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단 한 번의 투자로 1억 버는 임장, 임장보고서 노하우
자음과모음, 월부멘토, 권유디, 코크드림, 너나위

실전준비반 1강 강의 후기
1차시
내용 : 스스로 앞마당을 늘려가야 비교대상이 많아지고 가치파악이 가능하다. 우당탕탕 하는 것
ex)좋아, 안좋아(X)→ 더 좋아, 덜 좋아
느낀점 : 이제 투자 공부를 시작한 사람들에게 확정해서 생각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내용이 와닿았다. 물건을 보고 좋다,안좋다가 아닌 다른 덜 좋나, 더 좋나 를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습관을 일러준 강의였다. 나도 앞으로 물건을 바라볼때 겉모습으로 절대평가 하는게 아닌 비교대상 들을 보며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생각으로 적용해야겠다.
2차시
내용 : 메크로를 예측(X) → 내가 아파트에 대해 잘아는 것이 중요
가격 왜곡이 발생(가치 있는 아파트의 저평가)→상승장때 제 가격을 찾아가니 앞마당을 늘려가는 것이 핵심!
이 물건이 가치있는가? 이 돈으로 여기가 최선인가?
느낀점 : 사실 부동산 공부는 거시적 경제 부분도 알아야만 한다고 생각해서 복잡하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명확하게 그 부분을 정리해준 강의였다. 앞으로 투자에 있어 기사 등을 읽을때도 시장의 분위기 등을 참고하는 데 쓰고 중요한건 가치있는 아파트를 늘려가는 방법을 선택 해야겠다.
3차시
내용 : 위성지도 : 빈땅/지형 파악
일반지도 : 아파트/주택가 구분
연령별인구 : 신도시택지/ 구축택지/ 주택가 구분
지적편집도 : 상권/주거지역 파악
나무위키 : 해당지역 역사와 거주민들의 생각을 파악
느낀점 : 임장을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지? 막막했던 방법을 세세하고 친절하게 짚어준 강의였다. 특히 신도시택지/ 구축택지/ 주택가 를 미리 파악함으로써 인구구성을 알 수 있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막연하게 임장부터 나갈 것이 아니라 이러한 사전정보를 파악하고 임장을 나갈 수 있도록 적용 해야겠다.
4차시
내용 : 분위기 임장
1.먼저 손품을 판다(분임할 위치. 지형. 택지종류. 상권의 위치를 파악)
→택지 종류에 따라 연령별 인구를 파악
2.분임 진행
→법정동 기준으로 임장 지역을 선택(주거지역 및 상권위주)
3.동선 짜기
→상권과 어우러진 단지 분위기 위주로 짜는게 중요하다. 택지구분과 상권에 따라 분위기가 바뀌는 것을 생각하여 입체적인 동선 중요
4.우선 순위
→집에서 할 수 있는건 하지마라, 임장에 집중(핸드폰으로 정보검색 웬만하면 하지마라)
5.복기
→돌아오면서 찍어놓은 사진으로 다시 한번 갔다온 곳을 복기
6.돌아봤던 법정동 종류중 가장 좋았던 곳으로 우선순위 매기기
→직.교.학.환 정리
느낀점 : 그 동안 분위기 임장은 동네 마실 갔다온다는 느낌이었는데, 신경쓸 것도 많고 집중해야 한다는 부분을 느끼게 해준 강의였다. 특히 분임전에 미리 내가 분임할 장소를 머릿속으로 그려보는 구체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거 같아서 매우 유익했다.
5차시
내용 : 단지임장
:분위기 임장을 통해 생활권 우선순위를 정했고 그 우선순위들 중 선호하는 단지 아파트를 본다
아실 → 최고가APT를 통해 파악
1단계 : 동선짜기(분임과 동일하게 짜되 차이점은 아파트 단지 실제 들어가는 것)
2단계 : 단지임장 체크리스트에 맞게 마인드 셋(안전성, 쾌적함, 스트레스, 동간거리, 조경관리, 지하주차장, 상권 분위기)
3단계 : 단지당 10분~15분 살피고 꼭 사진 및 카카오톡 음성 텍스트를 통해 기록해야함
4단계 : 분임과 마찮가지로 현장에 나와서 할 수 있는 것에만 집중(핸드폰 자료 찾기X)
단지 내부 상태에 따라 입지의 불리함을 뛰어 넘을 수도 있다→반대로 단지 내부 상태가 더 좋았지만 추후 임보 때는 우선순위가 바뀔 수도 있다.
