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에 대한 기준과 방향을 제시해준 1강 이였습니다.'
어렵고 낯설기만 했던 지방 광역시, 중소도시에 대해 생각을 정립하게 하였습니다.
일단 생각이 크게 바뀌게 된 것은 개별성 이였습니다. 시장 분위기라는 것은 수도권과 지방 이렇게 두가지로 나뉘어서 덩어리로 움직일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지역마다 사이클의 기간도 다르고 시장의 분위기가 다르게 돌아간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공급에 따른 시장 분위기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자세한 설명으로 이해가 쉬웠습니다. 광역시에서 그리고 중소도시에서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것도 막연함을 정확하게 정리가 되는 강의여서 이번 임장을 갈때 면밀히 봐야하는 부분까지도 정립이 되어서 수월한 임장이 될 것 같습니다. 공부를 하게되면 알게 되는 것을 놓치지 않으려 하다가 오히려 죽도 밥도 안되는 상황이 종종 있었습니다. 자모님의 말씀대로 분임때는 분임에 필요한 것만 단임때는 단임에 필요한 것만 사전조사와 임장에서 생각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말에 백번 공감하며 그동안의 행동들을 복기도 할 수 있었습니다.
광역시 제1의 도시 대한민국의 제2의 도시 부산을 너무 안일하게 생각했었던 것 같네요ㅠㅠ 지방의 1위도시를 간과하고 가깝거나 혹은 지금 시장에서 매매가가 싼지역만을(당장 투자할수 있을 것 같은 무지성 계획들)임장지로 선택하였다는 것이 그동안 잘못 생각하고 있다는 것도 느꼈습니다. 빠른시일에 부산을 임장지로 가봐야 겠다는 마음을 가지게 됩니다.
부산과 김해를 강의를 통해 광역시는 왜 이 지역을 선호하는지 인구, 학군, 직장, 환경 등을 통해 수요가 있는 이유를 좀더 깊히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수도권, 그리고 서울같은 경우 구축에 대한 가격방어가 지방보다 잘되는데 이러한 차이점을 분명하게 개념을 잡는 강의였습니다.
중소도시는 익숙한 지역이 아니면 그 지역의 대한 가치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이유는 잘알지 못했기 때문 이였을 겁니다. 인구가 많고, 직장이 많고 이러한 사실들을 중소도시를 바라볼때 녹여내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결국 수도권 그리고 작게는 광역시를 바라보는 기분들만이 머리에 있었기 때문이였습니다. 하지만 강의를 통해 중소도시에서 먼저 바라보는 기준이 큰도시들과는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실 객관적으로 보면 모든 입지평가 요소들이 수도권과 광역시들에 비해 낮을 수 밖에 없을텐데 이런 것들을 비교할때 그동안 제 머리속에는 광역시, 수도권에 대한 기준으로 중소도시를 생각하니 당연히 안좋을수 밖에 없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생각들을 말끔히 정리 하게되는 강의여서 저는 참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고 그동안 물음표였던 것들을 느낌표로 만들게 된 강의였습니다.
1강 강의에서 많은 것을 배우게 되어 자음과모음님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