까요?ㅠ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재이리user-level-chip
24. 12. 16. 09:11

안녕하세요 이민선님~^^
채권최고액이 매도가보다 커서 어떻게 해결할 지,
사도 되는 물건인지 고민이 많이 되셨을 것 같아요 :)

저도 이전에 그런 경험이 있는데요~!
1. 금융거래확인서 등으로 실제 잔여 대출 금액 확인할 것(확인 후 평범한 매물일 경우 진행)
2. 가계약, 본계약 특약에 계약 시 근저당 금액을 매매금액 아래로 설정한다는 조건 기재
4. 계약금+중도금<매매가-근저당
5. 계약서에 잔금 시 말소 특약 기재
정도로 채권최고액이 매매금액보다 큰 물건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전에 제가 쓴 글이 있으니 자세한 부분은 한번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아래 링크 남겨둘게요. 화이팅입니다 :) ❤️
https://cafe.naver.com/wecando7/10023835

험블user-level-chip
24. 12. 16. 18:20

이민선님 안녕하세요 :) 저도 최근 비슷한 조건의 물건을 보게 되어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요. 재이리님의 글을 보고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이런 경우엔 리스크가 있긴 하지만, 하나씩 쪼개어서 살펴보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면 가격 협상에서 조금 더 유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더라구요. 따라서, 거래 상황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꼼꼼하게 체크해보시고 해결이 가능하다면, 매수가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더 조건이 좋으면서 가격이 싼 물건들도 있을지 모르니 계속해서 물건을 찾아보시는 것도 정말 중요할 것 같아요!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