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지기 15기 혼자하면 8리가고 함께가면 5래가조 도죠메낀입니다.
(이제보니 이번 강의에서 저희 조이름과 일맥상통하는 이야기가 나왔군요 ㅎㅎ)
지기반 1강 강의후기를 남깁니다.
1강의 경우 저희의 빛과 소금, 구세주이신 자음과 모음님의 명쾌한 강의가 있었는데요,
정말 강의를 들으면서 놓칠 말씀이 하나도 없는 밀도 높은 강의라서
필사하느라 정말 힘들었을 정도로 너무나도 좋은 강의었습니다.
역시 믿고 듣는 자모님 강의,,!
강의 내용보다는 느낀점 위주로 간단하게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ㅎㅎ
자모님은 1강에서 소중한 시간을 할애하시어,
지방, 특히 중소도시를 바라볼때 항상 헷갈려하는 우리들을 위하여,
수학의 정석과도 같은 기준, 태도, 행동의 방향을 잡아주었습니다.
1) 어떤 기준으로 지방 투자를 바라봐야하고
2) 지금 지방시장은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3) 지금 내가 해야 할 행동은 무엇인지
이 세가지 요소들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해주셨답니다.
특히 이번에 신규로 말씀해주신 가격의 흐름과 반복에 대해서는 정말 무릎을 탁 칠 정도로 신기하기도 하고, 중요한 내용인 것 같습니다.
그동안 저도 그런 사람에 해당했던 것 같습니다.
"지방도시에 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있고,,, 사람들이 여기 꼭 살아야 한다는 이유도 없는데,,,
이거 잘못사면 상승하는 시기가 영영 안오는게 아니야?"
라고 생각하며 지방 투자를 망설였었습니다.
하지만, 자모님의 이번 강의는 저에게 큰 힘을 불어넣어주셨고,
갑자기 가슴이 뛰며, 이제껏 망설이며 놓쳤던 물건들을 다시금 생각해보게되었답니다.
확언한대로 이번년도 내에 1호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ㅎㅎ
힘을 주신 자모님께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앞마당 10개 이상이라면 이번달 1호기 할 수 있습니다." 크으,,,
자모님은 강의를 시작하실때에 선호도에서 시작해서 선호도로 끝난다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저도 돌이켜보면 임장을 처음 시작할때는 그냥 임장지의 가격에 맞춰서 선호도를 생각했던 것 같은데요,
이제는 각 지역별로 어떻게 선호도가 형성되어있는지를 보면서,
가격과 비교해보는 순서대로 앞마당을 만들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이번 자모님 강의에서는
이러한 선호도가 어떻게 달라지고, 어떤 요소들로 이루어져있는지 자세하게 설명해주셨고,
제가 생각하지 못했던 요소들도 있어서 새롭게 배울 수있는 점이 많았습니다.
제 생각에는 이런 요소 요소들이 저의 돋보기이자 무기인 것 같습니다.
이런 요소도 선호도가 될 수 있구나 라는 것을 몰랐다면, 그런 기준으로 단지들을 바라보려고 하지도 못했겠지요.
이번 강의를 통해 저의 여러 무기들을 얻은 것 같아 뿌듯합니다. ㅎㅎ
정말,,, 멀리서 저를 지켜보시는 것 같은 자모님,, ㅋㅋㅋ
저도 이제까지 "환경을 세팅했는데 왜 안되지?" 라는 생각을 하면서
점점 무기력해지고 다른 사람들과 나를 자꾸 비교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고, 중요한 것을 하라는 자모님
할 수 있는 것을 하라는 자모님의 말씀이, 왜 이제까지 제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했는지에 대한 답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자모님께서 제시해주신 한달 캘린더 일정으로, 집개수가 아닌 투자한 단지의 가격 및 투자금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다시한번 생각하며, 한발 한발 환경속에서 성장해야 할 것 같습니다.
흐,,, 강의 마지막에는 항상 심금을 울리는 구절을 가져와서 읽어주시는 자모님,,,
남들이 의심하고 조롱하고,
특히 요즘 연말이라서 약속들이 생기는데 거절하는 제 자신에게
더욱 힘을 주는 한마디었습니다.
저는 남들보다 더 명확히 원하는 목표와 미래가 있기 때문에
지금 행동하고 있고, 행동해서 얻어낼 것입니다.
END를 AND로 바꾸기 위해서,
저는 이번 강의를 토대로 이번달 임장에서 단지 분석 이후에 단지임장을 가도록 하겠습니다.
임장을 하고 추후에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이 아닌,
선호도를 먼저 분석하고나서 임장으로 확인하는 자모님의 방법을
체득해보겠습니다.
자모님 이번에도 긴 시간동안 정말 알차고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도죠메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