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기초반 14기 68조 32살]

23.11.15

먼저 자음과 모음님 너무 수고 많으셨고, 저번보다 더 좋은 구성으로 강의 들을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영혼을 놓고나온만큼 저도 이번 강의 하나하나 들을때마다 4시간씩 들여가며 주신 인풋을 최대한 담으려고 애썼는데요. 뒤에 입지나 비교평가 하는 강의 보다 지방에 대한 이해, 지방투자해야하는 이유, 투자기준3가지에 대해 느낀점을 써보겠습니다.

먼저 지방을 이해하는데에는 ㄱㅂㅅ이 존재하고 ㅅㅇㅋ이 각각 다르다라는것을 알면 지방이라도 다 다른시기에 투자할 수 있다는것을 배웠습니다.

지방에 투자해야하는 이유는 심플합니다. 내 투자금이 소액뿐이고 소액으로 투자금을 불리기위한 곳은 지방뿐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방에 투자하더라도 지금시장은 1억 그 이상도 벌 수 있는 시장인데다가 매매절대가수준도 싼편이니 투자를 안할 이유가 없다고 저도 생각합니다.

투자기준 중 하나는 인구수가 큰 시장을 우선으로 투자 해야 합니다. 인구는 곧 수요이고 수요는 가격과 수요층의 두터움을 뜻합니다. 내물건을 사줄 수 있는 사람들이 많은곳에 투자를 하는것이 당연하겠지요. 두번째는 중소도시는 땅의 가치가 떨어지는 곳입니다. 그래서 아파트 가격이 입지와 연식을 100이라 한다면 입지의 비중이 줄어드는만큼 연식의 비중은 증가한다고 이해했습니다. 이렇게 비율적으로 이해하는것이 이분법적 사고보다 훨씬 단지 대 단지로써 선호도를 뜯어보기에 용이하다고 이해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선호도를 고려하여 투자한다입니다. 결국 단지 대 단지의 선호요소를 뜯어 보아야한다는 것인데요. 넓은의미에서 도시의 가치, 각 구별 선호도, 구별 내 생활권별 선호도, 생활권 내 택지의 선호도, 택지 내 단지 선호도까지 좁의 의미로까지 바라보아야 왜곡없이 단지 대 단지로써 좀 더 저평가된 단지를 찾을 수 있다고 받아 들였습니다.

이번 강의를 듣고 지방의 투자기준의 처음이자 끝이란 부분이 어떤 개념인지 조금은 알 것 같습니다. 지금은 선호도를 찾는 수준에 있지만 나중에 가서는 이정도는 비싸다 싸다는 기준을 가질 수 있도록 열심히 따라가겠습니다.

자모님 수고 많으셨어요.


댓글


삼원홍
23. 11. 15. 23:42

후기 작성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투자를 위한 시간 화이팅입니다 ✌˚◡˚✌