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답변을 원하시나요?
제목에 궁금한 점을 바로 알 수 있도록 조금 더 자세히 작성하세요. 최소 5자 이상
예시) 집 팔고, 다음 날 누수 연락을 받았는데 수리해줘야 하나요?
질문 내용에 필요한 정보를 자세히 작성하세요.
열반 기초강의를 듣고 수익률 부분에서
전고점과 전저점이 중요하다라고 설명 해주셨는데!!
전저점이 의미하는건 : 떨어져도 여기 아래로는 떨어지지 않을거여서 안전하다! 라고 판단하는 기준??
전고점 의미 : 떨어진 가격에서 해당 가격까지는 오를거다! 라고 판정하는 기준을 의미하는게 맞을까요??
그래서 전고점 대비 내가 구매하려고 하는 타이밍이 -20% 정도 된다고 들어가도 될거 같다고 설명 해주신게
맞는지 이해가 잘안되는데 ㅠㅠ 선배님들 아시는거 지식있으면 나눠주실 수 있으실가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묵직할것님! 전고점과 전저점이 궁금하시군요 먼저 전고점이란 '해당 아파트녕하세요 묵직할것님! 전고점과 전저점이 궁금하시군요 먼저 전고점이란 '해당 아파트의 이전 최고가'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전저점이란 해당 아파트의 이전 최저가를 뜻하는데요. 여기서 전저점을 계산할 땐 15년 이상 된 아파트의 경우 아예 과거를 비교하는게 아니라 7~10년 전의 가격을 보시면 됩니다. 전고점 대비 -20% 라는 기준을 드린건 (상황/지역마다 다를 순 있지만) 그 정도 가격이 되면 충분히 저렴하다고 가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정확한 건 아닙니다.) 묵직할것님 화이팅입니다 !
묵직할 것님 안녕하세요 :) 전고점, 전저점이 반드시 ‘이정도는 오를거다, 내려가지 않을거다!’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가치가 낮은 단지의 경우에는 전고점까지 다시 오르지 못할 수 있습니다. 전고점 = 사람들이 이정도까지 받아주었던 최고가 전저점 = 이전 가장 낮은 실거래가로 더 떨어지기는 쉽지 않음 정도로 보시면 좋겠습니다. 강의에서는 ‘가치있는 단지’라는 전제하에 -20% 기준을 드렸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