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월부 중급반 선택도서] 앤젤라 더크워스 - 그릿

  • 24.12.23

1. 읽은 것

 

우리가 가진 능력

  • "인간의 잠재력에 비하면 우리는 반쯤 졸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다. 불은 사위어 가는데, 공기구멍은 거의 닫혀 있는 상태와 같다." 우리는 정신적, 신체적 능력의 극히 일부만 활용하고 있다.
  •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한계는 외적인 이유가 아니라 내적인 이유에서 발생한다. 세상 사람들은 잠재력을 넘치게 가지고 있지만, 그 능력을 모두 활용하는 이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우리가 우수한 기량을 노력이 아닌 재능으로 보는 이유

  • 성취 공식: 재능 X 노력²

    “우리의 허영심과 자기애가 천재 숭배를 조장한다.” 니체는 말했다.

    "천재를 마법적인 존재로 생각하면 우리 자신의 부족함을 비교하지 않아도 된다."

     

한정된 시간과 에너지

  • 목표의 계층 구조
    • 상위 목표: 궁극적인 목적 (예: 훌륭한 지도자가 되기)
    • 중위 목표: 상위 목표를 위한 중간 단계 (예: 정시에 출근하기 → 왜? 동료들을 존중하기 위해)
    • 하위 목표: 수단적 목표 (예: 8시 전에 집에서 출발하기)
  • 성공적인 사람들은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하지 않아도 될 일을 결정해야 할 때가 많다.

    매우 다른 상위 수준의 목표들로 활동이 분산되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궁극적인 목표는 단 하나여야 한다.

    버핏의 우선순위 정하기 3단계에 한 단계를 추가하려 한다. 바로 이 목표들이 공동 목표에 얼마나 기여하는가?' 라고 자신에게 묻는 단계다.

  • 하위 목표의 변경

    다른 하위 목표가 더 효율적이고 실현 가능성이 높다면 기존 목표를 포기할 수도 있다.

    어떤 장거리 여행이든 돌아갈 일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상위 수준의 목표일수록 이를 고수하는 것이 옳다.

 

노력과 흥미

  • 연습과 흥미의 관계

    좋아하는 일도 꾸준히 연습하지 않으면 잘할 수 없다.

    • 어린 시절에는 폭넓은 경험이 필요하다.
    • 흥미를 자극하면서도 빈둥거릴 여유를 제공해야 한다.
    • 너무 일찍 과도한 연습을 강요하면 흥미를 잃을 수 있다.
  • 의식적인 연습
    • 도전적인 목표 설정 → 약점 개선에 집중
    • 도달한 후에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반복
    • 프랭클린의 연습 사례:
    •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제일 좋아했던 잡지에서 최고로 잘 쓴 글들을 모아 써보고, 자신의 글과 비교하여 잘못 쓴 부분을 정정해봄
    • 논리적 주장을 펼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글을 읽으면서 메모한 쪽지를 뒤섞고 뜻이 통하도록 순서대로 배열하는 연습을 함
    • 언어 구사력을 높이기 위해 산문을 운문으로, 운문을 산문으로 옮기는 연습을 함
  • 몰입과 연습의 차이
    • 몰입: 기술과 과제가 적절히 일치할 때 자연스럽게 발생.
    • 연습: 의식적으로 계획되며, 현재 기술 수준을 초과하는 과제를 요구함.

 

목적과 열정

  • 목적의 중요성

    타인에게 유익을 주겠다는 믿음은 좌절과 희생을 감내하는 힘을 제공한다.

    • 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 선한 내면과 조화를 추구하는 삶
    • 헤도닉(Hedonic): 순간적 쾌락과 자기중심적 경험
  • 목적과 그릿의 관계
    • 그릿이 높은 사람들은 타인중심적 삶을 추구.
    • 단순히 목표를 달성하려는 의도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노력이 사회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고민.

 

문화와 환경의 힘

  • 훌륭한 팀의 중요성

    개인의 기량은 팀의 문화와 상호작용하며 성장.

    • 투지 넘치는 팀 문화는 동조 욕구를 자극하여 개개인을 변화시킨다.
  • 문화의 정체성화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는 속한 집단의 규범과 가치를 내면화한다.

    • "훌륭한 팀이 훌륭한 선수를 만든다."
    • 강한 투지를 원한다면 투지 넘치는 문화에 합류하라.

 

정체성과 그릿

  • 정체성이 선택의 기준

    열정과 끈기는 손익 계산이 아닌 정체성에서 비롯된다.

    • "나는 어떤 사람인가?"
    • "이 상황에서 어떤 선택이 나의 정체성과 일치하는가?"
  • 핀란드의 '시수(Sisu)' 정신
    • 역경 속에서도 끈질기게 도전하며, 자신의 강인함을 확신하는 것.
  • 성장형 사고방식

    새로운 도전과 역경 속에서도 낙관적 해석을 통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 근육처럼, 뇌도 도전을 통해 강화된다.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회복탄력성을 기르는 태도가 중요.

 

2. 깨달은 것

  • 그릿은 관심, 연습, 목적, 희망을 통해 기를 수 있는 것이다.

     

3. 적용할 점

  • 나의 여러 관심사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목표 찾기
  • 상위, 중위, 하위 목표 쓰기
  • 의식적인 훈련을 위한 계획 짜기
  • 적합한 내집단 찾기

 

4. 기억하고 싶은 문구

  • "시간이 지나면서 성장해야 한다는 점이 가장 중요합니다.”
  • "경쟁이라는 단어는 라틴어에서 왔습니다. 말 그대로 옮기면 함께 노력한다는 뜻이죠. 어원에는 다른 사람을 패배시켜야 한다는 뜻이 전혀 없습니다. ”항상 경쟁하라”는 말은 자신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라. 최선을 다하라는 뜻이다.
  • “시작도 잘해야죠. 하지만 시작을 잘하기는 쉬워요. 그리고 시호크스 팀에게 마무리는 말 그대로 마무리만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코치의 대답이었다. 즉 마무리 잘하기는 시작부터 끝까지 매 순간 집중하고 정말로 최선을 다한다는 의미였다.

댓글


유쾌한카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