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4기 51조 얌순언니]

  • 23.11.15

이번 자모님 강의를 들으면서 중소도시 투자의 기초를 잡을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지방은 개별성과 사이클이 중요함을 알고

매수와 매도를 해야 한다는 것.

개별성과 사이클을 이해하면 오히려 투자가 심플하다는 말씀에

용기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1 투자 범위 판단해보기


이전까지는 어디가 핫하다더라 어디를 가야한다더라는 말을 들으면 조급해졌습니다.

또 지방은 연식이 중요하다는 말을 듣고 연식으로만 판단하려 하기도 했습니다.

투자금도 없으면서 그 지역에서 가장 좋다는 신도시만 쳐다보고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모 아니면 도'식으로 판단해서는 안되고

투자 범위를 입지나 연식에 따라 탄력적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부분이 와닿았습니다.

투자할 수 있는 지역과 없는 지역이 나뉘는 것이 아니라

수요에 따라 투자 범위를 넓게 또는 좁게 생각하면서 판단해야 합니다.

지역의 인구에 따라, 동네의 선호도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연식 범위를 판단해보겠습니다.


2 학군&환경 집중해보기


중소도시의 학군의 의미는 인구가 많은 지역과는 좀 다른 것 같습니다.

단순히 중학교 학업 성취도로 파악되는 것이 아니고

또 수요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선호도의 변화도 상대적으로 빠릅니다.

디테일한 확인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졸업생 수 증감 상황, 현재 기준의 학업 성취도을 꼼꼼히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환경에 대해서도 지방이라고 무조건 신축에 집중하기보다

입지와 지역 선호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단지 분석시에 입지와 연식에 따른 선호도 판단을 중심으로 해봐야겠습니다.


무엇보다 분석해주신 중소도시 김해에 대한 자모님의 투자 판단 프로세스를

제가 분석하고 있는 지역에도 적용해볼 수 있도록

복습 또 복습해야 할 것 같네요!


너무나 대용량 고품질의 강의를 해주신 자모님...

강의 따라가기가 쉽지는 않았지만

하나 하나 잘게 씹어 꼭 소화시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쿳쥐
23. 11. 15. 20:25

투자범위가 탄력적이다는 표현이 콕 와닿습니다~

두유하나
23. 11. 15. 23:46

읽기만 해도 복습이 되네요 대단하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