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호혜의 고리로 성공할
호혜성입니다 :)
오늘은 열반스쿨 기초반의 3주차 강의를 들으며
제가 들으면서 느낀 점과, 앞으로 어떻게 배운 것을 제 삶에 적용할지에 대해
후기로 남겨보겠습니다.
[간단한 목차]
1. 전고점, 전저점의 찐 의미
2. 수익 & 수익률 높이는 방법
3. 직장 관계 인사이트
1. 전고점, 전저점의 찐 의미
주우이 멘토님의 설명 중 이번 강의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은 바로
전고점과 전저점의 찐 의미였습니다.
이 두 가지 개념에 대해서 모르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이전 강의들을 통해서 이미 여러 번 들어왔었죠.
사전적 의미를 보자면,
전고점은 직전에 찍은 가장 높은 가격이며
전저점은 직전에 찍은 가장 낮은 가격입니다.
(무슨 당연한 소릴 하느냐구요?)
하지만 단순히 사전적 의미만 배웠다면 이렇게 후기로 적지 않았겠죠.
무엇보다 두 지점은 모두 사람들이 인정한 가격이라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전고점은 다음 상승장이 왔을 때 이 정도는 가격이 오른다고 볼 수 있고,
전저점은 바닥을 다지고 올라가는 지점이므로 가격이 조정 받아도 여기서 멈출 수 있다는
설명이 바로 두 개념의 찐 의미였던 것입니다.
물론 이 두 개념은 절대적이지 않고 단지마다 다를 수 있으며
선호도가 높아 사람들의 수요가 많다면 위와 같이 볼 수 있다는 전제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투자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아닐 수 없고
그 의미를 이번 강의를 통해 제대로 배웠기에 이렇게 후기로 남겨 기억하고자 합니다.
나에게 적용할 점: 전고점, 전저점은 모두 사람들이 인정한 가격임을 기억하기!
2. 수익 & 수익률 높이는 방법
주우이 멘토님은 이번 강의에서 수익과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을 알려주셨습니다.
이를 위해 먼저 반드시 기억해야 할 개념이 세 가지 있는데
가치, 가격, 시간이 바로 그것들이죠.
이런 개념들을 적용해 수익과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으로
가치 대비 싸게 사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렇게 산 후 시간이 지나 본연의 가치를 찾을 때까지 보유한다는 점을
알려주셨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실제 행동을 통해 실현하는 방법으로
아파트 수익률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에 대해 알려주셨습니다.
가치를 알게 하고, 가치를 믿게 하며 시장을 기다릴 수 있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아파트 수익률 보고서를 작성해보면서
알 수 있는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저도 앞으로 아파트 수익률 보고서를 계속 작성하며
가치와 가격과 시간의 의미를 더욱 잘 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나에게 적용할 점: 아파트 수익률 보고서를 계속해서 작성하자!
3. 직장 관계 인사이트
주우이 멘토님은 강의 후반부에 성장에 대한 다양한 인사이트를 말씀해 주셨습니다.
그 중에서 특별히 인상적이었던 것은
바로 직장 동료들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필수 요소와 해야 할 행동으로 구분해서 알려주셨는데
필수 요소는 반드시 해야만 하는 것들이었고
해야 할 행동은 필수 요소가 충족이 되었다는 전제 하에
한 발 더 나아가 직장 동료들과의 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는 것들이었습니다.
이 두 가지 부분에 있어서 제가 월부에서 공부하고 마인드를 다지며
바뀐 부분도 있고 잘하고 있는지 되돌아본 부분도 있었는데요,
결과적으로 이런 인사이트와 가르침을 통해 제가 깨달은 건
결국 강의를 통해 인생을 배우고 있다는 좋은 느낌이었습니다.
이번에 알려주신 직장 관계 인사이트를 제 삶에서 적용해
동료들과 선순환을 하며 더욱 투자를 잘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자 합니다.
나에게 적용할 점: 직장 동료들과의 관계에서 필수 요소와 해야 할 행동 다 챙겨보기!
끝맺으며,
주우이 멘토님은 이번 3주차 강의에서
아파트 수익률 보고서의 개념과 이 보고서가 가지는 중요성,
그리고 실전 투자사례를 보여주시며 투자의 다양한 인사이트를 전해주셨습니다.
강의 후기에 적은 것처럼 알고 있는 개념도 새롭게 배울 수 있는 점이 있었고
무엇보다 인생을 배우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진정성 있는 인사이트를 나눠주시며
정말 훌륭한 강의를 해주신 주우이 멘토님께 감사드립니다.
이것으로 오늘의 수강 후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호혜성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