정리
:현장방문 결과물, 내 투자금이 2억원 이라고 가정 할 때 우선순위에 맞는 투자처 안목이 생김.
분위기임장 | 단지임장 | 매매 | 전세 | 투자금 | 투자가능 |
A(효자동) | 1위 | 8 | 5 | 3 | X |
2위 | 7.5 | 4.5 | 3 | X | |
3위 | 7.2 | 4.5 | 2.7 | X | |
B(중화산동) | 4위 | 7 | 4.5 | 2.5 | X |
5위 | 6 | 4.4 | 1.6 | 0 | |
C(서신동) | 6위 | 5.9 | 4.1 | 1.8 | X |
7위 | 5.9 | 4 | 1.9 | X |
느낀점 : 임장을 실제로 할 때 중요한 건 자료를 찾는 것이 아닌 실제 현장에서만 볼 수 있는 것들에 집중 해야한다는 것을 느끼게 해준 강의였다. 또 하나 중요하게 본 건 단지임장을 통해 투자가능한 1등 단지를 찾는다 하더라고 추후 임보를 작성할 때 기타 조건 등에 따라 1등 단지가 바뀔 수도 있다는 것이였다. 유연한 생각을 갖는 것이 중요하고 앞으로 단지임장을 갈때는 위 내용 들을 머릿속에 넣어놓고 임해야 겠다.
6차시
내용 : 매물임장
1.단지임장을 통해 뽑은 투자가능 단지 매물을 단지 선호도 순으로 직접 확인(네이버 부동산)
2.매물임장 우선순위 : 전고점 대비 -20%하락, 전세가율 60%이상, 가치가 높은 단지 파악하여 후보 성정
3.부동산 전화예약(내가 정리한 자료와 현장상황을 파악)→ 한 부동산에 2개~3개정도 방문예약)
중요한 점 : 집의 상황보다는 ‘가격’을 보고 매물 예약을 잡아야함
4.부동산 방문(아이스 브레이킹 때 내가 방문할 매물 동선파악)→예의 있되 필요한 건 물어봐라
5.매물보기 : 현관 들어온 기준으로 오른쪽부터 하나씩 살펴본다(조명, 샷시, 누수, 타일, 장판, 도배 등 파악)
중요한 점 : 마지막에 집주인한테 언제 이사가는 지 반드시 물어봐야함.(전세기간 등을 맞춰야 하기 때문)
6.정리하기 : 매물임장 후 A 부동산에 와서 사장님과 보고 온 매물 간략히 정리(1등 부동산 선별) → B부동산 가기전에 반드시 카톡으로 A부동산 매물을 다시 정리한다. → B.C등 다른 부동산 매물보고 온 것도 앞서 방법과 정리하고 집에와서 최종정리
7.임장결과 : 분위기 임장, 단지임장, 매물임장을 통해 당일 A.B.C 부동산의 1등 물건 선별 → 그 중에서 최고 1등을 당일 날 선별 → 지역내 1등 물건 선별(앞마당이 없으면 여기까지) → 앞마당이 있으면 앞마당내 1등 물건 선별
느낀점 : 단지 임장까지 해왔더라도 진짜 실전은 매물임장 부터 시작되는 거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해준 강의였다. 단지임장을 통해 1등 단지를 찾았더라도 그 내용이 실제 현장분위기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나에게 유리할 수도 불리할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정말 정리하는 습관을 적용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데이터 1등 물건과 실제 1등 물건은 내가 작성한 내용 들을 잘 정리했을 때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적용시켜 나가야 겠다.
7차시
내용 : 투자자의 삶
1.명확한 목표와 하루의 일과 계획을 체계적으로 만들어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2.위 1번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3.중요하지 않은데 긴박한 것 vs 중요하나 긴박하지 않은 것 → 후자를 해야한다.(우선순위의 중요성)
4.포기하지 않고 지속한다면 인생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타인보다 우위가 아닌 스스로의 경제적 관점에서 말이다.
느낀점 : 결국 투자자 라는 생각이 들었다. 삶을 바꾸고 싶다라는 것은 지금의 삶을 지속할 때 내 마음 한구석에 느껴지는 불편함에 응답하는 게 아닐까? 그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불편함을 누구나 느끼지만 모두가 거기에 응답하지는 않는다. 포기하지만 않으면 결국 이룰 수 있다 라는 권유디님의 말처럼 나도 할 수 있다!!
댓글
오.. 차시별로 정리하니까 확실히 기억이 더 잘 날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