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문기사 정리
✅ 생각 정리
- 매매가격 변동률은 정치적인 상황과 시기적인 이유(겨울)로 보합일 수 있다고 본다.
- 여전히 1급지는 오름세를 유지했지만 변동률은 현저히 줄었다.
- 12월로 넘어오면서 1급지부터 시작해 5급지까지 대부분의 매매가격 변동률이 모두 낮아졌다.
- 5급지인 금관구, 노도강의 가격은 최근 6주간의 변동을 살펴보면 사실 보합(±0)에 가깝다.
- 그 외에도 동대문구, 강동구와 같이 공급이 많은 곳도 매매가격이 하락했고
- 중랑구, 성북구, 은평구, 동작구, 관악구도 최근 2-3주간 하락하였다.
- 구로구와 금천구는 내림폭이 큰 건 팩트이고 나머지 지역구는 일부 하락이 있다.
- 서울시 전체의 매매와 전세 거래량 그래프를 보아도 시장이 급감하고 있는 것이 보인다.
- 대출 등의 규제는 우리가 예측하거나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대응해야한다.
- 대출 규제는 매매전세갭을 이용한 투자자에게 기회일 수 있음을 항사 기억하자.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