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마기 53기 29조 라인] 계획이 세워지니 앞이 감감해지다

 누구나 비싼 옷, 비싼 차, 비싼 집을 원하는 건 당연할 것이다. 그렇기에 나도 내 소득수준에서 좋은 집을 구하고 싶어하는 것이다. 지난 주 학교친구들과 모임을 가지면서 주식 및 부동산 투자 이야기를 하게 되었다.

 테슬라를 일부 보유하고 있었으나 작년에 성과급등 투자금을 추가로 투자하여 1년 사이에 수억을 번 친구가 어떤 마음으로 언제 투자했는지와 비수기 일때 부동산을 사서 매매가의 약 2배가 된 집을 보유한 이야기들을 들으면서 나도 알고 있는 종목이고 부동산이었지만 누군가는 실행하고 부를 늘려가고 있는 것을 들었을때 한편으로는 나도 저렇게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면서 실행하지 못한 나에게 아쉬움이 든다. 

 

 그렇기에 가장 큰 목돈이 들어가는 부동산 투자 혹은 내집 마련에 걱정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그동안 대출에 대해 안좋은 이미지가 있었기에 대출을 하지도 않았고 관심도 없었다.  그러나 내집 마련이라는 목적으로 대출을 알아보니 규제가 너무 많은 것 같다. 

 

    1. 갈 수록 규제가 커진다. 

        - 정부정책에 따라 대출을 규제하기 위해서 주택담보대출의 규제가 커졌다. 

           내 소득 및 자산에 따라서 대출 할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고, 신생아 특례 대출이 아닌 이상 고가의 내집 마련을 위한 6억 이상의 대출이 되지 않는다. 어리고 연봉이 작을때 디딤돌 대출을 썼다면 집 값 상승의 효과와 대출규제로 인한 고민을 하지 않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든다. 

     2. 좋은 집이라면 자산이 없다면 어렵다. 

         - DTI, DSR, 스트레스 DSR등 내 자본금 및 현 대출 상황에 따라 대출에 제약이 있다. 그렇기에 자본금이 없는 상태에서 좋은 집을 마련하려면 제약이 많다. 일반 신용대출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대출금리가 높기에 한계도 많다. 

     3. 투자와 내집 마련에 대한 고민을 다시 해보아야 할 시점

         - 강의 Opening 후기에서도 작성하였지만 내 집에 돈을 깔고 앉으면 투자를 할 수 없게 된다. 현재 물가 상승에 따른 신축아파트 집값 상승으로 인하여 구축도 매매가가 상승하고 있다. 그렇기에 좋은 집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한도까지 한다는게 맞는 것일까 라는 생각이 든다. 

     4. 대출상환금리를 고려한 상환액

         - 각각의 금액을 고려해 봤을때 최대한의 대출을 하기 위해서는 연봉의 상승도 추가로 되면 좋겠지만 너나위님이 이야기 하신것처럼 지출을 줄여야 할 필요가 있다는것을 느꼈다. 


댓글


라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