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와의 만남에서 패드에 싸인도 받고 사진도 찍었던 추억이 있는 식빵파파님 강의!!
카메라가 미모를 담지 못 하네하며 실물이 더 예뻤던 식빵파파님 강의를 다시 들을 수 있어 설레었다.
비교평가하면 식빵파파님!!
식빵파파님하면 비교평가!!
식빵파파=비교평가!!
사전임보를 쓰고 최종임보를 쓰고 있는 과정에서 비교평가를 잘 하고 있나라는 생각을 하고 있던 차에
올라온 강의라 지금 딱 필요한 강의였다.
항상 식빵파파님은 쉽게 딱 정리해주셔서 강의를 들을 때는 넘넘 쉽게 이해되어 다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막상 혼자 하면 쉽지 않다.
식빵파파님이 하나에 꽂히면 계속 파고 든다고 하셨는데 그게 비교평가였다고 하셨다.
왜 그렇지 생각하고 계속 단지와 단지끼리 비교했고
심지어 비교가 안 되는 아파들끼리도 비교해서 튜터님이 말리셨다고…
그런 과정이 있었기에 지금 비교평가를 잘 하고 계신 것처럼
나도 단지vs단지를 계속 비교하는 연습을 해야겠다.
비교 기준은 강의에서 알려주신 교통(강남 접근성), 학군, 환경으로 비교해서 생각해보아야겠다.
[지역내 비교평가]
지역별 특징 확인
땅의 가치가 높은 곳: 강남 접근성이 어딜 가든 비슷하므로 학군, 환경(교통+환경+학군) 고려
땅의 가치가 낮은 곳(4, 5급지): 강남접근성의 비중(교통>환경+학군)을 높게 보기
*동특-학군지(평촌, 중계), 지방 성격 수도권(인천, 부천)
2. 가치와 기격 비교평가
여기서 중요한 점
이분법적인 사고가 아닌 나라면 어디를 선택할 것인지 인문학적 관점으로 부동산을 보자!
3. 비교평가 검증(전고점 왜곡 유의-그래프 보조적 지표, 옆단지 보기)
[지역간 비교평가]
땅의 가치 확인
단지 선호도 비교평가
비교평가 검증
[투자 의사 결정]
투자 가능 단지 파악(하락율-15% + 전세가율 60% + 투자금) : 지역내→지역간
투자 가능 단지 가치 파악(비교평가)
의사 결정
[적용할 점]
1. 투자금이 없더라도 반드시 투자결정단계까지 하자! 실제 투자처럼 결정하는 과정에서 통찰력이 쌓인다.
2. 시세 트레킹(= 내부자들) 하자. 구별 5~10개 단지(지역내→지역간)
빠르게 비교가능, 가격은 흐르는 구름 실시간으로 변하는 가격 확인 가능
댓글
무지개베이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